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종교교육학회78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동학으로 보는 자기발견과 돌봄
심형진  한국종교교육학회, 한국종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9] 제2019권 제1호, 87~96페이지(총10페이지)
가상적 신체화를 통한 포스트휴먼의 ‘자기’-돌봄 Posthuman ‘epimeleia-heautou’ through virtual somatization
이원진 , 황상희(논평)  한국종교교육학회, 한국종교교육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019] 제2019권 제1호, 103~124페이지(총22페이지)
‘개벽’으로 다시 읽는 한국 근대 - 「삼일독립선언서」에 나타난 개벽사상을 중심으로 -
조성환 ( Jo Sunghwan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9] 제59권 1~14페이지(총14페이지)
종래의 「삼일독립선언서」에 나타난 사상적 측면은 주로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의 영향과의 관련 속에서 평가되어 온 감이 있다. 그러나 삼일운동에 천도교가 깊숙이 개입하고 있었다고 한다면, 「삼일독립선언서」에도 천도교적 사상이 들어있으리라는 점은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천도교의 사상적 연원인 동학, 그리고 참동학을 자칭한 증산교, 그리고 이들을 계승한 원불교에 나타난 개벽사상을 중심으로 「삼일독립선언서」를 독해하였다. 그 결과 개벽종교의 핵심사상인 ‘개척정신 전환의식 도덕주의’가 「삼일독립선언서」에도 그대로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지 「삼일독립선언서」뿐만 아니라 한국의 ‘근대’ 자체를 개화가 아닌 개벽의 시각에서 다시 보아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AG 「삼일독립선언서」, 개벽사상, 개척정신, 문명전환, 도덕평화주의, 한국적 근대, “The Proclamation of Korean Independence”, Gaebyok (Great Opening/ Great, Transformation) thought, frontier spirit, transformation of civilization, moral, pacifism, Korean modernity
선불교(禪佛敎)와 평화의 두 원천: 『금강경(金剛經)』 을 중심으로
안호영 ( Ahn Hoyoung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9] 제59권 15~36페이지(총22페이지)
논문의 목적은 종교(宗敎)와 더불어 평화(平和)를 모색하려 할 때, 우리가 마주한 평화는 어떤 모습이고 또 우리의 삶에서 평화가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를 선불교(禪佛敎)의 주된 경전인 『금강경(金剛經)』을 통해 검토하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교를 만날 때 우리는 ‘종(宗)’의 호소력에 감응함으로써 일상의 앎에 의문을 제기하며 끝없는 구도의 길로 나아가기도 하지만, 끝내는 그 종교 자체마저도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宗’의 호소력에 공감하게 된다. 그리고 이런 의문을 제기하는 것 자체가 종교의 ‘생명성’으로부터 나온다는 것에서 ‘宗’의 견고함과 엄중함을 실감하게 된다. 더욱이 “의문에도 불구하고 종교를 계속 의지해야 하는가?”라는 물음은 오히려 ‘종’의 호소력에 지속적으로 귀를 기울이게 한다. 그렇다면 이런 태도를 평화에도 그대로 적용한다면 어떤 논의가 ...
TAG 선불교, 禪佛敎, 평화, 종교, 사상, 四相, 비상, 非相, Zen Buddhism, Peace, 平和, Religion, Four Images, Non-image
불교종립대학 지방캠퍼스 신입생 대상 불교교양강좌 운영 연구
정귀연 ( Jeong Kwiyeon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9] 제59권 37~62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불교종립대학인 ‘D ’대학 지방캠퍼스 신입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불교 필수교양강좌의 운영현황을 살펴보고 실제 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평가를 분석함으로써 앞으로 불교종립대학 지방캠퍼스 신입생 대상 불교교양강좌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불교교육이 어떤 역할을 담당해야 하며 어떻게 제시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즉 불교대학 입학 후 1년 동안 필수적으로 수강하게 되는 불교교양 강의를 접한 학생들은 불교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을 뿐만 아니라 몸과 마음이 편안하고 안정되는 긍정적 경험을 하였다. 또한 수강생들이 학습목표를 충분히 성취하고 ‘긍정적인 불교’, ‘존경하는 불교 교수 상’, ‘거룩한 스님 상’을 각인시키는 결과를 얻는 것은 불교종립대학에서 불교교양 강좌의 가장 큰 존재이유일 것이...
TAG 불교종립대학, 지방캠퍼스, 대학신입생, 불교교양강좌, Buddhist schools, local campus, university freshmen, Buddhist lectures
안중근의 거사와 가톨릭의 평화론
김용해 ( Kim Yonghae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9] 제59권 63~86페이지(총24페이지)
가톨릭 신앙인 안중근이 일본왕의 특사 이토 히로부미를 하얼빈에서 저격한 사건은 당시 일본과 한국은 물론 동양국가 더 나아가 국제사회에 커다란 파장을 던졌다. 100년이 지난 오늘에도 안중근은 역사에 살아서 동양평화를 이야기하는 모든 이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본 논문은 현대 가톨릭교회의 평화론을 기준으로 그의 삶과 행동을 조명하고 평가해 보고자한다. 현대의 기준으로 1 00년 전의 인물을 평가해 보려는 시도는 그가 시대를 앞서 간 위인이었음을 인정할 수밖에 없는 분이라는 것을 전제하는 것이다. 가톨릭 교회의 평화론에서는 전통적인 네 가지 원칙, 인간존엄성, 공동선, 연대성, 보조성 등의 원리를 살피고 갈등 속에서도 평화를 건설하는 프란체스코 교황의 네 가지 내적 태도를 소개한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와 태도가 안중근의 사상과 삶과 죽음 속에서 어느 정도 ...
