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5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시 교육에서 학습 독자의 경험과 정의에 관한 연구
윤여탁 ( Yoon Yeo-tak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7] 제39권 261~287페이지(총27페이지)
이 글은 시 감상이나 시 교육에서 중요한 변인으로 작용하는 학습 독자의 경험과 정의의 위상과 역할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특히 시 교수-학습의 여러 국면 중에서 문학 교사나 시 텍스트, 교실 현장보다는 수용 주체인 학습 독자의 경험과 정의가 시 감상이나 시 학습에 어떻게 작용하고 기능하는가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이 글에서는 시 감상 교육에서 시의 본질인 형식이나 내용 등에 대한 학습 독자의 이해 능력도 중요하지만, 학습 독자의 개인적인 경험이나 정의적인 문학 감상 능력이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시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학습 독자의 1차적인 문학 능력으로는 시에 대한 사실적, 개념적 지식 등이 작용하겠지만, 2차적인 문학 능력으로는 학습 독자의 경험과 정의적 지향이 지배적인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밝혔다. 아울러 시 교육은 문학 교사나 ...
TAG 시 교육, 학습 독자, 경험, 정의, 문학 감상 능력, 문학 교실, 문학 문식성, Poetry Education, Learning Reader, Experience, Affect, Competence to Appreciate Literature, Literature Classroom, Literary Literacy
한·중 상대량(相對量) 표현에서의 공간 은유 표현 대조-그릇 도식 표현과 방향 도식 표현을 중심으로-
후효단 ( Hou Xiaodan ) , 구본관 ( Koo Bon-kwa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8권 253~289페이지(총37페이지)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어떤 수량을 기준으로 하는 상대량(相對量) 표현은 두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하나는 `기준 수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의 언어 표현`이고 다른 하나는 `기준 수량보다 많든 적든 불확정한 경우의 언어 표현`이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이러한 상대량(相對量) 표현은 대부분 그릇 도식 표현과 방향 도식 표현으로 나타난다. 한국어와 중국어의 `기준 수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에서의 표현`에는 그릇 도식 표현과 방향 도식 표현이 있다. 이런 표현은 흔히 대칭적인 존재로 나타난다. 그릇 도식 표현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그릇의 내부와 외부에 있는 것인데, 예를 들면, `이외/이내`와 `以外/以內`,`밖/안`, `외/내`와 `外/內`,그리도 `開外`가 있다. 또 하나는 그릇의 경계에 못 미치는 것과 그릇의 경계에 미치는 것이다. 예를 들면...
TAG 상대량(相對量) 표현, 그릇 도식, 방향 도식, 한·중 언어 대조, Expressions of Relative Quantity, Container Schema, Orientational Schema, Korean-Chinese Comparison
요약형 과제와 논증형 과제의 수행이 텍스트 학습에 미치는 효과
장성민 ( Chang Sung-mi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8권 143~191페이지(총49페이지)
이 연구는 내용 영역 지식을 포함하는 복수의 자료를 활용한 학습 상황에서 상이한 과제의 수행이 개인의 텍스트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화제에 대한 충분한 선행 지식을 갖추지 못한 대학생 필자 137명을 대상으로 요약형 과제 또는 논증형 과제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여 글쓰기를 수행하도록 하고, 과제 수행 후 내용 영역 지식에 대한 회상, 자료 내 통합, 자료간 통합, 필자-자료 간 통합 수준을 측정해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 지식이 부족한 참여자를 대상으로 학습 목적 글쓰기를 수행하도록 하였을 때 논증형 과제의 효과는 반드시 긍정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우수한 학습 효과를 보인 집단과 그렇지 않은 집단이 수행한 자료 통합 행위는 상이한 경로를 거친 것으로 나타났다....
