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문학교육학회8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동질성과 이질성의 길항과 통일 문학교육의 도정 -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통해 본 통일 문학교육의 방향과 과제 -
최홍원 ( Choi Hong-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9] 제62권 41~87페이지(총47페이지)
이 연구는 통일을 대비한 문학교육 논의의 일환에서 기획된 것으로, 남북한 문학교육의 이질성에 주목하여 통일 문학교육의 기획과 설계를 위한 시각과 관점을 탐색하는 데 주된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최근 개정된 북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대상으로 북한 문학교육의 실태와 현황을 진단함으로써 통일 문학교육에 대한 접근 시각을 점검하고 새로운 관점으로의 전환을 꾀하고자 하였다. 먼저 북한의 문학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세 특질을 도출하였다. 1. 목적과 목표의 측면: 여전한 정치적 예속과 문학의 본질로의 맹아 2. 영역과 구성의 측면: 문학 영역의 배제와 문학 중심의 통합적 구성 3. 교과서 개발과 교수·학습의 측면: 중앙 통제와 정치사상으로의 경도 다음으로 북한의 『국어문학』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와 학습활동의 측면에서 현대문학, 고...
TAG 통일 문학교육, 교육과정, 교과서, 북한 『국어문학』 교과서, 변혁적 접근법, reunification literature education, curriculum, textbook, 『Korean Literature』 of North Korea, a transformation approach
조선 후기 규원가류 가사의 문학교육적 의미 탐색 - 이용기 편 『(고대본)樂府』 소재 <閨怨歌> 異本을 중심으로 -
권혜정 ( Kwon Hye-j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9] 제62권 91~122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조선 후기에 널리 향유된 규원가류 가사를 중심으로 후기 가사의 문학교육적 가치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조선 후기 가사담당층의 확대에 따른 향유방식의 변화를 살피고, 이용기 편 『(고대본)樂府』의 향유 맥락을 확인하였다. 가사집의 편찬 방향과 목적은 가사 향유의 정황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해당 가집 소재의 텍스트를 이해하는 기반이 되기 때문이다. 『(고대본)樂府』 소재의 규원가류 가사는 허난설헌의 <규원가>와 내용과 형식면에서 거의 동일하나 향유층의 확대에 따른 향유목적 및 방법의 변화로 인한 담론의 전환을 보여준다. 또한 당대 유행했던 상사가류들과의 친연성에서 통속적 사랑 노래로의 이해 가능성을 보여준다. <쳥루원별곡(靑褸怨別曲)>은 가장 특이성을 보이는 이본으로 결사 뒤에 덧붙여진 텍스트를 통해 풍류의 공간에서 불린 대중...
TAG 문학교육, 가사, 후기 가사, 규원가, 원부사, 쳥루원별곡, 정전, 악부, literary education, Gasa, late Gasa, Gyuwonga, Chyeongruwon-byeolgok, Wonbusa, canon, Akbu, 樂府
인본주의적 소설 교육의 방법론과 방법 -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을 결합하여 -
박수민 ( Park Soo-min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9] 제62권 123~150페이지(총28페이지)
「소설 교육의 방법론과 방법」은 소설의 인본주의적인 특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합리적이고 절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소설 교육의 방법을 모색한다. 먼저, ‘방법론’과 ‘방법’의 위계와 관계를 개념적으로 규정한다. 다음으로,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방법’을 구분한다. 이어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방법’을 구분하고,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방법론’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방법’인 백워드 설계 모형을 결합한다. 이와 같은 방법론과 방법의 교차 결합으로 소설 교육의 한 가지 가능성을 제안한다. 본고가 문학교육에서 이해중심 교육과정을 이론적으로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하는 일에 기여하기를 바란다.
