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55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속가능한 소재를 이용한 3D 프린팅 패션 제품 개발연구
감선주 ( Kam Seon Ju ) , 유영선 ( Yoo Young Su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제19권 제3호, 1~18페이지(총18페이지)
미래 차세대 기술로 부각되고 있는 3D 프린팅 기술은 지속가능성의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요인들을 포함하고 있으나 3D 프린팅에 사용되는 프린팅 소재는 지속가능성의 맥락에서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3D 프린팅의 지속가능한 소재를 탐구하여 지속가능한 3D 프린팅 패션 제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문헌 연구를 통하여 현재 3D 프린팅 기술의 지속가능성을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프린팅 소재의 사례를 고찰하였다. 현재 3D 프린팅 패션 제품 선행연구와 사례를 토대로 외형, 조직구조, 텍스처로 나누어 분석하고 패션 전문가들의 심층 면접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3D 프린팅 패션 제품의 개발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3D 프린팅의 지속가능한 소재는 재료의 구성에 따라 하이브리드형 필라멘트와 재활용 필라멘트로 나눌 수 있다. 3D 프린...
TAG 지속가능성, 3D 프린팅, 패션 제품, 지속가능한 소재, sustainability, 3D printing, fashion product, sustainable material
한국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 외모담론 - 2000년부터 2017년 뉴스 기사의 비판적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
안진현 ( Ahn Jin Hyun ) , 하지수 ( Ha Ji So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제19권 제3호, 19~38페이지(총20페이지)
언론과 외모관리 소비산업의 상업적 목적과 수익구조는 자본주의의 발달에 따라 심화되어, 단순히 생물학적인 아름다움이 아닌, 미디어 속에서 규정되는 외모를 여성이 추구하도록 만든다. 특히 이러한 과정을 통해 형성된 신체 변형에 관한 담론은 일종의 이데올로기로서 여성이 스스로 신체를 깎아내고 다듬는 변형을 통해 외모를 획득하도록 조장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 속에서 여성의 외모담론이 어떠한 방식으로 생성되었는지, 특히 신체와 신체 변형에 관하여 여성들이 어떠한 행동을 실천하게 만드는지 분석함으로써 미디어 내에 형성된 한국 여성의 외모담론을 맥락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미디어가 신체 변형을 중심으로 담론을 생산하는 방식과 그에 따라 변화한 여성의 외모 인식과 태도를 이해하여, 한국 미디어에 나타난 여성의 외모담론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0...
TAG 외모, 외모담론, 미디어, 비판적 담론 분석, appearance, discourse on appearance, medi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드라마 출연자들 의상 선택에 관한 연구 - 게이트키핑 이론을 중심으로 -
박란 ( Park La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제19권 제3호, 39~54페이지(총16페이지)
이 연구는 파멜라 슈메이커가 제시한 게이트키핑 개념을 적용하여 드라마 제작과정에서 출연자들의 의상선택에 있어 여러 단계의 게이트키퍼들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피터 라이트와 프레더릭 바버의 직감, 보상적 모델, 사전 편집 모델, 연결적 모델, 위험 모델, 만족의 의사결정을 위한 6가지 하위전략요인을 적용하여 여러 단계의 내부 게이트키퍼들의 결정이 드라마 제작과정에서 출연자 의상 선택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최근 전 국민 사랑을 받은 tvN의 『도깨비』, 『미스터 션샤인』, JTBC의 『미스티』, 『SKY 캐슬』 등 몰입도가 높은 드라마들은 그 특성상 출연자의 캐릭터가 표현하는 직업, 성격, 대사, 의상 등이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자들에게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동경하게 되고 따라 해 보게 한다. 즉, 『도깨비』의 ‘공유 코트’, 『미스터 션샤인...
