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미술교육연구논총6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사의(寫意)와 사생(寫生) 개념 고찰
김백균 ( Kim Baik-gyu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9권 107~126페이지(총20페이지)
근대 한국화에 관한 담론에서 사의(寫意) 개념은 주로 사생(寫生) 개념의 상대적 관점에서 논의 되어왔다. 이는 ‘사의’를 주관적 의식의 표현이라고 보고, ‘사생’은 눈에 보이는 대상의 원래 모습을 그대로 표현한 것이라고 여기는 주관과 객관의 묘사라는 이분법적 생각에 기초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로부터 자연스럽게 사의와 사생개념을 동양화의 남화(南畵)와 북화(北畵)의 대립구도로 치환하는 생각이 출현하기도 했다. 나아가 ‘사의’는 한국화의 추상 논의의 근거가 되어 근대기 심영섭, 김용준, 이태준 같은 아시아 우선주의의 입장에서 미술론을 전개한 이들에게 있어서 서양 미술에 대한 동양미술의 미적 우수성을 강조하는 논의의 출발점이 되기도 했다. 본고는 한국회화의 추상 논의의 출발점이 된 ‘사의’의 개념을 추적하고, 그와 상대적 관점에 서 있다고 여겨지는 ‘사생’ ...
TAG 사의, 사생, 형사, 신사, 수묵, 문인화, 한국화, ‘XieYi(寫意)’, ‘XieSheng(寫生)’, ‘XingSi(形似)’, ‘ShenSi(神似)’, Literary Men’s Ink paintings, Korean Painting
한국화민예품 교육을 사랑한 송계선생의 생애사 연구
최명숙 ( Choi Myung-so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9권 127~147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화민예품 교육에 열정을 쏟는 한 대학 교수의 생애를 추적함으로써 미술교육적 의미를 해석적으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2019년 5월부터 9월까지 5개월간 연구 참여자와 5회의 대면 인터뷰를 진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생애사를 해석하면서 찾은 의미는 첫째, 인간의 타고난 위치는 예술정신이나 삶의 존재 의미를 형성하는 정신성의 기반이 된다. 학습자들은 삶의 위치에 존재하는 전통미술을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등 다양한 맥락과 연결지면서 자신의 존재를 새롭게 이해할 수 있다. 둘째, 인간은 호모 소키에스 즉 사회적 인간으로서 정체성의 변화를 이루며 존재 의미를 깨닫는다. 정체성은 사회적 위치, 역할 변화, 개인의 신념과 가치관, 통시적인 삶의 연속적 경험 위에서 변화를 이루고 형성된다. 그리하여 우리는 자신이 나고 자라난 위...
TAG 한국화민예품 교육, 타고난 위치, 존재 의미, 정체성, 생애사 연구, korean painting-folk art education, innate position, meaning of existence, identity, life history research
낙서화 감상활동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 신장 방안
박효진 ( Bark Hyo-jin ) , 류재만 ( Ryu Jae-ma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9권 149~169페이지(총21페이지)
낙서화는 낙서가 가진 유희적이고 치유적 특성과 더불어 개방적인 장소에 사회 또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생각을 시각적 기호를 통해 함축적으로 표현하여 관객과 소통하고자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낙서화 감상을 통한 시각적 문해력을 신장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 ○○초등학교의 6학년 B 학급 28명(남자 13명, 여자 15명)을 대상으로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낙서화 감상수업을 통해 신장시키고자 하는 시각적 문해력은 시각문화가 확장되는 현대에서 미술 교육이 목표로 하는 주요 학습역량으로 이미지를 해석하고 판단하는 이해 능력과 이미지를 활용 및 적용하여 시각물을 창작하는 표현 능력이 합쳐진 시각적 소통 능력이다. 감상수업을 위해 주요 낙서화가의 표현적, 기호적, 내용적 특징과 각 작가의 작품의 특징을 근거하여 작가별로 적합한 감상 관점을 ...
