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광물학회164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페루 남동부 안다우아일라스-야우리 저반에 부존하는 반암-스카른 동-몰리브데늄-금광상의 새로운 지질연대 및 납동위원소 자료
호르게아꼬스타 ( Jorge Acosta ) , 허철호 ( Chul-ho Heo ) , 에데르비야레얄 ( Eder Villarreal ) , 신씨아야울리 ( Synthia Yauli ) , 까를로스살라자르 ( Carlos Salazar ) , 양석준 ( Seok-jun Yang ) , 모이세스오르테가 ( Moises Ortega ) , 브라울리오조리야 ( Braulio Zorrilla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19] 제32권 제1호, 71~77페이지(총7페이지)
페루 남동부 아뿌리막주 일대에 부존하는 트라피체 및 콘스탄시아 동-몰리브데늄-금광상의 새로운 U-Pb, Re-Os 지질연대 및 납동위원소 분석결과가 제시되었다. 금번 지질연대는 상기 지역에 대해 보고된 28~33 Ma 광화연령 구간의 첫 번째 광역적 펄스에 해당된다. 그리고 납동위원소 결과는 두 개의 광화작용 기원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상부지각에서 유래한 것이며 두 번째는 상부지각 및 하부지각의 혼합물로부터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TAG U-Pb 지질연대, Re-Os, 금속광상성인, 안다우아일라스-야우리 저반, 페루, U-Pb geochronology, metallogeny. Andahuaylas-Yauri Batholith, Peru
투수성반응벽체 적용을 위한 납석광물 기반 세라믹 반응매질의 특성평가
조강희 ( Kanghee Cho ) , 김현수 ( Hyunsoo Kim ) , 최낙철 ( Nag-choul Choi ) , 박천영 ( Cheon-young Park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18] 제31권 제4호, 227~234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세라믹 압출법을 이용하여 납석기반 세라믹 반응매질을 제조하였다. 납석의 광물학적 특성은 XRD, XRF, DSC-TGA 및 제타전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납석기반의 세라믹 반응매질은 다양한 소성온도범위(500~1,300 ℃)에서 수행하였다. 소성온도가 증가할수록 반응매질의 강도는 증가하였으나, 비표면적은 감소된다. 온도변화에 따른 납석의 무게손실과 구조변화를 XRD, DSC-TGA 및 SEM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엽납석은 소성온도 1,000 ℃에서 pyrophyllite dehydroxylate로 전이되며, 1,300 ℃에서 뮬라이트와 크리스토발라이트로 상변화가 발생된다. 본 연구를 통해 납석은 투수성반응벽체 적용을 위한 반응매질로서 세라믹 지지체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G 엽납석, 뮬라이트, 세라믹, 반응매질, 소성, Pyrophyllite, mullite, ceramic, reactive media, roasting
제올라이트 Y (Si/Al = 1.56) 골격 내의 Ca2+과 Cs+ 이온의 자리 경쟁 및 그들의 결정학적 연구
김후식 ( Hu Sik Kim ) , 박종삼 ( Jong Sam Park ) , 임우택 ( Woo Taik Lim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18] 제31권 제4호, 235~248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제올라이트 Y (Si/Al = 1.56)에서 Cs+ 이온 교환에 Ca2+ 이온의 경쟁 양이온 효과를 연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완전히 탈수되고 부분적으로 Cs+ 이온으로 교환된 3개의 제올라이트 Y(Si/Al = 1.56)의 단결정은 혼합이온교환 용액을 사용하여 흐름법으로 제조되었으며, 전체 농도가 0.05M인 이온교환용액의 CsNO3 : Ca(NO3)2 몰비는 1 : 1 (Crystal 1), 1 : 100 (Crystal 2) 및 1 : 250 (Crystal3)이다. 이온교환된 단결정을 723 K에서 2일 동안 1 × 10-4 Pa로 진공 탈수시켰으며, 결정구조는 100...
