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공학연구92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에서 대시보드 유형과 학습자 특성이 교육효과에 미치는 영향
진성희 ( Sung-hee Jin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339~364페이지(총26페이지)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은 면대면 활동에 비해 많은 교육적 강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온라인이라는 자율적·독립적인 학습환경에서 비동시적으로 토론이 이루어지다 보니 학습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노력이 요구된다.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과정과 결과를 분석하여 대시보드 형태로 제공해 주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대시보드 관련 선행연구들은 개발에 초점을 둔 연구가 대부분이고 그 교육적 효과를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이 연구의 목적은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활동에 대한 참여도와 상호작용 대시보드가 학습자들의 특성에 따라 토론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2018학년도 2학기 H대학교의 ‘평생교육과 창의성’ 두 분반에 수강한 54명의 학습자들이었다. ...
TAG participatory dashboard, interaction dashboard, learner characteristics,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 learning analytics, 참여도 대시보드, 상호작용 대시보드, 학습자 특성, 비동시적 온라인 토론, 학습분석
메이커교육 아웃리치 프로그램 사례: 메이커 정신 함양을 중심으로
윤혜진 ( Hyea Jin Yoon ) , 강인애 ( Inae Kang ) , 강은성 ( Eun Sung Ka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365~393페이지(총29페이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도래는 현 시대가 당면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교육적 대안으로서 메이커 운동에서 기인한 메이커교육이 제시되고 있다. 메이커교육은 흔히 메이커 활동을 통한 결과물 생산이라는 하드 스킬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어 있으나 이와 동시에 메이커 활동 과정과 결과를 통해 소위 메이커 정신(mindsets)이라는 소프트 스킬을 함양한다는 목표도 지니고 있다. 뿐만 아니라 메이커교육은 다양한 도구와 재료 구비 및 전문 강사 수급, 메이커스페이스 활용, 나아가 실생활 연계 활동 등의 인프라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외부 기관과의 협력적 관계로서의 아웃리치 프로그램은 메이커교육을 실행하기에 더욱 요긴한 환경이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사고기반 메이커교육 모형’에 따라, 109명의 중학생 대...
TAG maker education, maker mindsets, maker movement, maker education model utilizing design thinking, outreach program, 메이커교육, 메이커 정신, 메이커 운동, 디자인사고기반 메이커 교육 모형, 아웃리치 프로그램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가 인식한 학교혁신 현황 및 과제: 중요도-수행도 차이분석을 중심으로
이지연 ( Ji-yeon Lee ) , 권나영 ( Na Young Kwon ) , 강지혜 ( Jihye Kang ) , 오정현 ( Jeonghyeon Oh ) , 이은배 ( Eunbae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395~423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한 학교혁신의 구체적인 내용과 전략을 설정하기에 앞서 지금까지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온 공교육 혁신의 현황과 과제, 일반학교로의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살펴보기 위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교사의 학교혁신에 관한 인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광역시교육청 관내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1,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중요도-수행도 분석기법(IPA)을 적용하여 설문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운영, 교원전문성, 교육과정 및 평가, 학교문화, 공간 및 테크놀로지의 5대 학교혁신 영역별로 비교해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일반학교보다 혁신학교에서 학교혁신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혁신과제들을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학...
TAG school innovation, innovative pilot school, public school,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학교혁신, 혁신학교, 일반학교, 중요도-수행도 분석(IPA)
학습분석 기반 대학 신입생 대상 학습부진 위험학생 조기예측 모델 개발 및 군집별 특성 분석
신종호 ( Jongho Shin ) , 최재원 ( Jaewon Choi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425~454페이지(총30페이지)
대학 첫 학기의 성적이 향후 학업성취와 지속에 영향을 미치며, 특히, 학령인구의 지속적 감소와 신입생들의 학업역량 약화를 고려할 때 신입생 대상의 학습 성과 예측을 통한 선제적 대응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분석을 기반으로 2016년~2018학년도까지 A대학의 3개년 동안의 신입생 4,662명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학습부진 가능성이 있는 학생을 조기에 예측할 수 있는 예측모형을 개발하고, 위험 학생으로 예측된 학생들의 특성을 분석하여 중재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계학습분석기법인 XGBoost를 활용한 최적모형 예측 결과 예측 모형의 재현도는 62.3%, 정밀도는 29.56%, F점수는 0.4, ROC곡선의 AUC는 0.733 으로 데이터가 제한적인 신입생 대상임을 고려할 때 의미 있는 모형이라고 ...
