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266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어 교과 역량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연구
서영진 ( Seo Young Ji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199~242페이지(총44페이지)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국어 교과 역량을 둘러싼 일련의 문제점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방법: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 및 국어 교과역량에 대한 성찰적 논의나 논평을 포함하고 있는 선행 담론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그 결과, 국어 교과 역량의 문제점 및 쟁점은 일곱 가지로 수렴되었으며, 해외 교육과정 및 OECD의 Education 2030 등의 사례로부터 문제 해결을 위한 실마리를 찾아 국어 교과 역량의 타당성과 정합성을 제고하기 위한 선결 과제와 그 해결 방안을 구체화하였다. 결론:본 연구를 통해 국어 교과 역량의 문제점 및 쟁점을 일목요연하게 파악하고 향후 국어 교과 역량 개선을 위한 후속 과제를 공유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바란다. ...
TAG 2015 개정 교육과정, 핵심역량, 국어 교과 역량, 문제점, 쟁점, 개선 방안, 타당화, 2015 Revised Curriculum, Core Competencies, Korean language Curriculum Competencies, Problems, Issues, Improvement, Validating
핵심 질문 중심으로 본 국어과 평가의 이론적 모형 연구 -읽기 선택형 평가를 중심으로-
주세형 ( Joo Sehyung ) , 남가영 ( Nam Gayeong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243~292페이지(총50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국어교육 평가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실제로 참조할 수 있는 이론이 체계화되지 못했다는 반성에 의해, 국어과 정체성을 확보하면서 국어과 평가 실행 과정에서 참조할 수 있는 중간 층위의 이론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법:이를 위해 읽기 선택형 평가를 중심으로 하되, 국어교사의 평가 실행 과정에서 도출되는 질문들을 가공, 추상화하여 핵심 질문을 구성하고 이를 토대로 국어과 평가의 이론적 모형을 체계화하고자 하였다. 결과:총 12개의 핵심질문 중 2개, 첫째, ‘국어과 평가의 대상은 자료인가, 능력인가’. 둘째, ‘선택형 평가로 발산적 사고가 평가 가능한가?’의 질문에 이론적으로 답하는 과정을 거쳤다. 결론:이를 통해 일반 교육학 이론 및 국어교육학 이론을 조회하면서 세부 쟁점들을 중심으로 국어과 평가론을 구체적으로 구성해 가는 과정을 보이고 국어과 평...
TAG 국어과 평가론, 읽기 선택형 평가, 핵심 질문, 자료, 능력, 발산적 사고, 수렴적 사고, Korean Language Assessment, Multiple-choice Test Items for Reading, Essential Questions, Texts, Competence, Divergent Thinking, Convergent Thinking
문법 영역의 평가 내용 변화와 평가 방향
이병규 ( Lee Byoung-gyu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293~318페이지(총26페이지)
목적:이 글에서는 국어과 문법 영역의 평가 내용 및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를 살펴보고 그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자 했다. 방법:이를 위하여 먼저 그간 문법 영역의 평가 내용이 변화해 온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법 영역의 평가 내용이 변화하게 되는 배경이 무엇인지를 논의했다. 결과:단순히 문법의 이해와 적용 역량에 대한 평가에서, 제5차 국어과 교육과정 이래로, 문법 지식을 찾아내는 역량에 대한 평가로 변화되어 왔음을 논의하였다. 그 배경에는 절대주의적 지식관에서 상대주의적 지식관으로의 변화가 자리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지식관의 변화는 기능 영역에서는 과정 중심국어교육을, 문학 영역에는 반응 중심 문학 교육을, 문법 영역에는 탐구 중심문법 교육을 도입하는 결과를 가져왔음을 논의하였다. 결론:지식관의 변화와 학습자의 탐구 중심 문법 교육의 도입에도 불구하...
TAG 문법 영역, 평가, 지식관, 절대주의적, 상대주의적, 탐구, 사고력, Grammar domain, Assessment, The view of knowledge, Absolute, Relativistic, Inquiry, Ability of thinking
신교육목표분류학 적용을 통한 문학 영역의 평가 문항 설계
배재훈 ( Bae Jae-hun ) , 이소현 ( Lee So Hyun ) , 오수민 ( Oh Su Min ) , 김상한 ( Kim Sang Ha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319~352페이지(총34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문학 영역 수업 차시 목표의 계열성을 살펴보고 평가 문항을 설계하는 데 목적을 둔다. 방법:이를 위해 신교육목표분류학을 적용하였다. 신교육목표분류학은 다음 계열의 목표를 위한 환원으로서 현 계열의 평가가 잘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줄 수 있다. 결과:계열성 검토를 바탕으로 차시 목표의 부재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으로 평가문항을 제시하였다. 결론: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문학영역 고유의 학습 내용(문학의 본질, 수용과 생산, 문학에 대한 태도)을 학습자의 지식-처리 과정에 따라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둘째, 핵심개념별 내용요소에 따른 차시 목표의 계열성을 명확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셋째, 신분류학이 문학교육 현상에 작동하는 정서적 측면을 보다 고려할 수 있는 준거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넷째,...