TAG 게이트키핑, 게이트키퍼, 드라마, 의상 선택, gatekeeping, gatekeeper, drama, choice of dress
하이퍼 리얼리즘 예술과 패션에 나타난 일상성의 표현 특성 - Duane Hanson과 Vetêments을 중심으로 -
조한아 ( Cho Han A ) , 김영인 ( Kim Young I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제19권 제3호, 55~72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하이퍼 리얼리즘의 대표 조각가 듀안 핸슨의 작품에 나타나는 일상성 표현 양상을 고찰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베트멍 작품에 나타난 일상성의 표현 특성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특성은 기존의 패션디자인에서 추구하는 표현과 상반된 특성으로 현대패션에 나타나고 있는 트렌드의 새로운 변화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첫째, 문헌 연구를 통해 하이퍼 리얼리즘 조각가 듀안 핸슨의 이력과 작품 세계를 고찰하였다. 연구의 범위는 평범한 일상을 본격적으로 작품의 주제로 표현하기 시작한 1970년대에서 1990년대까지의 작품으로 제한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듀안핸슨은 전형적인 인물 표현, 일상 공간으로의 편입, 일상적 시간 표현, 만들어진 오브제의 사용을 통해 인체에 일상성을 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TAG 일상성, 하이퍼 리얼리즘, 듀안 핸슨, 패션, 베트멍, everydayness, hyperrealism, Duane Hanson, fashion, Vetêments
현대 패션에 적용된 공감 디자인 사례 고찰
문은정 ( Moon Eun Jeong ) , 고현진 ( Ko Hyun Zi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제19권 제3호, 73~94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대의 혁신 디자인 키워드가 되고 있는 공감 디자인의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패션에 나타난 공감 디자인 사례들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위해 문헌 연구와 사례 연구를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공감 디자인은 인간중심의 디자인으로써 통찰력을 갖고 사용자를 이해하는 디자인으로, 사용자를 깊게 관찰하고 소통을 통해 작은 부분까지 세심하게 배려하여 효율적인 솔루션을 제공하는 실질적인 디자인 방법이다. 따라서 사례를 바탕으로 공감 디자인은 인지적, 정서적, 인지적/정서적 공감디자인으로 분류하였다. 패션 분야에 나타난 공감 디자인 사례 고찰 결과로 인지적 공감 디자인은 일상 속에서 발생하는 작은 불편함도 꼼꼼하게 반영하고 해결해주는 아이디어 제품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정서적 공감 디자인은 사용자와 마음으로 공감하고 따뜻한 배려로 보듬어주고 도...
TAG 공감 디자인,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육체적 공감, 현대 패션, empathic design, cognitive empathy, emotional empathy, somatic empathy, modern fashion
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의 메이크업 이미지 분석
임린 ( Yim Lyn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제19권 제3호, 95~113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적 패션 메이크업의 시즌별 메이크업 색채를 분석하고, 배색에 따른 한국적 패션의 메이크업 이미지 유형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 방법은 Adobe Photoshop CC를 활용하여 메이크업 색상을 추출하고 먼셀 색체계 10색상과 무채색, PCCS 색체계 11색조로 분류하는 색채분석법을 따랐다. 분석한 색채는 메이크업에서 사용된 비율에 따라 배색띠로 만들고 I.R.I 배색 이미지 스케일에 포지셔닝하여 분석하였다. 따라서 2011 S/S~2019 F/W 컬렉션에 나타난 한국적 패션 메이크업을 아이섀도, 블러셔, 립스틱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었다. 아이섀도는 R(b), YR(b), YR(lt), YR(s), YR(v), 블러셔는 R(p), R(b)와 YR(lt), YR(d) 색채가 한국적 패션 메이크업에 주로 표현되었다. ...
TAG 한국적 패션, 메이크업, 배색 이미지, 메이크업 이미지, Korean fashion, makeup, color-combination image, makeup image
레이 가와쿠보의 발상과 디자인
김유진 ( Kim Yu Jin ) , 주보림 ( Joo Bo Rim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제19권 제3호, 115~130페이지(총16페이지)
레이 가와쿠보는 기존 관습을 타파하고 새로운 것을 주저 없이 도전하는 진취적인 디자이너로, 자신만의 확고한 철학과 신념을 바탕으로 신선한 발상이 담긴 꼼데 가르송컬렉션을 매 시즌 선보이고 있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가와쿠보 관련의 연구는 주로 가와쿠보의 디자인 표현 특성과 관련된 부분이 중점적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디자인의 과정보다는 결과물에 대한 분석이 대다수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와쿠보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특히 컬렉션 작업 과정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발상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디자이너 인터뷰를 중심으로 꼼데 가르송 관련 기사·평론·문헌 등을 분석하여 가와쿠보만의 디자인 발상 테마 및 디자인 전개 과정을 도출하였다. 가와쿠보가 지니고 있는 철학과 사고를 발상의 모티브에 따라 테마별로 분류하면 첫째, 일본 전통정...