TAG learning analytics, underachivement, predictictive modeling, freshmen, machine learning, 학습분석, 학습부진, 예측 모형, 신입생, 기계학습
증강현실 기반 수업설계 원리 개발 연구
한송이 ( Songlee Han ) , 임철일 ( Cheolil L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455~489페이지(총35페이지)
증강현실은 현실 세계에 가상의 정보를 추가적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그 어느 교육매체보다 풍부한 학습 환경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의 능동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효과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때문에 증강현실 기반 교육은 텍스트와 자료설명으로만은 어려운 학습내용, 가시화하기 까다로운 내용, 추상적인 학습개념, 고위험 및 경비가 많이 드는 경험·실험 등에 적용하기에 효과적이다. 하지만 학교 현장에서의 증강현실 활용양상을 살펴보면 주로 단편적으로 초·중·고등학교에서 적용되거나, 고등교육에서 워크샵·세미나를 통한 일회성 혹은 간단한 경험정도로 이용되고 있으며, 학습에 효과를 줄 수 있는 전문적인 내용 보다는 주로 게임·엔터테인먼트 용도로 단순히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등교육 맥락에서 증강현실 기반 수업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수업설계원리를 개발하는 ...
TAG augmented reality, augmented reality based learning, HMD AR, 증강현실, 증강현실 기반 수업, 증강현실 교육용 콘텐츠 활용
가상현실 체험 기반 STEAM 수업설계 전략 개발 연구
조부희 ( Boohui Cho ) , 김성욱 ( Sungwook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491~525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는 초·중등교육에서 몰입형 앱을 활용한 가상현실 체험 기반 STEAM 수업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기 위한 수업설계 전략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선행문헌 고찰 및 경험적 탐색, 전문가 타당화, 수업 실행, 교수자와 학습자 반응 수집 및 분석의 과정을 거쳐 설계전략과 상세지침을 개발하였다. 연구결과, 몰입형 앱을 활용한 가상현실 체험 기반 STEAM 수업의 13개의 설계전략과 36개의 상세지침이 개발되었다. 본 설계전략을 적용한 수업프로그램 운영 후 교수자와 학습자의 반응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설계전략이 가상현실 기반 STEAM 수업을 체계적으로 설계하는데 도움이 되며 학습자의 만족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초·중등학교에서 가상현실 체험 기반의 STEAM 수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
TAG virtual reality, STEAM education, immersive applicatio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가상현실, STEAM 수업, 몰입형 앱, 초·중등교육, 수업설계전략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교육과정-평가의 유기적인 연계를 위한 설계 전략의 탐색
강지혜 ( Jihye Kang ) , 이병길 ( Byoungkil Lee ) , 권승아 ( Seung-a Kwon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527~549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초·중등교육, 고등교육, 평생교육 등 다양한 교육수요 계층을 대상으로 강조되고 있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교육과정-평가의 유기적 연계를 위한 설계전략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도권 소재 4년제 A대학교에서 교육인증을 취득한 4개 학과의 교육목표 및 교육과정 구성, 운영, 지원, 성과, 개선 등 역량기반 교육과정 전반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표와 교육과정의 연계를 위해서는 학교구성원의 요구와 사회수요기반의 트렌드와 니즈 분석하여 교육목표를 탐색하고 교육과정에 반영해야 한다. 둘째,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과정과 평가의 연계를 위하여 교수자는 교과목별 학습목표 및 수행준거와 교수학습, 평가방법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해야 한다. 셋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서 교육목...