TAG 소설 교육, 학문중심 교육과정, 이해중심 교육과정, 방법론, 방법, 지식의 구조, 백워드 설계 모형, 해석, novel education, discipline centered curriculum, understanding by design, methodology, method, structure of knowledge, backward design, interpretation
김유정과 그의 벗, 현덕의 문학 연구 - 들병이 소설과 「두포전」을 중심으로 -
박영기 ( Park Young-gi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9] 제62권 151~176페이지(총26페이지)
소설가 김유정과 현덕의 교류는 그리 길지 않았다. 그러나 후배격인 현덕은 병든 김유정의 마지막을 함께 한 친구이자 동료였다. 현덕은 그의 자서전에서 김유정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으며, 김유정의 미완성작 「두포전」을 완성하여 『소년』에 발표하였다. 현덕이 김유정에게 문학적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이 잘 드러나는 것은 ‘들병이’를 모티프로 한 소설이다. 김유정의 대표적인 들병이 소설 「솥」과 같이 현덕은 「남생이」에서 들병이를 등장시켜 김유정 소설과 모티프를 공유하였다. 김유정의 작품에는 갓난아이를 안고 다니는 들병이가 나오며, 현덕의 경우 들병이 엄마와 소년 노마가 등장한다. 노마는 병든 아빠를 극진히 간호하면서 도덕적 모성을 갖지 못한 엄마를 부정하는 존재이다. 김유정이 출구 없는 현실을 아이러니, 해학으로 돌파했다면 현덕은 노마라는 희망적 존재를 ‘전망’으로...
TAG 신아동, 소년, 들병이, 홍길동전, 남생이, the Sinadong, the boy, Deulbyung-E, the Hong Gil-dongjeon, the Namsang-E
북한 국어, 문학 교과서의 주체사상 교양 교육의 내용 요소 탐구
엄인영 ( Eum In-young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9] 제62권 177~219페이지(총43페이지)
이 연구는 북한 교과서 내용의 중심인 주체사상 교양 교육 내용 요소를 김정은 시기와 전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통일 대비 국어교육 내용 설정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김정은 시기 새롭게 편찬된 교과서만의 큰 특징은 사회주의 애국주의 교양 교육에 있다. 김정은 전 시기 교과서가 김일성의 항일투쟁과 김정일, 김정숙, 김형직, 강반석 등의 김일성 일가에 대한 충실성 교양 교육이 많았다면, 김정은 시기 교과서는 민족애와 도덕성을 강조하는 사회주의 애국주의 교양 교육 내용 요소가 전 시기에 비해 많다는 특징이 있다. 이것은 김정은 시기만의 통치 전략으로 볼 수 있다. 사회주의 애국주의 교양교육의 한 예로 ‘내 나라 내 조국을 아끼고 조국의 풀 한 포기까지 아끼는 마음’ 과 같은 내용은 표면적으로 김일성 일가의 우상화 관련 내용이 아니므로, 통일 대...
TAG 주체사상 교양 교육, 사회주의 애국주의 교양 교육, Juche ideology liberal education, liberal education of the socialist patriotism
북한 중등 교과서의 현대시 제재 수록 양상 고찰
이경화 ( Lee Gyeong-hwa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9] 제62권 221~257페이지(총37페이지)
2012년 북한은 기존의 11년제 의무교육을 12년제 의무교육으로 개편하였고 이에 따라 교육과정 개정과 새로운 교과서 개편을 단행했다. 본 논의는 최근 새롭게 개편된 북한의 『국어문학』과 『문학』 교과서 분석을 통해 향후 남북한 통합 문학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먼저 기존의 교과서와 2013년에 개편된 교과서의 현대시 수록 양상을 통해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보고자하였다. 체제가 바뀌면서 새롭게 바뀐 교과서의 현대시 제재 수록 변화와 교과서 구성 방식의 변화를 통해 향후 남북한 통합 문학교육의 지향점을 찾을 수 있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두 가지 분석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현대시 제재의 경우 약간의 제재 변동사항은 있었으나 여전히 당과 수령을 찬양하는 제재를 싣고 있어 긍정적인 변화를 확인하기는 어려웠다. 다만 교과서 구성 방식...
TAG 북한 문학교육, 북한 현대시 교육, 북한 국어 교과서, 남북 통합 문학교육, North Korea’s literature education, North Korea’s modern poetry education, Korean language textbook of North Korea, integrated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ry educations
고등학교 문학 영역의 전통과 특질 관련 성취기준의 교재화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
류수열 ( Ryu Su-yeol ) , 김세림 ( Kim Se-rim ) , 김형석 ( Kim Hyung-seok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61권 9~43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는 교육 현장에서 자명한 명제적 지식인 것처럼 전달되고 있는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이 갖는 한계와 허점을 살펴본 것이다. 학술 담론과 교육 담론에서 제시하는 한국 문학의 특질들이 정말 우리 한국 문학의 특질인지, 나아가 이러한 특질을 규정하는 것이 가능한 일이며 합리적인지를 반문해 보는 시도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선대의 연구자들이 제시해 왔던 한국 문학의 몇몇 특질과 이에 대한 비판들을 하나씩 검토하였다. 또한 현재까지 학계에서 진행되어 온 특질 논의의 한계점 역시 비판적으로 되짚어 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역대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며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이 문학 교육의 내용으로 제시되기까지의 배경과 과정을 검토하였다. 국어과 교육과정의 역사에서 한국 문학의 특질이라는 학습 요소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온 과정을 통시적으로 고찰...
