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무용역사기록학회 AND 간행물명 : 무용역사기록학 (SDDH)28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방무용 콘텐츠개발을 위한 백제악무 연구
황희정 ( Hwang Hee Jeong ) , 한경자 ( Han Kyung Ja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19] 제55권 403~423페이지(총21페이지)
본고는 백제의 악무를 연구하여 지방무용의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먼저 무용에 필수적인 백제의 악기에 대한 지금까지의 자료를 살펴보면 관악기 적·소·생·지·도피필률·막목·각·우·백제생황 9종(혹은 8종), 현악기 곡경비파·완함(백제3현)·공후·수공후·금·쟁·백제8현금 7종, 타악기 고·요고 2종까지 총 18종(혹은 17종)으로 맑고 청아한 음색이다. 현행되고 있는 백제악무의 콘텐츠는 백제문화제의 웅진백제 5대왕 추모제의 아악 및 식전무용을 들 수 있다. 이것은 800년 뒤에 편찬된 조선시대의 『국조오례의』의 아악을 가져온 것이다. 그러나 둘 사이의 시대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고 아악의 몇몇 악기는 백제 시대에 존재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백제인에 의해서 창작되고 백제에서 기원한 <신소리코(進蘇利古)>와 <오닌테이(...
TAG 백제, 궁중무용, 신소리코, 오닌테이, 지방무용, Baekje, Court dance, Sinsoriko, Onintei, Local dance
궁중 융합무대예술 <동동(動動)>의 본질에 대한 모색의 알찬 결실 : 조규익·문숙희·손선숙·성영애 공저, 『동동動動: 궁중 융합무대예술, 그 본질과 아름다움』, 민속원, 2019
강기화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19] 제55권 427~431페이지(총5페이지)
본고는 백제의 악무를 연구하여 지방무용의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먼저 무용에 필수적인 백제의 악기에 대한 지금까지의 자료를 살펴보면 관악기 적·소·생·지·도피필률·막목·각·우·백제생황 9종(혹은 8종), 현악기 곡경비파·완함(백제3현)·공후·수공후·금·쟁·백제8현금 7종, 타악기 고·요고 2종까지 총 18종(혹은 17종)으로 맑고 청아한 음색이다. 현행되고 있는 백제악무의 콘텐츠는 백제문화제의 웅진백제 5대왕 추모제의 아악 및 식전무용을 들 수 있다. 이것은 800년 뒤에 편찬된 조선시대의 『국조오례의』의 아악을 가져온 것이다. 그러나 둘 사이의 시대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고 아악의 몇몇 악기는 백제 시대에 존재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백제인에 의해서 창작되고 백제에서 기원한 <신소리코(進蘇利古)>와 <오닌테이(...
안무가 아카이빙의 전형을 보이다 : 서동진·신지현·안은미·임근준·장영규·현시원 공저 『공간을 스코어링하다: 안은미 댄스 아카이브』, 현실문화연구, 2019
이상헌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19] 제55권 433~440페이지(총8페이지)
본고는 백제의 악무를 연구하여 지방무용의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먼저 무용에 필수적인 백제의 악기에 대한 지금까지의 자료를 살펴보면 관악기 적·소·생·지·도피필률·막목·각·우·백제생황 9종(혹은 8종), 현악기 곡경비파·완함(백제3현)·공후·수공후·금·쟁·백제8현금 7종, 타악기 고·요고 2종까지 총 18종(혹은 17종)으로 맑고 청아한 음색이다. 현행되고 있는 백제악무의 콘텐츠는 백제문화제의 웅진백제 5대왕 추모제의 아악 및 식전무용을 들 수 있다. 이것은 800년 뒤에 편찬된 조선시대의 『국조오례의』의 아악을 가져온 것이다. 그러나 둘 사이의 시대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고 아악의 몇몇 악기는 백제 시대에 존재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백제인에 의해서 창작되고 백제에서 기원한 <신소리코(進蘇利古)>와 <오닌테이(...