TAG 감상, 낙서화, 시각적 문해력, Appreciation, Graffiti Art, Visual Literacy
피카소의 ‘게르니카(Guernica)’에 나타난 추상적 표현과 상징의 휴머니즘 해석
홍창호 ( Hong Chang-ho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9권 171~190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피카소의 작품 ‘게르니카’를 중심으로 이제까지 다루어진 피카소의 작품해석에 있어 양식중심의 미술사적 해석의 한계를 넘어 보다 동시대적 시각을 지닌 예술의 방향에서 해석해보고 그 의미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게르니카’의 해석에서 막연히 반전이슈만을 부각하는 미술사적 해석에서 벗어나 보다 미래지향적 평화의 꿈을 제시하는 피카소의 동시대적 의식을 주목하여 추상적 표현과 상징 속에서 해석의 실마리를 발견해보고자 한다. 피카소가 입체주의 사조를 개척함으로써 위대한 20세기 현대미술가라는 타이틀을 갖게 되었다기보다 당대를 바르게 보고 비판과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을 짚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작품의 주제적인 면과 형식적인 면을 분석한 ‘게르니카’ 해석을 통해 ‘동시대성’과 ‘인간존엄성’이라는 메시지를 읽어냄으로써 미래로 향하는 동...
TAG 동시대성, 추상적 표현, 입체주의, 현대미술, 휴머니즘, contemporary art, cubism, abstract expression, humanity, contemporary consciousness
시각지수와 미술자아개념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이현아 ( Lee Hyun-a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9권 191~219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미술교육과 관련을 가지는 ‘시각지수’, ‘미술자아개념’의 검사 도구의 상관관계를 통해 미술교육에 함의하는 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에 따른 시각지수의 관계, 연구 대상에 따른 미술자아개념의 관계, 시각지수와 미술 자아개념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시각지수 34문항, 미술자아개념 41문항을 2019년 5월에 초등학교 6학년 총 131명을 대상으로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시각지수’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높게 나왔으며 미술관심도와 미술교육 경험 기간이 오래될수록 시각지수가 높게 나왔다. 또한 ‘미술자아개념’도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나왔으며 미술 관심도와 미술교육 경험 기간이 오래될수록 미술자아개념이 높게 나왔다. 이에 ‘시각지수’가 높을수록 ‘미술자아개념’이 높게 나옴을 알 수 있었다. 이와 ...
TAG 시각지수, 미술자아개념, 미술교육, visual Quotient, art-Related self concept, art education
중년 여성의 미술 학습에 관한 질적 연구: 자기 효능감을 중심으로
박세진 ( Park Se-jin ) , 김효정 ( Kim Hyo-j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8권 93~130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삶의 전환적 시기에 있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자기 효능감을 고려한 미술 학습으로 인한 정서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중년기 여성, 성인 미술 학습, 자기 효능감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한 후, 자기 효능감을 고려한 미술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진행하며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년기 여성 3인으로, 수업이 이루어지는 동안 녹음 및 전사, 현장관찰, 프로그램 종료 후의 심층면담, 작품 사진 등 다양한 형태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후 반복적 비교 분석 방법으로 개방코딩작업을 거쳐 하위 범주 및 상위 범주로 범주화하는 과정을 거친 후 공통된 주제를 탐색하고 분석 및 해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자기 효능감을 중심으로 한 미술 학습은 중년기 여성으로 하여금 스스로에 대해 고찰하며 새로운 ...
TAG 중년기 여성, 미술 학습, 성인 학습자, 자기 효능감, Middle-Aged Woman, Art Learners, Adult learners, Self-Efficacy
예술가 교사 엄정순의 시각장애 미술교육 연구
최성희 ( Choi Sung-h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8권 131~164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화가이자, 시각장애 미술교육자, 시각장애 미술교육 단체인 <우리들의 눈>의 설립자이자 디렉터인 엄정순의 교육실행을 ‘예술가 교사’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여 그 교육적 성격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엄정순의 시각장애 미술교육은 첫째, 시각장애인들이 지각방식의 차이로 ‘다르게 봄’을 경험한다는 것을 기본 전제로 하고 있다는 것과 둘째, 시각장애인 학습자를 교수학습 과정에서 지식구축의 동등한 파트너로 인식하는 구성주의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 셋째, 시각장애인의 표현과정에서 창의적인 순간의 역동을 이해하고자 한다는 점 등을 특징으로 하고 있었다. 엄정순은 ‘시각적 이미지 작업’과 ‘오감의 이미지 작업’을 통하여 사회적, 관습적, 제도적, 신체적으로 제한 될 수밖에 없는 시각장애인의 일상적 삶의 경험이 회복될 수 있기를 기대하였다. 이는 교사 중...