TAG 세슘, 경쟁 양이온, 제올라이트, 이온교환, 방사성 폐기물, Cesium, competing cation, zeolite, ion exchange, radioactive wastes
공작석과 남동석으로 제조한 천연 무기안료의 특성 연구
강영석 ( Yeong Seok Kang ) , 문성우 ( Seong Woo Mun ) , 박주현 ( Ju Hyeon Park ) , 정혜영 ( Hye Young Jeong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18] 제31권 제4호, 249~256페이지(총8페이지)
석록과 석청은 우리나라 전통 채색 문화유산에서 각각 녹색과 청색안료로 사용되어온 전통안료이며, 천연광물인 공작석과 남동석이 원료광물로 알려져 있다. 석록과 석청은 모두 중국, 일본 등지에서 수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부 청색계열의 안료가 국내에서 산출된 기록이 있으나, 탄산염 광물이 생성되기 어려운 우리나라의 지질환경을 고려하면 가능성은 높지 않다. 무기안료인 석록과 석청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공작석과 남동석 원료를 확보하고 성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전통제법을 적용하여 안료를 제조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조한 석록의 L* 값은 59-83 정도, a* 값은 -20 이하로서, 시판제품에 비해 채도가 약간 높았다. 흡유량은 22-29 mL/100 g이고, 은폐력은 99.2 %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석청의 L* 값은 35-65 범위이고, b* 값은 -1...
TAG 공작석, 남동석, 석록, 석청, 천연 무기안료, Malachite, azurite, seokrog, seokcheong, natural inorganic pigment
동중국해 99MAP-P63 코어 퇴적물의 기원지 연구
최재영 ( Jae Yeong Choi ) , 구효진 ( Hyo Jin Koo ) , 조현구 ( Hyen Goo Cho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18] 제31권 제4호, 257~266페이지(총10페이지)
동중국해는 황하(Huanghe), 장강(Changjiang) 및 한국의 여러 강들로부터 많은 양의 퇴적물을 공급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각 강들의 영향 및 퇴적과정을 밝혀내기 위해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나, 의견일치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동중국해 퇴적물의 기원지 및 퇴적 환경 유추를 위해, 99MAP-P63 코어 퇴적물에 대해 입도, 점토광물 및 희토류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점토광물 분석 결과, 일라이트(illite)의 함량이 가장 높고, 카올리나이트(kaolinite) 및 녹니석(chlorite), 스멕타이트(smectite)의 순으로 풍부하며, 점토광물을 이용한 99MAP-P63 퇴적물의 기원지는 깊이에 관계없이 모두 장강인 것으로 판단된다. 희토류원소 분석 결과, 99MAP-P63 퇴적물들은 중국 강 퇴...
TAG 점토광물, 희토류원소, 퇴적물 기원지, 동중국해, 장강, Clay mineral, rare earth elements, sediment provenance, East China Sea, Changjiang
미얀마 바간지역 사원 벽체 보수에 사용되는 석회 플라스터의 광물학적 및 물리적 특성
안선아 ( Sunah Ahn ) , 김은경 ( Eunkyung Kim ) , 남병직 ( Byeongjik Nam ) , 초수수랭 ( Chaw Su Su Hlaing ) , 강소영 ( Soyeong Kang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18] 제31권 제4호, 267~275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미얀마 바간(Bagan)지역 전통 건축물의 벽체 보수에 사용되는 소석회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바간 지역 문화재 수리 현장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석회 플라스터의 물리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미얀마 소석회의 X-선 회절 분석과 열분석 결과 포틀랜다이트(Ca(OH)2)와 수활석(Mg(OH)2)이 주구성광물로 검출되었으며, 이를 통해 석회의 원석으로 백운석(CaMg(CO3)2) 광물의 함량이 높은 탄산염 암석이 사용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주사전자현미경 분석 결과 미얀마 소석회는 0.5μm 이상의 불규칙한 형상을 가진 결정들과 소량의 0.1 μm 크기의 판상형 결정들이 응집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매끄러운 조직 형태를 관찰할 수 있었는데,...