무용저작물 규정의 필요성과 고려사항에 대한 고찰
심정민 ( Shim Jeongmi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19] 제54권 9~29페이지(총21페이지)
저작권이란 저작물을 창작한 자에게 부여하는 배타적이고 독점적인 권리를 말한다. 현재 저작권법에서 무용은 연극저작물의 일종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이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논의가 불거지고 있다. 무용과 연극은 모두 공연예술 분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가장 인접해있는 장르인 것만은 사실이다. 하지만 무용과 연극이 엄연히 다른 장르로서의 분명히 다른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창작물에 대한 저작권 역시 다른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더군다나 한국 무용계는 서양 무용계에 비해 보다 복잡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예술무용의 경우 전공성에 따라 한국춤, 발레, 현대무용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영역에서도 스타일에 따라 한국춤은 전통과 창작, 발레는 고전과 창작, 현대무용은 현대의 고전과 창작 등으로 세분화되기도 한다. 각각의 영역이나 스타일에 따라 접근 방법이나 규준이 다를...
TAG 무용저작물, 무용저작물 규정, 무용저작권, 저작물, 저작권, A dance work, Regulations for a dance work, Copyright for dance, Creative work, Copyright
한국 무용저작권의 쟁점과 개선 과제
이호신 ( Lee Hosi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19] 제54권 31~56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최근 국내에서 이루어진 무용 또는 안무를 둘러싼 저작권 문제와 관련된 쟁점을 정리한 것이다. 무용과 관련된 저작권 문제를 논의한 국내 문헌 42건을 분석한 결과, 무용저작권과 관련한 저작권 쟁점은 크게 세 가지로 도출되었다. 첫째, 무용저작권의 개념을 보다 분명하게 제시하여, 무용저작물에서의 창작성의 인정의 요건을 명확하게 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둘째, 무용저작권 보호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공연과 함께 형체 없이 사라지는 저작물을 유형의 매체에 고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셋째, 우리 법에서 무용은 연극저작물로 분류되고 있으나, 해당 용어가 적절하지 않다는 점이다. 각 쟁점별로 저작권법의 구체적인 내용과 관련 판례를 함께 살펴보면서 문제점을 점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무용 저작권 보호를 위한 개선 방향을 제언하였다.
TAG 무용저작권, 연극저작물, 무용저작물, 안무저작물, 창작성, Dance copyright, Dramatic works, Dance work, Choreographic works, Creativity
전통문화에 대한 저작권 규범체계의 적용과 그 한계에 관한 고찰
이철남 ( Lee Chulnam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19] 제54권 57~77페이지(총21페이지)
최근 이매방의 전통춤에 관한 저작권 행사를 계기로 전통문화 분야에서의 저작권 쟁점에 관한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국내에서 전통문화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에게 저작권 규범체계는 매우 낯설다. 이와 같은 낯설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전통문화 분야에 저작권법이 적용되는 사례는 증가하고 있다. 과거에는 주로 서적 등 어문저작물 분야에서 발생하던 저작권 사례들이 이제는 미술, 음악, 무용 등으로 넓어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무형문화유산과 관련된 미술저작물과 음악저작물에 관한 대표적인 사례를 통하여, 문화유산 기반 저작물의 창작성과 실질적 유사성 판단에서의 쟁점들을 검토하였으며, 나아가 저작권제도가 가진 한계를 살펴보았다. 저작권제도는 해당 저작물에 대해 특정의 저작자가 독점배타적인 저작권을 갖는 것을 기본 구조로 하고 있지만, 다수의 문화유산들은 그것을 창조하고, ...
TAG 전통문화, 전통무용, 저작권, 창작성, 실질적 유사성, 오픈소스,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dance, Copyright, Creativity, Substantial similarity, Open source
확장된 안무의 장에서 수행적 드라마투르기
김재리 ( Kim Jaelee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19] 제54권 81~108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컨템퍼러리 댄스에서 안무의 미학적, 형식적 변화와 함께 드라마투르기(Dramaturgy)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1990년대 이후 전개된 확장된 안무의 개념을 살펴보고 드라마투르기 작업 사례를 분석하여 드라마투르기의 개념적, 실천적 논의를 전개했다. 컨템퍼러리 댄스에서는 무용의 자율적인 매커니즘을 벗어나 타매체와의 교류와 합류를 통해 창작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안무의 과정에서 담론과 이론 등 지식생산을 춤의 주요한 과업으로 고려한다. 이러한 안무의 인식론적, 방법론적 패러다임의 변화에 따라 매체의 다양성, 담론 생성, 협업 등을 토대로 안무의 실험이 전개되고 있으며, 기존의 움직임의 나열과 구성에 초점을 맞춘 좁은 의미에서의 안무를 벗어나 ‘확장된 안무’로 논의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컨템퍼러리 댄스의 안무 개념 및 실...
