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과학교육학회33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태도, STS와 과학의 본성에 대한 견해에 미치는 영향
김민환 ( Minhwan Kim ) , 김성훈 ( Sunghoon Kim ) , 노태희 ( Taehee Noh ) , 최숙영 ( Sookyeong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6호, 791~797페이지(총7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한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태도, STS와 NOS에 대한 견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수도권 소재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학생 223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통합과학과 과학탐구실험의 이수 전후에 각각 검사를 실시하고 두 검사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에 대한 흥미 점수와 과학적 태도 점수는 이수 전후에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STS에 대한 견해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 연구 윤리에 관한 항목의 견해는 이수 후에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으나 나머지 항목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NOS에 대한 견해의 점수는 모든 영역에서 이수 전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논의하였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AG Integrated Science, Science Inquiry Experiment, Interest in science, Scientific attitude, STS, Nature of science,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태도, 과학의 본성
집단중심 추세모형을 이용한 과학중점학교 1학년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과 과학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하민수 ( Minsu Ha ) , 이기영 ( Kiyoung Lee ) , 최은환 ( Eunhwan Choi ) , 김일찬 ( Ilchan Kim ) , 유지혜 ( Jihye Yu ) , 원복연 ( Bokyeon Wo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6호, 799~807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는 과학중점학교의 1학년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과 과학학습동기를 향상시키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과학중점학교 1학년 프로그램은 과학탐구 기초교육, 조사 발표, 심화실험, 소논문 기초교육 등으로 구성된다. 프로그램 참여자는 총 262명이며, 설문 검사를 모두 수행한 학생은 169명이다. 집단중심 추세모형 분석을 통해 유사한 점수 변화 보이는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중점학교의 1학년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과학과 핵심역량과 과학학습동기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집단중심 추세모형 분석 결과 약 40∼60%의 학생들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보았다. 인문 계열을 선택한 학생들 중에서도 효과가 나타나는 학생들이 있었으며, 과학중점 계열을 선택한 학생 중에서도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학생들도 일부 있었다. 집단중심 추세모형 분...
TAG science-focused school, scientific core competency, science learning motivation, group-based trajectory modeling, 과학중점학교, 과학과 핵심역량, 과학학습동기, 집단중심 추세모형
STEAM 교육의 한계와 개선방향 -STEAM 교육 전문성을 가진 교사의 견해를 바탕으로-
손미현 ( Mihyun Son ) , 정대홍 ( Daehong Jeo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5호, 573~584페이지(총12페이지)
2011년부터 시도된 STEAM 교육은 여전히 자생적 확산은 어려운 상태이다. STEAM 교육의 확산이 자율적으로 일어나지 않는데는 STEAM 교육의 정체성 부족과 이로 인한 교사들의 혼란, 정책의 변화로 인한 현실과의 괴리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교사들의 경험적 지식을 활용한 현장 적용에 관련된 연구에서 벗어나 주로 전문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졌던 STEAM 교육에 대한 본질을 교육 실행의 주체인 교사의 눈에서 바라보고 한계와 방향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책 경험과 현장 적용 경험이 모두 풍부한 8인의 초중고 교사로부터 STEAM 교육의 목적, 정의, 준거틀, 변화 등에 대한 설문 및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유형적 분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STEAM 교육의 목적은 정책적인 목적보다는 교사 ...