TAG 학습 목적 글쓰기, 요약형 과제, 논증형 과제, 다문서 문식성, 자료 통합, 회상, 자료 내 통합, 자료 간 통합, 필자-자료 간 통합, 국어교육, 작문교육, Writing to Learn, Summary Tasks, Argument Essay Tasks, Multiple-document Literacy, Writing from sources, Text Recall, Intratextual Integration, Intertextual Integrati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의 쟁점과 과제
민병곤 ( Min Byeong-gon ) , 이성준 ( Lee Sung-ju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8권 67~110페이지(총44페이지)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의 도구의 개발과 관련한 주요 쟁점과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학문 목적 말하기 평가를 구성하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특수 목적 언어 평가 연구와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교육, 그리고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에 관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대표적인 국외 학문 목적 말하기 시험을 실시하고 있는 TOEFL과 IELTS에서 말하기 시험이 개발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사용되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 한국어 말하기 평가 도구 개발의 쟁점으로 제시한 것은 평가의 개념 정립과 구인 설정, 평가 과제 개발, 평가 방법 선택 및 타당화, 채점과 척도 개발, 교육적 환류와 영향력이다...
TAG 말하기 평가, 학문 목적 언어 평가, 언어 평가 도구 개발, 타당화 연구, 한국어교육, speaking assessment, language testing for academic purposes, test development, validation project, Korean language education
한국어 능력 시험에 관한 신문과 수험자의 담론 분석
지현숙 ( Jee Hyun-suk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8권 193~221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외국인 대상의 한국어 능력 시험이 어떠한 사회적 논제를 안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한국어 능력 시험의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의 일간지 신문 5종을 대상으로 외국인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에 대해 한국사회 안에서 어떠한 담론들이 이루어져 왔는지를 분석하였다. 또 TOPIK 수험자 17명을 인터뷰하여 그들의 시험에 대한 인식, 태도, 감정, TOPIK과 한국어 학습과의 연관성 등을 살펴보았다. 신문 기사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일간지 신문들은 `한류→한국어 학습자의 증가→한국어 시험 응시생 급증`으로 연결시키고 있었다. 또한 `사상 최대, 열풍, 역대 최다` 와 같은 표현을 신문마다 반복적으로 사용하면서 TOPIK 응시자수의 증가가 역사적으로 놀랄 만한 사건임을 강조하고 있었다. 일부 신문...
TAG 비판적 언어평가, 한국어 능력 시험, 토픽, 토픽 수험자, critical assessment view, Korean language tests, TOPIK, test-takers of TOPIK
채용 과정을 통해 본 한국어 교사의 자질
안정민 ( Ahn Jeong-min ) , 김재욱 ( Kim Jae-wook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8권 111~142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좋은 한국어 교사에 대한 자질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한국어 교사의 자질을 살펴보기 위하여 본고에서는 1년 동안의 한국어 교사 채용 공고 283건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사의 자질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어교육 경력을 필수적으로 보거나 선호하는 채용공고가 81.6%로 가장 많았고, 학력, 교원 자격증, 전공, 외국어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 한국어교육 현장이 국내인지 국외인지에 따라 국외에서는 외국어 능력, 추천서를 요구하는 채용 공고의 비율이 큰 폭으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토대로 13개 대학의 한국어교육 기관 채용 과정을 조사하여 서류 전형 과, 시범 강의, 면접에서 요구되는 한국어 교사의 자질에 대해 분석하였다. 서류 전형에서는 전공과 경력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혔고, 서...
TAG 한국어 교사, 한국어 교사의 자질, 한국어 교사 채용, 시범 강의, 면접, 한국어 교사 교육, Korean language teacher, qualities of Korean language teacher, Teaching demonstration, Interview, Korean language teacher development, Teacher training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 교수 설계에 관한 연구
진대연 ( Jin Dae-yeo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8권 223~252페이지(총30페이지)
이 글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를 교수하고자 할 때 무엇을 고려하여 설계해야 하는지, 그리고 역사 문화의 교수 설계는 어떤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는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선 Ⅱ장에서는 주요 개념인 역사 문화, 교수 설계, 내용 중심 교수에 대해 검토하였고 Ⅲ장에서는 역사 문화 교수 설계를 위한 전제와 고려 사항을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Ⅳ장에서는 국내 대학 부설 한국어 교육기관과 국외 소재 재외동포 교육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역사 문화 교수의 실례를 대비해 보았다. `내용 있는 한국어 교육`을 위해서는 역사 문화 교수가 필요하다는 것이 이 글의 기본적인 입장이었다. 한국어 교육에서 역사 문화를 교수하는 것은 학습자들이 표층적으로 드러나는 한국 문화 현상의 이면 또는 기저까지 학습할 수 있게 한다는 의미가 있으며 역사 문화 교수를 통해 이...