TAG 동양평화론, 가톨릭평화론, 인간존엄성, 양심, 실재, Peace-theory of Asia, Catholic theory of Peace, Dignity of Human Being, Conscience, Reality
원불교적 관점에서의 수용(acceptance): 의미와 역할
임전옥 ( Lim Jeonok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9] 제59권 87~118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원불교적 관점에서의 수용의 의미와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먼저,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수용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자기수용과 심리적 수용의 측면을 통해 크게 두 가지로 이해할 수 있는데, 하나는 자신의 다양한 측면들뿐만 아니라 자신이 처한 현실적이고 환경적인 측면까지도 ‘있는 그대로 인식하고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자세’이며, 둘은 내적인 사건들을 회피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자각하면서 기꺼이 그리고 온전히 경험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원불교적 관점에서의 수용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원불교적 관점에는 진리적인 차원이 포함되어 있는데, 상대적 수용과 절대적 수용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대적 수용은 진리의 인과적 측면에 바탕해서 자신에게 일어나는 모든 차별적이고 현상적인 사건들을 지은 바에 대한 결과로서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며, 절대적 수용은 일체...
TAG 상대적 수용, 절대적 수용, 마음공부, 수용의 역할, Acceptance, Acceptance in the relative sense, Acceptance in the absolute sense, Mind study, Roles of acceptance
신앙공동체 및 영적 회복을 위한 기독교교육: 청소년 교육을 중심으로
이규민 ( Lee Kyoomin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9] 제59권 119~136페이지(총18페이지)
본 논문은 한국사회 및 청소년의 현실을 비판적 관점에서 고찰함으로써 현재의 해체주의적 파편화와 분절화의 심각성을 일깨우고자 한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에 대한 수정 및 대안적 가능성을 신앙공동체의 회복 및 영적 회복을 통해 하게 될 것이다. 특히 청소년들을 위한 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현재 문제의 진단과 함께 미래적 가능성을 조망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논리적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연구의 목적을 달성한다. 첫째, 청소년을 위한 신앙공동체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고찰한다. 둘째, 영적 회복을 위한 원동력으로서 기도와 회개의 중요성을 평양대부흥운동의 역동적 원리 속에서 살펴본다. 셋째, 청소년의 영적 회복을 위한 코이노니아의 역동성을 고찰한다. 넷째, 대그룹 예배와 소그룹 묵상을 통한 영적 부흥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다섯째, 청소년을 위한 멘토...
TAG 청소년교육, 영적 회복, 제임스 로더, 코이노이아, 평양대부흥, 청소년 멘토링, Youth Education, Spiritual Restoration, James Loder, Koinonia, Pyongyang Great Awakening, Mentoring for Youth
가톨릭 유치원 교사들의 가톨릭 종교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
김다솔 ( Kim Dasol ) , 김경이 ( Kim Kyungyee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9] 제59권 137~170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가톨릭 유치원에서 행해지는 가톨릭 종교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유치원에서 가톨릭 종교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교사들을 지원하기 위해 고려되어야 할 점이 무엇인가에 대한 탐색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유아 종교교육의 가능성과 교육실천에 대해 어떤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가? 둘째, 우리나라 가톨릭 유치원의 종교교육 현황은 어떠한가? 셋째, 가톨릭 유치원 교사들의 종교교육에 대한 이해와 실천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종교교육의 가능성과 교육실천에 대한 논의는 마리아 몬테소리의 영적인 존재로서의 어린이 이해, 로널드 골드만의 종교 사고적 발달이론, 토마스 그룸의 ‘삶에서 신앙으로, 다시 삶으로’ 접근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유치원 종교교육 현황은 현직 가톨릭 유치원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현...
TAG 가톨릭 유아 종교교육 현황, 가톨릭 유아교육, 유아 종교교육, current status of Catholic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Catholic childhood education, childhood religious education
죽음과 죽음 이후에 관한 그리스도교 신학의 이해
박영식 ( Park Youngsik )  한국종교교육학회, 종교교육학연구 [2019] 제59권 171~190페이지(총20페이지)
본 논문은 죽음과 죽음 이후에 관한 그리스도교의 견해를 서술하였다. 다만 그리스도교의 죽음과 그 이후에 관한 논의가 일의적이지 않다는 사실에 주목하면서, 역사 속에서 특히 현대신학의 논의에서 무엇이 쟁점인지를 부각하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영혼의 불멸과 육체의 부활이라는 두 주제의 길항 속에서 영혼과 육체의 이원론이 거부되는 오늘날의 시각을 주목하고, 현대 신학자들이 제시하는 전적 죽음론을 어떻게 계승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였다. 그 논의 과정 속에서 본 논문은 죽은 자의 동일성의 문제와 관련해서 ‘기억으로부터의 창조’와 부활의 공동체성을 특별히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그리스도교 신앙은 죽은 자의 동일성이 전적으로 하나님 자신에 의해 보존된다고 믿는다.
TAG 죽음, 부활, 영혼과 육체의 이원론, 전적 죽음론, 기억으로부터의 창조, death, resurrection, dualism of soul and body, entire death theory, creation from memory(creatio ex memoria)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