TAG 시각장애 미술교육, 예술가 교사, 우리들의 눈, 교사 교육자, art educ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teaching artist, Another Way of Seeing, teacher educator
미술 교과와 연계한 초등 교사 도예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진복 ( Lee Jin-bo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8권 165~19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교사의 미술 전문성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기점으로 이에 대한 해결 방안 모색을 위해 시작하였다. 교사의 전문성은 교사 연수를 통하여 길러질 수 있으나 그 중요성에 비하여 직무 연수의 기회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현 시점으로는 교사들에게 필요한 직무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해 교사들에게 다양하고 질 높은 연수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가장 시급한 사항이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미술 교육 과정 및 교과서의 도예 교육 내용을 교수·학습할 수 있는 내용이 보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를 통하여 도예 직무연수 교육 내용을 구조화하였고, 현재 사용하고 있는 미술 교과서 분석을 통해 분야별 직무연수프로그램 내용을 도출하였다. 보다 심도 있고 다각적인 교과서 분석으로 직무연수 교육 내용을 도출하기 위하여 현직 교사 10명...
TAG 초등미술교과, 초등교사 직무연수, 프로그램 개발, Elementary school ats curriculum,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ts education professionalism, Program development
학습관점에 따른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경험 측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신희진 ( Shin Hee-jin ) , 김세준 ( Kim Sae-jun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8권 193~224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학습관점에서 칙센트미하이와 로빈슨(Csikszentmihalyi & Robinson, 1990)의 미적 경험 구조 이론을 적용하여 미술관 전시 관람객의 미적 경험을 측정할 수 있는 이론적·실증적 틀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관련한 경험, 미적경험, 관람객(학습자), 교육 전시 등의 선행이론을 검토하여 관람객의 미적 경험 요인을 도출하고(지각적 영역, 감정적 영역, 인지적 영역, 소통적 영역), 타당성 있는 측정도구로서의 설문 문항을 개발한다. 전시교육이론에 따른 학습과 지식전달로서의 전시유형을 구분하고, 관람객의 전반적인 판단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을 찾았다. 전시하는 오브제나 형태가 다르더라도 학습하는 관람객의 미적 경험의 구조는 유사하며, 동적이며 현장적인 입체적 전시의 증가와 ‘이벤트’적인 감각...
TAG 미적 경험, 관람객 연구, 미술관 전시, 미술관 교육, 경험 연구, aesthetic experience, visitor studies, museum exhibition, museum education, experience research
대화 기술을 적용한 학습자 중심 감상법
이화식 ( Lee Hwa-sik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8권 225~244페이지(총20페이지)
철학적으로 실존주의와 현상학, 문화적으로 포스트모더니즘, 교육적으로 구성주의 흐름 속에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시각적 소통 능력, 자기 주도적 미술 학습 능력 등이 강조하고 있다. 그래서 창작 활동뿐만 아니라 감상 활동에서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 학교 현장이나 다양한 감상이 이루어지는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 소통을 통해 담론을 만들어 내도록 요구하고 있다. 그 결과 대화 중심 감상이라는 형태의 감상 수업이 중시되고 있다. 그러나 교육현장에서는 아직까지 대화 중심 감상 활동에 대한 적용이 미흡한 실정이고 대화 중심 감상에 대한 실제적인 대화 기술 연구나 사례가 부족한 측면이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대화 중심 감상 수업을 위해 수업 사태 별로 구체적 대화 기법을 제시하여 학교 현장이나 박물관, 미술관, 전시장 등에서...
TAG 대화 중심 감상, 대화 기술, 집단 과정, 학습자 중심 감상, dialogue centering, dialogue skill, group process, learner-centered appreci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