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환경생태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176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외래거북의 행동생태적 특성 기반으로 개발한 트랩의 효율성
김현정 ( Hyunjung Kim ) , 구교성 ( Kyo Soung Koo ) , 권세라 ( Sera Kwon ) , 김아정 ( Ajoung Kim ) , 강하경 ( Hakyung Kang ) , 서재영 ( Jaeyoung Seo ) ,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80(총1페이지)
지구의 건강 지표 중 하나인 ‘생물다양성’이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생물 종 감소 의미를 넘어서, 궁극적으로 지구에 살아가는 인간 삶의 위협까지도 의미한다. 생물다양성 감소에는 토지 및 바다 이용 변화, 생물종 남획, 오염, 기후변화 등 여러 요인이 있으며, 전 세계가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외래생물의 유입 증가’도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글로벌화가 진행됨에 따라 외래종 수입 시장이 폭발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외래생물의 문제는 거북류에서도 발생하고 있으며 종교적인 방생, 관리 부주의로 인한 유출, 사육 부담 및 관심 저하로 인한 사육 포기 등의 이유로 야생에 유입되는 것으로 파악된다. 외래생물과 동물 멸종의 상관관계 연구에 따르면 멸종 원인을 알고 있는 동물 중, 약 20%에 달하는 종이 외래생물의 직접적인 영향으로 멸종되었다. 또한,...
토종 민물거북 남생이와 외래종 붉은귀거북의 분리 포획 방안
구교성 ( Kyo Soung Koo ) , 권세라 ( Sera Kwon ) , 김아정 ( Ajoung Kim ) , 강하경 ( Hakyung Kang ) , 서재영 ( Jaeyoung Seo ) , 김현정 ( Hyunjung Kim ) , 박지희 ( Ji Hee Park ) , 윤가영 ( Ka-young Yun ) , 김예빈 ( Yebin Kim ) ,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81(총1페이지)
토착 생태계로 유입된 외래생물을 관리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직접 포획 방법이다. 직접 포획을 위해서는 그물, 먹이 유인, 화학물질 등 대상 생물에게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국내로 유입된 외래거북의 포획 방법으로 어류를 포획할 때 쓰는 통발이나 그물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지만, 개체가 익사하는 문제와 대상 외 불특정 생물들이 혼획되는 경우가 있다. 이화여자대학교에서는 외래생물 제거 기술 개발의 일환으로 거북류의 일광욕 및 먹이에 유인되는 특성을 적용하여 자체제작한 포획틀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연구 과정에서도 대상종인 외래거북류 뿐만아니라 토착종인 남생이가 혼획되는 사례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과정에서 확인된 토착종의 혼획되는문제와 혼획을 방지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모듈식 포획틀은 거북류이 일광욕 하는 특성과 먹이에 유인되는 특성을...
종분포모델링을 이용한 외래거북의 서식지 적합성 예측이 실제 분포와 일치할까?
구교성 ( Kyo Soung Koo ) , 윤가영 ( Ka-young Yun ) , 김예빈 ( Yebin Kim ) , 장이권 ( Yi-kweon J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20] 제2020권 제1호, 82(총1페이지)
외래생물의 유입은 토착 생태계를 교란하는 가장 큰 문제가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뉴트리아, 미국가재, 황소개구리, 가시박 등 다양한 외래생물들의 침입과 문제가 꾸준히 보고 되고 있다. 외래생물의 침입은 토착종과 경쟁하거나 포식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새로운 질병을 유입시키는 방법으로 생태계를 교란한다. 이에 따라 외래생물을 관리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은 점점 커지고 있다. 세계 100대 침입종으로 유명한 생태계교란종 붉은귀거북(Trachemys scripta elegans)은 1970년대부터 수입되기 시작했으며, 현재에는 국내 환경에서 자연 번식에 성공했다. 또한, 2020년 3월 생태계교란종으로 추가 지정된 리버쿠터(Pseudemys concinna)의 경우에도 야생에서 번식이 확인되었다. 이 밖에도 10여종에 달하는 외래거북들이 국내 야생에서 ...