TAG competency-based curriculum, educational accreditation, course-embedded assessment, curriculum revision, 대학 역량기반 교육과정, 교육인증, 교과기반평가, 교육과정 개편
2030 미래 교수학습 환경 설계를 위한 방향 탐색
이재진 ( Jaejin Lee ) , 박선화 ( Sunhwa Park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551~587페이지(총37페이지)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변화 추세에 따라 미래 교수학습 환경 설계를 위한 요구와 변화방향을 탐색하는 것을 주요 연구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미래 교수학습 방향 관련선행 연구와 해외 사례를 분석하였으며, 델파이 조사와 함께 미래 교수학습 전문가 및 관계자 심층면담, 해외 사례 조사를 통해 미래 교육을 위한 주요 교수학습 방법과 교수학습환경의 측면에서 변화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델파이 조사와 전문가 심층면담에는 각 분야의 전문가 67명이 참여하였으며, 총 연구기간은 2017년 5월부터 9월까지 5개월에 걸쳐 실시되었다. 미래 교수학습 환경 설계를 위한 요구와 방향에 대한 결과로는 학교 공간의 혁신적 구성, 테크놀로지 기반 교수학습 환경, 지역사회와의 연계 및 소통을 통한 학습 경험의 확대, 성장과 발달·친환경 건축과 생태환경의 중요성 강조가 미래 ...
TAG future school environment, future learning space, design of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미래학교 환경, 미래 학습 공간, 교수 학습 환경 디자인
미래학교 공간 구축 및 개선을 위한 핵심 설계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임철일 ( Cheolil Lim ) , 박태정 ( Taejung Park ) , 한형종 ( Hyeongjong Han ) , 김근재 ( Keunjae Kim ) , 권혜성 ( Hyeseong Kwon ) , 이지연 ( Jiyeon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9] 제35권 589~619페이지(총31페이지)
미래사회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학교 공간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역량의 효과적 향상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거시적인 측면에서 학교공간 및 시설의 구축과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미래 교육 환경으로서 학교 공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검토와 체계적인 접근은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학교의 보다 최적화된 설계를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설계요소를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을 지닌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 검토, 현장 사례 분석을 통해 고려해야 할 핵심 설계요소를 도출하였다. 이에 대해 미래학교 설계에 대해 전문성을 지닌 대학교수, 연구(위)원 및 장학관, 교사 포함 총 스물여덟 명을 대상으로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여 연구 결과에 대한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미래 지향적 학교 공간 구축 및 ...
TAG future education, school innovation, school space/facilities, design elements, 미래교육, 학교 혁신, 학교 공간 및 시설, 설계요소
학사경고자 예측을 위한 학습분석학적 모형 탐색
조명희 ( Myoung Hee Jo ) , 김은진 ( Eun Jin Kim ) , 이현우 ( Hyeon Woo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4호, 877~900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대학에서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습자에게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대학의 정보시스템을 통해 축적되고 있는 데이터를 통한 학사경고자 예측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학사경고자의 특징을 확인하고, 학기 시작 후 8주 동안 수집가능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학기말 학사경고자를 예측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A대학의 2017학년도 2학기 재학생 4,433명의 개별특성, 대학관련 특성, 고교관련 특성, 대학생활관련 특성, 학문적 특성에 따른 29개의 변수를 사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학사경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고교관련 특성의 고교유형, 대학생활 관련특성의 휴학횟수, 누적된 학사경고횟수, 학문적 특성의 수강신청전공학점으로 나타났다.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대학관련 특...
TAG academic warning, prediction, logistic regression, learning analytics, 학사경고, 예측, 로지스틱회귀분석, 학습분석학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