TAG 신교육목표분류학, 교육목표, 평가문항, 목표평가의 일원화, Marzano, New Taxonomy, Educational Objectives, Assessment Items, Consolidation of Object-Assessment
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과 발전적 방향 모색 -수능 평가의 본질 회복을 향하여-
류수열 ( Ryu Suyeol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353~380페이지(총28페이지)
목적:이 글은 현행 수능 국어 영역에 대한 비판적 점검을 통하여 수능 국어가 더욱 바람직한 평가 도구로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하여 수능 출제에 개입되는 다양한 변인들 간의 길항 관계를 점검의 기준으로 삼았다. 고등학교 교육과정과 수학 능력 간의 길항, 사고력과 지식 간의 길항, 선다형 문항의 미덕과 한계 간의 길항이 그것이다. 결과:수능이 사고력 시험으로서의 위상을 정립하기 위해서 필요한 사항은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① 화법과 작문 문항이 배제되어야 한다. ② 설득적 텍스트가 독서 지문으로 수용되어야 한다. ③ 문법 지식을 직접 묻는 문항이 배제되어야 한다. ④ 과도한 시간을 요구하는 문항이 배제되어야 한다. ⑤ 깊이 있는 해석을 시도하는 문항이 출제되어야 한다. ⑥ 문학의 상투적인 문항이 배제되어야 한다. 결론:이러한 주장...
TAG 수학 능력, 수능 국어, 고등학교 교육과정, 사고력, 지식, 선다형 문항.
교양교육과정에서 내·외국인 협업 수업에 대한 연구 -A대학의 수업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전형길 ( Jeon Hyeoung-gil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381~410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대학 교양교육과정에서 외국인 학부생과 내국인 학부생이 함께 협업 수업을 진행한 사례를 살펴 그 성과를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해 A대학의 실제 수업 과정과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 반응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결과를 통해 향후 대학의 교양교육과정 개발에서 참고할만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과:여기에서 제안한 내·외국인 협업 수업은 외국인 유학생에게는 한국 문화적응 측면 외에도 실질적인 학업 기술 습득 측면에서 교육적 효과가 있다. 또한 내국인 학생에게는 글로벌 시대에 국제적 감각을 기르고, 상호문화적 능력을 높이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 수업은 교수자 역량이 중요하게 작용하며, 수업 운영이나 환경 개선에 대한 학교 측의 지원도 주요 변인으로 작용한다. 결론:이 연구에서 실시한 협업 수업은 한 학기만 진행했기 때문에 그 결과를 모두 ...