TAG STEAM education, framework, definition of STEAM, STEAM expert teacher, STEAM 교육, 교수학습 준거틀, STEAM 교육의 정의
PCK에 근거한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과학과 문항 분석
강훈식 ( Hunsik K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5호, 585~597페이지(총13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 임용후보자 선정경쟁시험의 과학과 문항을 PCK 관점에서 분석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해당 문항 분석을 위한 분석틀을 도출한 후 2013학년도부터 2019학년도까지의 출제된 1차 전형 평가의 과학과 14개 문항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PCK 구성 요소 중에서는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도 비교적 많이 출제되었다.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 ‘학생에 관한 지식’,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은 비교적 매우 적게 출제되었다. 또한 특정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들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가 있었다. PCK 구성 요소 사이의 통합 수준에서는 PCK 구성 요소 중 2가지 측면의 통합이 2가지 유형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TAG elementary school teacher employment examinati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subject item, 초등교사 임용시험, 교과교육학 지식(PCK), 과학과 문항
시스템 사고 평가 루브릭을 활용한 예비교사들의 지구 시스템 내 탄소 순환에 대한 시스템 사고 수준 분석
박경숙 ( Kyungsuk Park ) , 이현동 ( Hyundong Lee ) , 이효녕 ( Hyonyong Lee ) , 전재돈 ( Jaedon Jeo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5호, 599~611페이지(총13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시스템 사고 측정을 위한 루브릭을 활용하여 지구 시스템 내에서 나타나는 탄소 순환에 대한 시스템 사고 수준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문헌 분석을 통해 교육 또는 과학 교육에 적용 가능한 시스템 사고 수준 모델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Lee et al.(2013)이 개발한 5-Likert 시스템 사고측정 도구, Assaraf & Orion이 개발하고 국내에서 수정·보완하여 활용하고 있는 시스템 사고 검사지를 이용하여 8명의 예비 교사들로부터 시스템 사고를 조사하였다. 예비 교사들이 작성한 시스템 사고검사지는 Sibley et al.(2007)에서 활용한 Box형 인과 지도로 변환하고 Hung(2008)이 개발하고 Lee & Lee(2017)에서 수정하여 적용한 시스템 사고 측정을 위한 루브릭을...
TAG Systems Thinking, Systems Thinking Level, Carbon Cycle, Earth Systems, 시스템 사고, 시스템 사고 수준, 탄소 순환, 지구 시스템
고등학생들의 과학사, 과학, 역사 과목에 대한 관계인식 탐색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진로선택 과목 ‘과학사’를 중심으로-
이준기 ( Jun-ki Lee ) , 하민수 ( Minsu Ha ) , 신세인 ( Sein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5호, 613~624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진로선택 교과목인 ‘과학사’ 과목과 과학과 역사의 관계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실제 과학사 수업을 경험하기 이전과 이후의 이 인식의 변화를 계열별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등학생 265명이 그린 과학사와 과학, 역사와의 관계를 표현한 벤다이어그램 도형 자료를 수집하고, 이에 대한 설명 텍스트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귀납적으로 범주화하여 최종적으로 범주화하였다. 벤다이어그램 자료를 분석한 결과 ‘과학과 역사의 만남으로서의 과학사’, ‘독립영역으로서의 과학사’, ‘역사의 일부로서의 과학사’, ‘과학의 일부로서의 과학사’, ‘모두를 아우르는 과학사’의 5가지의 다양한 관계범주 유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각 유형들마다 다양한 세부유형들이 존재함을 확인할 ...
TAG history of science, history of science education,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s among subjects, Venn diagram, academic track, 과학사, 과학사 교육, 관계 인식, 벤다이어그램, 계열별 비교
초등 과학 수업에서 학생주도 인포그래픽 구성 활동의 효과
이희우 ( Heewoo Lee ) , 임희준 ( Heejun Lim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5호, 625~635페이지(총11페이지)
학생들은 일상생활에서 많은 시각적 표상을 경험하고 있기 때문에 시각적 표상과 글을 함께 제공하는 인포그래픽은 교사가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으로 효율적이다. 또 학생이 직접 정보를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기록을 글로 하는 기존의 실험관찰책과 비교하여 학생들이 직접 구성하는 인포그래픽이 초등학교과학 수업에 어떤 효과를 미칠 것인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의 한 초등학교의 5학년 4개 학급 99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적용 단원은 ‘산과 염기’ 단원으로 두 집단의 수업은 교과서에 제시된 동일한 탐구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연구집단은 탐구 결과와 과정을 인포그래픽으로 구성한 반면, 비교집단은 실험관찰책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설명하려는 내용에 따라 인포그래픽의 유형...