TAG 미얀마, 석회, 플라스터, 방해석, 수활석, Myanmar, lime, plaster, calcite, brucite
고압 하에서 남동석의 거동에 대한 연구
김영호 ( Young-ho Kim ) , 최진원 ( Jinwon Choi ) , 최재영 ( Jaeyoung Choi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18] 제31권 제4호, 277~285페이지(총9페이지)
상온에서 남동석(Cu3(CO3)2(OH)2)에 대한 고압 거동 연구를 하였다. 대칭형 다이아몬드 앤빌기기를 이용하여 21.52 GPa까지 압력을 증가시키면서 각분산 X-선 회절법과 방사광을 이용하여 고압회절 데이터를 얻었으며, 시료에 가해준 압력은 루비 형광파의 파장 변화를 측정하여 결정하였다. 본 실험에서 시행한 압력의 범위 내에서 상변이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압상태에서 체적탄성률(K0)은 K0’이 4일 때, 54.4 GPa로 계산되었다. 상온상태에서 얻은 남동석의 체적탄성률에 대한 신뢰도를 정규화압력 및 정규화응력변형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TAG 남동석, 고압, 체적탄성률, 정규화 압력-응력변형 분석, Azurite, high pressure, bulk modulus, normalized pressure-strain analysis
토양 실트의 비정질 실리카
정기영 ( Gi Young Jeong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18] 제31권 제4호, 287~293페이지(총7페이지)
한반도 일부 토양에서 비정질 실리카(SiO2) 실트 입자들이 발견되었다. 토양 연마박편의 주사전자현미경에서 관찰된 비정질 SiO2 입자는 타원형이며, 1마이크론 이하의 극미세 공극들이 입자 내부에 집중 분포한다. 입자의 비정질성은 투과전자현미경 격자상 관찰과 전자회절로 확인하였다. 이 이질적인 실트 입자들의 풍성기원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중국 황토고원의 풍성퇴적물인 뢰스(loess)내 SiO2 실트입자들을 조사하였으나 유사 입자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아직 기원이 명확하진 않지만, 식물규소체나 화산재 풍화물일 가능성이 있다. 토양환경에서 비정질 SiO2 실트 입자의 장거리 이동광물먼지(황사) 추적자로서 가능성은 낮다.
TAG 비정질, 실리카, 토양, 실트, 투과전자현미경, 광물먼지, Amorphous, silica, soil, silt,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mineral dust
시료의 회전 속도가 함철 비정질 규산염의 고상 NMR 신호에 미치는 영향
김효임 ( Hyo-im Kim ) , 이성근 ( Sung Keun Lee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18] 제31권 제4호, 295~306페이지(총12페이지)
고상 핵자기공명 분광분석은 비정질의 원자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적인 방법론으로 다양한 비정질 규산염의 원자구조를 규명해왔다. 하지만, 함철 비정질 규산염의 경우, 철 함량 증가에 따른 신호의 변화가 상자성 효과와 구조 변동을 모두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분석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철 함량 증가에 따른 신호 변화가 실제 구조의 변동으로부터 기인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온도변화에 따른 신호의 이동 여부를 관찰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철 함량에 따른 함철 비정질 규산염의 신호 변화를 해석하기 위하여 철이 포함된 휘석과 아노르다이트 조성의 비정질의 가변회전 속도 29Si와 27Al NMR 실험을 수행하였다. 이는 온도 상승에 따른 신호의 변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며, 쌍극자 효과에 관한 정보를 제공...
TAG 함철 규산염 비정질, 핵자기공명분광분석, 상자성 효과, 비정질 구조, 시료 회전 속도, Iron-bearing silicate glasses, solid-state NMR, paramagnetic effect, glass structure, spinning speed
황강리 광화대 인성 금-은 광상의 광화 유체 진화
조혜정 ( Hye Jeong Cho ) , 서정훈 ( Jung Hun Seo ) , 이동하 ( Tong Ha Lee ) , 유봉철 ( Bong Chul Yoo ) , 이현우 ( Hyeonwoo Lee ) , 이강은 ( Kangeun Lee ) , 임수빈 ( Subin Lim ) , 황장원 ( Jangwon Hwang )  한국광물학회, 광물과 암석 [2018] 제31권 제4호, 307~323페이지(총17페이지)
인성광상은 옥천누층군의 황강리층 내에 발달한 열극 충진 함 금-은 및 베이스 메탈 석영맥 광상이다. 광상 생성에 기여한 맥들은 녹니석화, 규화작용, 견운모화 그리고 탄산염화 작용 등 다양한 변질양상 및 광석 광물에 따라 네 시기로 구분된다. 첫 번째 시기(stage 1)에는 자형의 황철석 및 유비철석과 함께 투명하고 경제적 광석이 나타나지 않는(barren) 석영맥이 나타난다. 두 번째 시기(stage 2)에는 자형 석영 결정의 석영맥이 형성되며, 유비철석, 섬아연석, 황동석, 황철석 및 방연석이 나타난다. 세 번째 시기(stage 3)에는 유백색 석영맥과 소량의 섬아연석이 나타난다. 네 번째 시기(stage 4)에는 자형의 석영 결정을 포획한 방해석맥이 나타나며, 모암 내 탄산염 변질과 함께 소량의 유비철석, 황철석, 방연석, 섬아연석 및 ...
TAG 황강리 광화대, 옥천누층군, 인성 금-은 광상, 유체 포유물, 천열수, Hwanggangri metallogenic region, Okcheon Supergroup, Inseoung gold-silver mine, fluid inclusion, epithermal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