TAG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은근과 끈기, , 숭고미와 골계미, , 여성적 목소리, 학술 담론, 교육 담론, tradition and characteristic of Korean literature, subtleness, patience, sublimeness, humor, Han, , feminine voice, academic discourse, educational discourse
현대시 독자의 매개 텍스트 활용에 관한 시 교육적 고찰 - 전문 독자의 오장환 시 읽기 양상을 중심으로 -
강민규 ( Kang Min-kyu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61권 47~90페이지(총44페이지)
본 연구는 시 교실의 ‘매개된 시 읽기’ 현상을 독자의 매개 텍스트 활용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고 실제 독자의 시 읽기 양상 분석을 통해 교육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매개 텍스트는 시에 대해 독자가 구성하는 상상적 세계를 보완하거나 변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것은 독자에게 해석의 대상이 된다는 점, 시적 사유를 종결하지 않은 독자에게 상상의 재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독자의 주체성과 시적 사유의 풍부함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포한다. 전문 독자가 오장환 시를 읽을 때 매개 텍스트를 활용하는 양상을 검토한 결과, 매개 텍스트는 독자의 핵심적 사유에 부속되는 자료 또는 결정적인 해석의 틀로 기능하였다. 그리고 동화(同化) 의식에 입각한 상상적 세계 보완 또는 이화(異化) 의식에 입각한 대립적 세계 구성이라는 기능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이 검토...
TAG 시 교육, 매개, 매개 텍스트, 참조 텍스트, 해석 텍스트, 오장환, poetry education, mediation, mediating text, reference text, interpretation text, Oh, Jang-hwan
중국에서의 한국 현대문학 연구 현황 분석 및 향후 방향 설정
남연 ( Nan Yan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61권 91~139페이지(총49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 현대문학이 중국 지역에 많이 소개되어 있지 않다는 현실적인 문제와 한국 현대문학 연구자로서 지향해야 할 연구의 방향, 그리고 대학원 문학전공자를 위한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지도 방향이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에서 출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현대문학을 널리 소개하고,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불분명한 방향성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현황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방향 설정을 위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2장에서는 연구 현황 분석과 향후 방향 제시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외국인’이라는 입장에 착안하여 국문학 연구와 구별하여 중국 내 한국 현대문학 연구의 성격과 목적 및 연구의 내용 범위를 규명하였다. 중국인 한국문학 연구자는 외국인으로서 한국문학 소개자의 입장, 한중문학 비교 연구자의 입장, 한국문학(외국문학) 교육...
TAG 중국, 한국 현대문학 연구, 현황 분석, 향후 연구 방향, China, the research of modern Korean literature, status analysis, future research direction
감성적 소통을 위한 스토리텔링 교육 연구 - 연설을 중심으로 -
방은수 ( Bang Eun-soo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18] 제61권 141~174페이지(총34페이지)
오늘날 스토리텔링은 일상생활의 다양한 소통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그 이유는 스토리텔링이 다른 의사소통 행위와 달리 참여자의 감성에 관여하기 때문이다. 스토리텔링은 의사소통 과정에서 관계적 구심망으로 기능하는 가운데, 참여자의 감성에 울림을 준다. 이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는 감성적 소통을 위한 방편으로서 스토리텔링이 주목받고 있다. 이런 현실 속에서 현대인은 참여자의 감성을 흔드는 유능한 이야기꾼으로 거듭나기를 요구받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연설을 중심으로 감성적 소통을 위한 스토리텔링 교육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먼저 현대 사회에서 스토리텔링 교육의 방향을 탐색하였다. 현대 사회의 의사소통 문화와 스토리텔링 간의 관계를 살피고, 이를 토대로 소통적 관점에서 스토리텔링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전문가의 연설문을 중심으로 감성적...
TAG 스토리텔링, 스토리텔링 교육, 감성적 소통, 연설, 연설문, 서사 교육, 의사소통, storytelling, storytelling education, emotional communication, speech, narrative education, communi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