TAG 한국어 교육, 한국 문화 교육, 역사 문화, 교수 설계, 내용 중심 교수, teaching Korean as an L2, teaching Korean culture as a C2, history and culture, instructional design, content-based teaching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구어 산출을 통해 본 부사격 조사 `에`의 습득 연구
김영주 ( Kim Young-joo ) , 궈진 ( Guo Jin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8권 1~2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어 산출 과제를 통해 부사격 조사 `에`의 사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부사격 조사 `에`의 세부 용법을 고려하여 구성한 구어 과제는 그림 보고 말하기와 (무성) 동영상 보고 (회상하여) 말하기이다. 본 연구에서는 3급에서 6급까지 각급 20명씩 총 80명의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두 과제를 실시하여 부사격 조사 `에`의 사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1) 중국인 학습자의 정답률(72.72%)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정답률(96.92%)에 비해 75%의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2) 숙달도에 따른 `에`의 정답률을 보면 중급(3/4급) 내 그리고 고급(5/6급) 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나 중급과 고급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3) 궈진·김영주(2016)에서 도출한 GJ...
TAG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 구어 산출 과제, 부사격 조사 `에`, 부사격 조사 `에`의 용법, 암묵적 지식, 사용, Chinese Korean L2 learners, speaking tasks, adverbial case marker ey, usage, implicit knowledge, use
예보(豫報) 담화의 문법교육용 텍스트화 방향 연구-일기예보 담화의 `상호적 메타기능` 분석을 토대로-
김호정 ( Kim Ho-jung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8권 27~65페이지(총39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일기예보 텍스트와 실제 일기예보 텍스트 간의 비교·대조 분석을 통하여 문법교육용 일기예보 텍스트화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기(旣) 개발된 한국어 교재 8종을 대상으로 교육용 일기예보 텍스트의 기능별 유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교육용 텍스트의 유형화는 텍스트가 담당하는 기능과 텍스트의 내용적 특성에 따라 하위분류된다. 이에 따라 한국어교육용 텍스트를 `메타 텍스트`, `자료 텍스트`, `활동 텍스트`의 삼분 체제로 분류, 유형화한 뒤 `날씨/계절/여행` 등의 주제로 일기예보 담화를 다루고 있는 단원을 대상으로 텍스트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 가운데 일기예보 담화를 자료 텍스트로 다루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체계기능언어학 이론 가운데서도 `상호적 메타기능(Interpersonal Metafunction)` 분...
TAG 예보 담화, 문법교육용 텍스트, 일기예보, 상호적 메타기능, Forecasts, Textualization for Grammar Education, Weather Forecasts, Interpersonal Metafunction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통해 본 중국인 학습자의 부사격 조사 "에"의 습득 양상
궈진 ( Jin Guo ) , 김영주 ( Youngjoo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7권 1~28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중국인 중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부사격 조사 ``에``의 습득 양상을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법성 판단 테스트를 개발하여 3∼6급의 학습자 각 30명씩 총 120명과 비교 대상으로 한국어 모어 화자 20명에게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1) 전체 중국인 학습자 집단은 매우 낮은 정답률을 보여 한국어 모어 화자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중국인 학습자가 부사격 조사 ‘에’의 습득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나타낸다. (2) 중국인 학습자들은 ‘에의 활용’에서 가장 높은 정답률을 그리고, ‘자격, 신분’에서 가장 낮은 정답률을 보였다. (3) 숙달도별 집단 간 조사에서 3급과 4, 5, 6급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으나 4급, 5급, 6급들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는 ...
TAG 부사격 조사 "에", 중국인 학습자, 부사격 조사 "에"의 용법, 문법성 판단 테스트, 습득 양상, 향상, adverb case marker "ey", Chinese learners, usages of adverb case marker "ey", grammaticality judgment test, acquisition aspect, improvemen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