한국산 두꺼비(Bufo gargarizans)의 동면지점과 춘면지점의 특징에 관한 연구
박승민 ( Seoung-min Park ) , 최재혁 ( Jae-hyeok Choi ) , 강희진 ( Hee-jin Kang ) , 박혜린 ( Hye-rin Park ) , 천승주 ( Seung-ju Cheon ) , 구교성 ( Kyo Soung Koo ) , 성하철 ( Ha-cheol Su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25(총1페이지)
서식지는 생물이 살아가고 번성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이 포함된 가장 기본적인 공간이다. 따라서 생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 생물의 서식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두꺼비(Bufo gargarizans)는 국내에 서식하는 대형 양서류로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하지만 서식지 파괴와 오염 등의 이유로 개체수가 줄고 있으며, 저수지에 산란하는 특징으로 산림과 저수지가 연결되어 있는 지역에서만 발견되고 있다. 또한 두꺼비는 일반적인 양서류와 달리 물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서 산림에서도 서식할 수 있으며 번식이 끝나면 한 달 정도 휴식을 취하는 ‘춘면’을 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착양서류인 두꺼비의 생태적인 이해와 종 보존을 위한 자료 수집의 일환으로 두꺼비들의 ‘동면’과 ‘춘면’이 이루어지는 서식지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진행하였다....
부산광역시 해안림에 분포한 곰솔군락의 식생구조
신해선 ( Hae-seon Shin ) , 이상철 ( Sang-cheol Lee ) , 최송현 ( Song-hyun Choi ) , 강현미 ( Hyun-mi Kang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26(총1페이지)
해안림이란 바닷가에 인접한 숲으로서 여러 생물들이 해안의 환경에 적응하며 이루어진 숲이다. 또한 바다와 내륙에 위치한 생태학적 전이지대로서 생물 다양성이나 자원집약도가 높으며 기술적·사회문화적 측면에서 국민에게 높은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특히 항구도시인 부산광역시는 남해안과 동해안이 만나는 접경지로 긴 해안선을 이루고 있으며 부산시 면적의 절반이상이 해안선을 끼고 있는 특징을 가진다. 곰솔은 내염성이 강한 수종으로 동해, 서해, 남해안 지역과 제주, 울릉도에 자생하는 해안림의 대표적인 수종이다. 최근 곰솔해안림은 인간의 개발 및 각종 병해충으로 식물생리학적으로 취약한 상태에 놓여있다. 특히 남부산림권역의 경우 해안림이 파편화로 인해 생태축이 단절되어 있어 종다양성 유지를 위한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해안림의 식생유형과 구조를 ...
사스레피나무를 중심으로 한 부산광역시 식생구조 분석
장정은 ( Jung-eun Jang ) , 최송현 ( Song-hyun Choi ) , 이상철 ( Sang-cheol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27~28페이지(총2페이지)
사스레피나무(Eurya japonica)는 우리나라 제주도 해안가와 산지, 남해안 도서 및 남부지역에 흔히 자생하는 상록활엽관목 또는 소교목이다. 반음수로 양지에서 천연하종이 잘 되며, 5~8℃ 이상에서 월동하고, 13~21℃에서 잘 자란다. 건조하고 척박한 사질양토에 잘 자라며 내염성, 내조성이 강하고 수분요구도가 적어 남부지방의 절개지 혹은 사방지 조림에도 쓰이며 내공해 수종으로 공원수, 정원수, 생울타리로도 식재된다. 조경수 및 약용으로 쓰이는 것 외에도 사스레피나무는 국가 기후변화 생물지표종으로 지정되어 관리된다. 식물의 분포 및 생육지의 확대 ·축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체군간의 경쟁, 외래종에 의한 침입, 지형의 변화, 인간의 간섭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대다수 식물이 북상하는 가장큰 요인은 기후변화이다. 이러한 기후변화...