TAG 확장된 안무, 드라마투르기, 수행성, 컨템퍼러리 댄스, 예룬 피터스, Expanded Choreography, Dramaturgy, Performativity, Contemporary dance, Jeroen Peeters
한국 전통춤의 근대적 메타모포시스 연구: 극장을 중심으로
김호연 ( Kim Hoyoen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19] 제54권 109~134페이지(총26페이지)
이 연구는 극장의 등장으로 한국 전통춤이 어떠한 변용 과정을 거쳐 새로운 내용과 형식을 만들어내고 근대적 문화담론을 창출하는지에 집중한 것이다. 극장의 생성은 시공간의 인식, 소비 구조의 형성, 수평적 질서의 관객 등장 등 근대적 가치체계를 만들어낸다. 이러한 변화는 무동연희장 그리고 협률사, 광무대, 단성사 등의 극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공간들은 대부분 전통예술을 바탕으로 미시적인 레퍼토리의 변화를 거치며 대중의 관심을 불러 모은다. 이러한 점은 전통의 점진적 변용을 통해 대중에게 향유할 수 있는 미적 대상을 선사하고, 새로운 문화전통을 창출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또한 전통춤은 광무대 소속 기생 옥엽과 산옥을 통한 스타시스템, 예단일백인의 연재, 강선루의 장기 공연 등 미시적인 변용 속 근대적 장치를 통해 대중과 소통을 이루며 전통춤의 새...
TAG 한국 춤, 근대, 메타모포시스, 극장, 전통춤, Korean dance, Modern, Metamorphosis, Theater, Traditional dance
한성준의 춤 수련 과정과 수련관에 대한 고찰
권효진 ( Kwon Hyojin ) , 전은자 ( Jeon Eunja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19] 제54권 135~161페이지(총27페이지)
한국의 전통춤은 변화·창조를 거듭하며 대표적인 전통예술의 하나로 확립되었다. 현대에 이르러서 전통춤의 활성화 및 대중화가 폭넓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그 과정에서 다양한 재해석과 과도한 변용은 전통춤 본연의 고전적 가치와 춤 수련에 임하는 정신을 변질시키는 부정적 양상도 초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성준의 삶을 재조명함으로써 그가 생각한 고전 전승과 춤 수련관에 대한 도출이다. 아울러 한영숙과 이애주로 전승되는 춤의 실제적인 면모를 고찰함으로써 한성준 춤 수련관의 실체를 확인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는 문헌 자료를 중심으로 수집, 정리하고 이들을 종합적이고 심층적으로 해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한성준(韓成俊, 1874-1941)은 개화기와 일제강점기를 살아온 세습 예인으로서 조선 민족의 고유한 정체성을 반영한 춤 수련을 계승·발전...
TAG 한성준, 고전 전승, 춤 수련관, 한영숙, 이애주, Han Sung-Jun, Transmission of Korean traditional dances, Dance philosophy, Han Young-Sook, Lee Ae-Ju
벽사 정재만의 춤 생애사 연구
이미희 ( Lee Mihee )  무용역사기록학회, 무용역사기록학 (SDDH) [2019] 제54권 163~190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 자료들을 바탕으로 벽사 정재만(鄭在晩, 1948~2014)의 춤 생애사를 연구하는 데 있다. 본 연구는 갑작스러운 타계로 인해 정재만의 춤에 대한 사적(史的) 자료가 거의 전무한 것과 사후 그에 대한 연구와 이론적 배경이 구축되어 있지 않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료 및 언론기사, 인터뷰 등 문서에 기록된 자료들을 수집하였고 연구방법은 생애사 연구의 텍스트 분석 방법인 총체적 형태에서 본 연대기적 분류를 통해 연구하였다. 그 결과 정재만의 춤 생애사를 총 5기로 분류하고 제1기 ‘성장기(成長期)’, 제2기 ‘활동기(活動期)’, 제3기 ‘구축기(構築期)’, 제4기 ‘전승기(傳承期)’, 제5기 ‘전수기(傳授期)’로 나누어 사적 흐름을 고찰하였다. 벽사 정재만의 춤 생애사 ...
TAG 정재만, , 생애사, 연대기, 국가무형문화재, Jeong Jae-man, Dance, Life history, Chronicle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