TAG 교양교육과정, 외국인 유학생, 외국인 학부생, 협업 수업, 문화적응, 학업 기술, 상호문화적 능력, University Liberal Arts Curriculum, Foreign Students,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Collaboration Class, Cultural Adaptation, University Learning Skills, Intercultural Ability
한국어 종결어미 ‘-거든’의 억양 -모어 화자와 6급 학습자의 예-
양숙영 ( Yang Sook-young ) , 김영주 ( Kim Youngjoo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411~442페이지(총32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토픽 6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종결어미 ‘-거든’의 기능별 억양 실현을 살펴보았다. 방법:본 연구에서는 사전과 문법서를 참고하여 종결어미 ‘-거든’의 기능을 조사하였고 그 결과 ‘-거든’의 기능을 ‘배경설명’, ‘사실설명’, ‘이유’, ‘자랑’, ‘반박’과 같이 다섯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어서 종결어미 ‘-거든’의 다섯 가지 용법이 들어간 대화문을 교재에서 추출하여 모어 화자 15명과 6급 학습자 15명을 대상으로 발화 데이타를 수집하였다. 프라트를 통해 발화에 나타난 억양을 추출하여 다섯 가지 기능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그 결과, 6급 학습자는 ‘배경설명’, ‘사실설명’, ‘이유’에서 모어 화자와 다른 양상의 억양을 실현한 반면, ‘자랑’, ‘반박’에서는 모어화자와 유사한 억양을 실현하였다. 결론: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
TAG 종결어미 ‘-거든’, 억양, 억양 곡선, 억양구, 억양구 경계 성조, 프라트, Topik 6급 학습자, final ending ‘-koden’, intonation, intonation curve, intonation phrase, intonation phrase boundary tonality, praat, TOPIK level 6 learners
여성영웅소설을 활용한 결혼 이주 여성의 문식성 증진 교육 방안 연구 -≪홍계월전≫을 중심으로-
강신희 ( Kang Shinhee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1권 443~472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결혼 이주 여성들이 다문화 사회에서 겪는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문화적, 비판적 문식성을 증진하기 위한 여성영웅소설 활용 교육 방안 제시이다. 방법:‘남장’ 모티프를 중심으로 ≪홍계월전≫을 고찰하되 문화적·비판적 문식성 증진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분석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한다. 결과:교육을 위해 한 남장을 현대 문화에 영향을 끼치는 전통적 한국 문화 요소를 드러내는 교육 내용으로 보고 ‘문화적 문식성’ 증진과 연계, 사회생활을 위해 한 남장을 당대 현실 문제에 주체적으로 대응하는 여성상을 드러내는 교육 내용으로 보고 ‘비판적 문식성’ 증진과 연계하였다. 이러한 교육 내용을 내용 중심 교수법을 기반으로 교수·학습 방법을 논의한다. 결론:한국 고전문학을 활용한 교육이 결혼 이주 여성들이 한국어를 도구로 하여 자신들...
TAG 한국어 교육, 문화적 문식성, 비판적 문식성, 고전 문학 교육, 여성영웅소설, 한국어 문학 교육, 내용 중심 교수법, Korean Education, Cultur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Koean Classical Literature Education, Heroine Novel, Korean Literature Education, Content-based Language Teaching
북한의 외국어 교육용 조선어 교재 연구 -≪혼자서 배울수 있는 조선말≫ 1994 · 1995 · 2015 · 2017년 발행본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박진희 ( Bak Jinhui ) , 민현식 ( Min Hyunsik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0권 7~59페이지(총53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북한의 외국인 대상 조선어 교재인 ≪혼자서 배울수 있는 조선말≫의 시기별 발행본을 비교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해 1994년, 1995년, 2015년, 2017년 발행본을 대상으로 각각의 형식적, 내용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학습 목표가 읽고 이해하는 것에서 자신의 의사와 감정을 표현하는 것으로 변화되었다는 점, 내용도 문장 문법 중심에서 기초 회화 및 언어문화 지식 중심으로 변화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른 유학생용 교재에 비해 이념적·선동적 표현이 제한적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학습 방법의 측면에서는 순차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한다는 원칙을 준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이 책은 조선어를 통해 북한의 사상적 체제와 문화를 습득하게 하려는 의도가 보인다는 점에서 기존의 유학생용 교재와 흐름을 같이하지만, [련습] 활동...
TAG 교재론, 교재 분석, 북한 교재, 혼자서 배울수 있는 조선말, 독학용 교재, 북한의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Theory of textbook, Text analysis, North Korean textbooks, You can Learn Korean by Yourself, Self-study textbook,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for the foreigner in North Korea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성 양상 분석 연구를 위한 시론
오현아 ( Oh Hyeon Ah ) , 김지혜 ( Kim Ji Hye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19] 제120권 61~96페이지(총36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탈북 대학생들의 언어 문식성 양상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 대학생의 특수성을 고려한 대학 교육 지원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서울 소재 A 사립대학에 재학 중인 탈북 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과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이들이 작성한 교양 및 전공 수업의 보고서를 2편 이상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탈북 대학생의 언어문식성 양상 배경으로서의 북한의 언어 문식성 교육 특성을 보고해 줄 수 있는 박사과정 대학원생 1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과:언어 문식성 분석 결과, 탈북 대학생들은 ‘기초 문식성 부재, 고전에 대한 이해의 차이, 남북한 언어 문화 차이, 구조화된 글쓰기 교육 경험의 부재, 장르 특성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언어 문식성의 문제를 보였다. 결론:이 연구는 탈북 대학생의 언어 문식...
TAG 국어교육, 탈북 대학생, 언어 문식성, 대학 교육, 대학교의 지원 제도, Korean Education, University student defectors, Language literacy, University education, University support system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