TAG infographics, science education, teaching, academic achievement, perception, elementary science, science-related attitudes, 인포그래픽, 학업성취도, 과학에 대한 태도, 인식, 초등과학
과학적 논의 과정을 시각화한 과정중심평가에서의 과학적 개념 이해 발달
김미숙 ( Misook Kim ) , 유선아 ( Suna Ryu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5호, 637~654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논의 과정을 시각화한 과정중심평가를 통해 과학적 개념의 발달 과정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고등학교 학생 353명과 교사 5명이었으며, 자료의 분석은 논의 활동을 촬영한 영상, 소집단 활동지, 그리고 인터뷰 내용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발화를 논의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소집단 내 논의에서 과학적 개념은 질문 및 의미 명확화의 과정을 통해 구체화되었고, 동의 및 반박의 과정을 통해 조직화되었으며, 소집단 간 논의에서의 질문, 의미 명확화 및 주장 변경을 통해 정교화되었다. 교사는 논의 과정이 시각화된 소집단 활동지를 통해 학생들의 논의과정을 이해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피드백을 제공하고 수업을 개선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 과정의 시각화는 학생의 자기평가, 동료평가를 가능하게 할 ...
TAG process-centered assessment, scientific argumentation, visualization of the process, development of scientific conceptual understanding, high school students, 과정중심평가, 과학적 논의, 논의 과정의 시각화, 과학적 개념의 발달, 고등학교 학생
중학생의 과학 그래프 구성에 관한 문제 해결 과정 연구
이재원 ( Jaewon Lee ) , 박가영 ( Gayoung Park ) , 노태희 ( Taehee Noh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5호, 655~668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구성 과정을 문제 해결의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조사하였다. 중학교 3학년 학생 1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이들은 앙금 생성 반응을 묘사한 그림 자료를 바탕으로 과학 그래프를 구성하였다. 학생들이 그래프를 구성할 때 거치는 사고 과정을 심층적으로 조사하기 위하여 발성사고법을 활용하였고, 그래프 구성 과정에 대한 녹화 및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과학 그래프 구성 유형은 문제 해결 전략과 활용한 표상의 수준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구조적 전략을 사용한 학생들은 그래프의 목표 개념에 대한 명제적 지식을 바탕으로 자료를 분석하고 경향성을 파악함으로써 활용한 표상의 수준과 무관하게 과학 그래프 구성에 성공하였다. 임의 전략-고차원 표상 유형의 학생들은 다양한 표상을 활용해 자...
TAG graph construction, problem solving, representation, think-aloud, 그래프 구성, 문제 해결, 표상, 발성사고법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탐구실험’ 운영 실태 조사
변태진 ( Taejin Byun ) , 백종호 ( Jongho Baek ) , 심현표 ( Hyeon-pyo Shim ) , 이동원 ( Dongwon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5호, 669~679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처음 도입된 과학탐구실험 과목을 운영하면서 과학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과학탐구실험 수업과 관련하여 수업 외적 요인, 수업 실천(준비, 실행), 수업에 대한 평가, 과학탐구실험 과목의 발전방향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전국의 1674개교의 고등학교에 1교당 1명의 교사가 응답하도록 온라인 설문 조사를 요청하였다. 설문 결과 분석에는 설문지의 필수문항에 모두 답변한 814명의 응답 내용이 활용되었고, 결과 분석의 타당도 확보를 위해 집단 면담과 온라인 자문회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수업 준비 시간과 수업 시간의 부족을 호소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 보조 인력의 활용, 양질의 자료 개발 및 공유를 강조하였다. ...
TAG 2015 revised curriculum,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High school, Scientific inquiry education,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탐구실험, 고등학교, 과학 탐구교육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