TAG 레이 가와쿠보, 꼼데 가르송, 디자인 발상, 아이디어 전개, 패션디자인 프로세스, Rei Kawakubo, Comme des Garçons, design thinking, idea generation, fashion design process
아트 콜라보레이션 유형에 따른 패션 상품기획 프로세스 비교분석
손중원 ( Sun Zhong Yuan ) , 설백교 ( Xue Bai Jiao ) , 이지현 ( Lee Jee Hyun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제19권 제3호, 131~14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패션 산업에 나타난 아트 콜라보레이션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유형에 따른 특성을 도출하여 패션산업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콜라보레이션 프로세스 분석 프레임을 설계하고, 협력 목적에 따른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례를 수집하여 단계적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지속가능 디자인 관점의 크리스찬 르부탱과 톨러 마야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는 다양한 공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공예 집약형 상품기획 프로세스였으며, 신진 예술가 인지도 제고 및 차별적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해 진행된 디올과 안젤름 라일레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는 예술가와의 의사소통 밀착형 상품기획 프로세스로 분석되었다. 예술의 문화가치를 내포한 통합적 아이덴티티를 강조한 유니클로 UT와 카우스의 사례...
TAG 아트 콜라보레이션, 패션 디자인 프로세스, 상품기획 프로세스, 콜라보레이션 모델, art collaboration, fashion design process, product planning process, collaboration model
패션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의 공간에 따른 서사적 정체성의 표현 - 인스타그램 활동을 중심으로 -
김희영 ( Kim Hee Young ) , 하지수 ( Ha Ji Soo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제19권 제3호, 149~166페이지(총18페이지)
소셜 미디어에서 대중에게 영향력을 가진 인플루언서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 감소로 좁은 영역의 콘텐츠를 중심으로 소규모 커뮤니티를 형성하는 마이크로 인플루언서가 새로운 관심을 받고 있다. 소셜 미디어에서 개인의 정체성은 사회적 관계와 파편적인 경험들의 나열로 맥락적인 이야기가 구성되며 구체화되고 있고, 다양한 경험들을 보여주는 새로운 장소나 공간에 대한 탐색적인 소비가 활성화되면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장소는 공간적 특성과 연관된 자아 정체성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패션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10명의 인스타그램에 나타난 텍스트와 이미지의 내용분석을 통해 서사적 정체성의 표현 특성을 공간을 중심으로 파악하였다. 본 연구 결과, 패션 마이크로 인플루언서의 공간에 따른 서사적 정체성은 직업 정체성, 역할 정체성, 여가정체성의 3가지 차원으로 파악되었는데...
TAG 마이크로 인플루언서, 소셜 미디어, 인스타그램, 서사적 정체성, 공간, micro influencer, social media, Instagram, narrative identity, space
가변형 패션디자인의 프레젠테이션 방식
임병수 ( Lim Byung Soo ) , 임은혁 ( Yim Eun Hyuk )  한국패션디자인학회,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2019] 제19권 제3호, 167~181페이지(총15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가변형 패션디자인이 내포하는 시간의 차원과 조형적 개념을 살펴보고 그에 따라 가변형 패션디자인 프레젠테이션의 다양한 장치와 접근 방법을 살펴보았다. 사례 분석에는 전통적 프레젠테이션 방식인 패션쇼를 주축으로, 소셜 미디어의 사진 및 동영상을 함께 분석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문헌 연구와 함께 2010년 이후의 최근까지 10년간의 인터넷 검색자료와 문헌을 통합적으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가변형 패션디자인의 프레젠테이션 방식을 패션쇼, 패션 전시, 패션 사진 및 필름으로 나누어 살펴본 결과, 첫째, 패션쇼에서는 주로 착용자나 제3자, 혹은 기계장치의 조력을 통해 가변을 구현하였고 경우에 따라 두 명 이상의 모델을 등장 시켜 각각의 가변 형태를 드러내거나 컬렉션 주제의 강조를 위해 가변 형태를 배제하고 진행하는 경우도 나타났다. 다음으로 패션 전시...
TAG 가변형 패션디자인, 가변성, 패션 프레젠테이션, 패션쇼, 소셜 미디어, transformable fashion design, transformability, fashion design presentation, fashion show, social media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