전국 보호지역 팔색조 생물계절 정밀관측 연구
최세준 ( Se-jun Choi ) , 정태준 ( Tae-jun Jung ) , 최대훈 ( Dae-hun Choi ) , 정승준 ( Seung-jun Jeong ) , 김윤재 ( Yoon-jae Kim ) , 조인호 ( In-ho Jo ) , 박태훈 ( Tae-hoon Park ) , 이병희 ( Byung-hee Lee ) , 송한석 ( Han-suk Song ) , 최태영 ( Tae-young Choi ) , 전영지 ( Jeon-young Ji ) , 기경석 ( Kyong-seok Ki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29(총1페이지)
팔색조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 세계자연보전연맹 적색자료목록 취약종(VU), 국립공원 깃대종 등으로 국제적 보호가치가 높은 종이다. 팔색조는 원래 남부 도서지방 및 남부 내륙에서 드물게 번식하는 종이었으며 최근에는 중부 내륙에서도 확인되고 있으나 전국 번식실태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국 보호지역을 대상으로 생물음향 모니터링 기법을 이용하여 2019년 여름철 팔색조 번식울음을 정밀 관측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내륙 자연공원 및 람사습지 21개소이었다. 연구방법에서 송미터를 통한 생물음향 녹음은 시간당1분씩 24시간 매일 녹음하였다. 생물음향 분석은 24시간 매일 분석하였다. 생물음향 분석은 소노그램에 의한 시각화 분석과 청음분석을 병행하여 종을 식별하고, 해당 시간대에 종이 울면1점, 종이 울지 않으면 0점을 부여하였다. 조사기...
여치 서식지의 식물상과 생활형
송종원 ( Jong-won Song ) , 차두원 ( Doo-won Cha ) , 김진원 ( Jin-won Kim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30~31페이지(총2페이지)
여치(Gampsocleis sedakovii obscura)는 메뚜기목 여치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주로 한국, 중국, 러시아에 분포하고 있다. 여치는 예로부터 보릿대를 이용하여 여치집을 만들어 청음을 위해 길렀던 풍습이 있을 만큼 우리에게 친근한 곤충이며 현재에는 21세기 주요 산업 중 하나인 곤충산업의 대상 곤충 종중 하나로 등록이 되었다. 한반도는 여치 서식지의 남방한계선으로 1970~80년대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된 기록이 있으나 현재는 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 백두대간을 따라 분포하고 있으며 그 외의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이에 여치 서식지에 대한 식물상과 생활형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여치의 서식지의 특성을 분석하여 여치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과 동시에 감소하고 있는 여치 서식지 복원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
관악산 생태 ·경관보전지역의 회양목군락 식생구조 및 회양목 밀도 분포 특성
위사양 ( Si-yang Wei ) , 송종원 ( Jong-won Song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32(총1페이지)
회양목은 제주도, 전남 보길도, 경북 주왕산, 충북 단양, 강원영월 등지에 자생하고 있는 상록활엽관목으로 석회암지대에서 잘 자라며, 크게 자라는 경우 높이가 7m에 달한다. 서울시 생태·경관보전지역 중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은 서울시에서는 보기 드문 회양목군락이 넓은 면적에 걸쳐 자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어 2009년에 보호지역으로 지정되었다. 보호지역으로 지정된 이후 2011년~2012년에 서울시에서 정밀자연환경조사를 통하여 관악산 생태·경관보전지역 내의 식생분포 현황, 회양목 군락의 종구성 특성, 종다양도 등 생태적인 군락특성이 파악되었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식생 천이, 환경 변화, 외부 교란 등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회양목의 군집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국내에서 회양목 군락 자생지에 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 있지 않아 ...
한강 하구변 습지에 분포하는 버드나무속의 군락 구조 특성 연구
최지원 ( Ji-won Choe ) , 오충현 ( Choong-hyeo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 제2019권 제2호, 33~34페이지(총2페이지)
하천변의 미소환경 변화는 하천변 고유의 특징적인 생태계를 구성하고, 육상 생태계와 수생태계 사이에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그 역동성으로 인해 하천변에서는 일반적인 목본식물의 생육이 어려우므로, 효과적인 하천 복원을 위해서는 하천변에 자연적으로 생육하는 수종의 생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한강 하구에 위치한 버드나무속군락 연구는 일부 지역에만 국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본 연구는 서울 강서습지 생태공원과 고양 대덕 생태공원의 방화대교-마곡대교 일원에 위치한 버드나무군락을 대상으로, 입지 특성 변화와 이에 따른 버드나무속 군락의 변화 경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문헌조사를 통해 입지 특성에 따른 버드나무속 식생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2018면 10월 현장 조사를 통해 버드나무속 군...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