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불교사연구소92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불교에서 여성을 ‘보살’로 호칭하는 문화 원형에 대한 시론 ― 『삼국유사(三國遺事)』의 여성형 관음 화신의 역할과 기능을 중심으로
배금란 ( Bae Geum-ran )  한국불교사연구소, 문학/사학/철학 [2020] 제61권 180~207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불교 사찰에서 여성을 ‘보살’로 부르는 신행 문화의 원형을 신라불교 안에서 확인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의의가 있다.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를 가리켰던 보살의 관념은 대승불교 안에서 보리심을 발한 제반 수행자를 뜻하거나 관음, 문수 등 신앙의 대상이 되는 대보살과 연동된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특정 젠더에 국한되지 않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불교 신행 문화에서 보살이 재가의 여성 신도에 대한 호칭으로 전유 되면서 ‘보살=여성’의 통념이 자리매김했음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통념이 관음보살 화신의 관념을 토대로 신라불교 안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삼국유사』에서 여성형 보살의 양태가 주로 관음신앙 안에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에서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보살의 역할은 대체로 삼독(三毒)에 매인 수행...
TAG 관음신앙, 보살, 삼국유사, 신라불교, 원효, 여성 화신, 관음보살, Quan Yin faith, Bodhisattva, 菩薩, Samgug-yusa, Shilla Buddhism, Wonhyo, Female incarnation, Avalokitesvara, 觀音菩薩
분황(芬皇) 원효(元曉)와 자은(慈恩) 현장(玄奘)의 인명학 이해 ― 현량(現量)과 비량(比量) 이해를 중심으로
고영섭  한국불교사연구소, 문학/사학/철학 [2020] 제61권 208~240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불교 사찰에서 여성을 ‘보살’로 부르는 신행 문화의 원형을 신라불교 안에서 확인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의의가 있다.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를 가리켰던 보살의 관념은 대승불교 안에서 보리심을 발한 제반 수행자를 뜻하거나 관음, 문수 등 신앙의 대상이 되는 대보살과 연동된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특정 젠더에 국한되지 않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불교 신행 문화에서 보살이 재가의 여성 신도에 대한 호칭으로 전유 되면서 ‘보살=여성’의 통념이 자리매김했음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통념이 관음보살 화신의 관념을 토대로 신라불교 안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삼국유사』에서 여성형 보살의 양태가 주로 관음신앙 안에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에서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보살의 역할은 대체로 삼독(三毒)에 매인 수행...
동학에서의 도덕의 전환
조성환  한국불교사연구소, 문학/사학/철학 [2020] 제61권 241~25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불교 사찰에서 여성을 ‘보살’로 부르는 신행 문화의 원형을 신라불교 안에서 확인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의의가 있다.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를 가리켰던 보살의 관념은 대승불교 안에서 보리심을 발한 제반 수행자를 뜻하거나 관음, 문수 등 신앙의 대상이 되는 대보살과 연동된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특정 젠더에 국한되지 않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불교 신행 문화에서 보살이 재가의 여성 신도에 대한 호칭으로 전유 되면서 ‘보살=여성’의 통념이 자리매김했음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통념이 관음보살 화신의 관념을 토대로 신라불교 안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삼국유사』에서 여성형 보살의 양태가 주로 관음신앙 안에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에서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보살의 역할은 대체로 삼독(三毒)에 매인 수행...
경기도 안성 청룡사 <석가팔상도>(1914)와 중국 청대 『석가여래응화사적』
최엽  한국불교사연구소, 문학/사학/철학 [2020] 제61권 258~272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불교 사찰에서 여성을 ‘보살’로 부르는 신행 문화의 원형을 신라불교 안에서 확인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의의가 있다.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를 가리켰던 보살의 관념은 대승불교 안에서 보리심을 발한 제반 수행자를 뜻하거나 관음, 문수 등 신앙의 대상이 되는 대보살과 연동된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특정 젠더에 국한되지 않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불교 신행 문화에서 보살이 재가의 여성 신도에 대한 호칭으로 전유 되면서 ‘보살=여성’의 통념이 자리매김했음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통념이 관음보살 화신의 관념을 토대로 신라불교 안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삼국유사』에서 여성형 보살의 양태가 주로 관음신앙 안에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에서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보살의 역할은 대체로 삼독(三毒)에 매인 수행...
자신과의 약속을 지킨 어느 불교학자의 오래된 미래 ― 『불교학의 고향, 카슈미르와 간다라를 가다』를 읽고 나서 ―
박대용  한국불교사연구소, 문학/사학/철학 [2020] 제61권 273~285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불교 사찰에서 여성을 ‘보살’로 부르는 신행 문화의 원형을 신라불교 안에서 확인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의의가 있다.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를 가리켰던 보살의 관념은 대승불교 안에서 보리심을 발한 제반 수행자를 뜻하거나 관음, 문수 등 신앙의 대상이 되는 대보살과 연동된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특정 젠더에 국한되지 않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불교 신행 문화에서 보살이 재가의 여성 신도에 대한 호칭으로 전유 되면서 ‘보살=여성’의 통념이 자리매김했음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통념이 관음보살 화신의 관념을 토대로 신라불교 안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삼국유사』에서 여성형 보살의 양태가 주로 관음신앙 안에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에서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보살의 역할은 대체로 삼독(三毒)에 매인 수행...
어제 부른 노래, 오늘 쓴 향가, 내일의 잠재성 ― <현대향가> 1·2집을 중심으로 ―
김효숙  한국불교사연구소, 문학/사학/철학 [2020] 제61권 286~312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불교 사찰에서 여성을 ‘보살’로 부르는 신행 문화의 원형을 신라불교 안에서 확인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의의가 있다.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를 가리켰던 보살의 관념은 대승불교 안에서 보리심을 발한 제반 수행자를 뜻하거나 관음, 문수 등 신앙의 대상이 되는 대보살과 연동된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특정 젠더에 국한되지 않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불교 신행 문화에서 보살이 재가의 여성 신도에 대한 호칭으로 전유 되면서 ‘보살=여성’의 통념이 자리매김했음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통념이 관음보살 화신의 관념을 토대로 신라불교 안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삼국유사』에서 여성형 보살의 양태가 주로 관음신앙 안에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에서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보살의 역할은 대체로 삼독(三毒)에 매인 수행...
신간 시집 속의 시 한 편
윤제림 , 홍재운 , 고영섭 , 이명 , 고정애 , 장순금 , 이현채 , 이영신 , 정호승 , 이태규  한국불교사연구소, 문학/사학/철학 [2020] 제61권 313~32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불교 사찰에서 여성을 ‘보살’로 부르는 신행 문화의 원형을 신라불교 안에서 확인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의의가 있다.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를 가리켰던 보살의 관념은 대승불교 안에서 보리심을 발한 제반 수행자를 뜻하거나 관음, 문수 등 신앙의 대상이 되는 대보살과 연동된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특정 젠더에 국한되지 않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불교 신행 문화에서 보살이 재가의 여성 신도에 대한 호칭으로 전유 되면서 ‘보살=여성’의 통념이 자리매김했음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통념이 관음보살 화신의 관념을 토대로 신라불교 안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삼국유사』에서 여성형 보살의 양태가 주로 관음신앙 안에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에서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보살의 역할은 대체로 삼독(三毒)에 매인 수행...
아제 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
박경미  한국불교사연구소, 문학/사학/철학 [2020] 제61권 325~344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불교 사찰에서 여성을 ‘보살’로 부르는 신행 문화의 원형을 신라불교 안에서 확인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의의가 있다.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를 가리켰던 보살의 관념은 대승불교 안에서 보리심을 발한 제반 수행자를 뜻하거나 관음, 문수 등 신앙의 대상이 되는 대보살과 연동된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특정 젠더에 국한되지 않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불교 신행 문화에서 보살이 재가의 여성 신도에 대한 호칭으로 전유 되면서 ‘보살=여성’의 통념이 자리매김했음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통념이 관음보살 화신의 관념을 토대로 신라불교 안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삼국유사』에서 여성형 보살의 양태가 주로 관음신앙 안에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에서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보살의 역할은 대체로 삼독(三毒)에 매인 수행...
세계불교학연구소 인문학 기행
김미진  한국불교사연구소, 문학/사학/철학 [2020] 제61권 345~362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불교 사찰에서 여성을 ‘보살’로 부르는 신행 문화의 원형을 신라불교 안에서 확인하는 시론(試論)으로서 의의가 있다. 성도 이전의 석가모니를 가리켰던 보살의 관념은 대승불교 안에서 보리심을 발한 제반 수행자를 뜻하거나 관음, 문수 등 신앙의 대상이 되는 대보살과 연동된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특정 젠더에 국한되지 않는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국불교 신행 문화에서 보살이 재가의 여성 신도에 대한 호칭으로 전유 되면서 ‘보살=여성’의 통념이 자리매김했음을 볼 수 있다. 필자는 이와 같은 통념이 관음보살 화신의 관념을 토대로 신라불교 안에서 형성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는 『삼국유사』에서 여성형 보살의 양태가 주로 관음신앙 안에서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삼국유사』에서 여성으로 화신한 관음보살의 역할은 대체로 삼독(三毒)에 매인 수행...
김제 모악산(母岳山) 귀신사(歸信寺)의 역사와 인물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불교사연구소, 한국불교사연구 [2020] 제17권 5~53페이지(총49페이지)
이 논문은 신라 화엄십찰이었던 김제 모악산 귀신사의 역사와 인물에 대해 논구한 글이다. 한국불교는 고대의 천신, 산신, 무속 신앙의 원류를 풍류도라는 큰 가슴으로 껴안고 한국 민족 정신의 본류가 되어 도교와 유교와 기독교의 지류에 흘려주어 왔다. 이 때문에 한국사가 천지인(天地人) 삼재(三才)사상의 한우물로 이어져 왔다면, 한국불교사는 이 한우물을 불러 깨우는 마중물임이 분명하다. 마찬가지로 한국사상사가 삼재사상을 아우르는 풍류도의 한우물로 이어져 왔다면 한국불교사상사는 이 한우물을 불러 깨우는 마중물임이 분명하다. 신라와 고려 이래 왕실과 긴밀했던 신라 화엄십찰 김제 모악산 귀신사에 주석하다 고려시대에 국사로 추증된 원교국사 의상(義湘), 원명국사 징엄(澄儼), 현오국사 종린(宗璘) 등을 한국사상을 깊게 하고 넓게 한 철학자와 사상가로 본다면 그들의 ...
TAG 천지인, 삼재사상, 화엄십찰, 법장화상전, 의상전교, 원교국사 의상, 원명국사 징엄, 원교국사 종린, Heaven-earth-human beings, 天地人, thought of trilogy, 三才思想, Ten Hyayan Temples, 華嚴十刹, Shrine of Fazang, 法藏和尙傳, Uisang, s teaching, 義相傳敎, National preceptor, 國師, Wongyo Uising, 圓敎義湘, Wonmyung Jingum, 圓明澄儼, Hyunwoo Jongrin, 玄悟宗璘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