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70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학습발달과정에 근거한 과정중심 STEAM 역량 평가 모델에 대한 이론적 탐색
유선아 ( Suna Ryu ) , 곽영순 ( Youngsun Kwak ) , 양성호 ( Sung Ho Ya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8] 제42권 제2호, 132~147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과정중심 평가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STEAM 교육 맥락에서 핵심역량의 학습발달과정에 근거하여 개발,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과정-결과를 결합한 모듈 타입(Process-Products Combined Module-type)의 STEAM 평가모델(P2CM STEAM 평가모델)’은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것으로, STEAM 수업 맥락에서 핵심역량 학습발달과정에 초점을 둔 모델이다. < P2CM STEAM 평가모델 >의 특징은 STEAM 수업과 평가를 연계하고, 과정평가와 결과평가가 동시에 가능하며, 다양한 STEAM 주제와 수업유형에 실제로 적용 가능한점이다. < P2CM STEAM 평가모델 >은 3개의 축으로 구성되는데, 첫 번째 축(X축)은 STEAM에서 중점을 두어야 할 4...
TAG STEAM, process-centered assessment, competency assessment, module-type assessment model, evidence-based assessment, 과정중심평가, 역량평가, 모듈형 평가모델, 증거기반 평가
생식과 발생 단원과 연계한 성교육 프로그램이 중학교 남학생들의 성지식 및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 ( Sun Young Kim ) , 박수빈 ( Su Bin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8] 제42권 제2호, 148~164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남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성교육 프로그램은 중학교 3학년과학 ‘생식과 발생’ 단원과 연계하여 생식기관의 구조와 기능, 수정과 생명의 소중함, 낙태, 사람의 발생 과정, 성병과 에이즈, 성적 행동에 있어 자기결정의 중요성과 그 책임을 주제로 총 7차시로 개발되었다. 총 90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실험집단에게는 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교과서의 탐구와 읽기자료를 활용하여 강의를 통한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후검사에서 실험집단 학생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성지식에 대한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실험집단 학생들은 성지식 검사도구의 하위 영역 중 임신 및 출산, 성건강 영역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 수업처...
TAG attitude towards sex, knowledge on sex, middle school boys, science, sex education, 과학, 성교육, 성지식, 성태도, 중학교남학생
PISA 2015 과학 영역에 나타난 학생 성취수준 집단 및 성별에 따른 교육맥락 변인의 특성 및 영향력 분석
구자옥 ( Jaok Ku ) , 구남욱 ( Namwook Ko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8] 제42권 제2호, 165~181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PISA 2015의 과학 영역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학생의 성취수준 집단 및 성별 집단에 따른 다양한 교육맥락 변인의 특성과 학생들의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을 비교·분석하였다. PISA 2015는 과학이 주영역이었기 때문에 과학 영역과 관련된 교수·학습 변인 및 정의적 특성 관련 변인들이 다수 포함되었다. 다집단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서 분석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 환경, 교사의 피드백 등과 같은 교수 학습 특성은 과학 교과의 정의적 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의적 특성을 매개로 과학 성취에도 간접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특히 교사의 지지와 맞춤식 수업 등의 교수 방법은 성취수준이 낮은 집단의 정의적 특성향상에 상대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성취수준 집단 간...
TAG PISA 2015, context variables, science achievement, innovative teaching and learning, affective dimension of learning science, 맥락변인, 과학 성취, 혁신적 교수·학습, 과학학습의 정의적 특성
초점집단 면담을 통한 초등교사의 과학 체험학습 운영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권혁재 ( Hyeokjae Kwon ) , 강헌태 ( Hountae Kang ) , 성혜진 ( Hyejin Seong ) , 전상일 ( Sangil Gen ) , 권난주 ( Nanjoo Kwon ) , 신영준 ( Youngjoon Shi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8] 제42권 제2호, 182~197페이지(총16페이지)
연구의 목적은 과학 체험학습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초등교사가 겪는 어려움과 학교 현장의 분위기를 심층적으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과학 체험학습의 활동 경험이 풍부한 5명의 초등교사와 초점집단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을 통해 체험학습의 운영실태, 과학체험학습의 운영, 계획 수립 및 진행, 평가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은 예산에 대한 고민을 가장 먼저 꼽았으며, 과학교과와 연계하여 체험학습을 운영하고자 하는 경우 교육과정 재구성에 대하여 부담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과학 체험학습시 과학지식에 대한 전문적 이해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과학교과 전담 교사가 있을 경우 협업의 어려움을 꼽았다. 전체적으로 과학 체험학습의 교육적 효과보다 예산이나 장소, 행정적 편의성 등을 먼저 고려하는 경향이...
TAG Science experiential learning,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of difficulty, elementary school teacher, 과학 체험학습, 초점집단 면담, 어려움 분석, 초등교사
중학교 과학에서 서술형 평가의 실태 분석: 문항유형, 단원, 평가목표를 중심으로
노은실 ( Eun Sill Noh ) , 김용진 ( Yong-jin Kim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8] 제42권 제2호, 198~213페이지(총16페이지)
최근 들어 학생 평가 방법에서 서술형 평가의 중요성이 매우 강조되고 왔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출제해 온 서술형 평가문항의 실태와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 지역의 중학교 7개 학교에서 1학년부터 3학년까지의 정기고사에 출제된 서술형 문항 300개를 수집하여 문항 유형과 단원별 문항 분포를 분석하고, 문항에 관련된 성취기준의 교육목표와 평가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따라 분석하여 비교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교사들이 공통된 단원에서 서술형 문항을 출제하는 경향을 보이며, 단원 및 성취기준별로 출제 빈도에 큰 차이를 보였다. 문항 유형으로는 서술형이 65%에 불과하였으며 나머지는 단답형이나 완성형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성취기준에서의 교육목표와 문항에서의 평가목표 사이에 일치하는 비율이 40.3%에 불과하였다. 서술...
TAG descriptive evaluation, middle school science, item’s type, subject unit, assessment objective,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서술형 평가, 중학교 과학, 문항 유형, 단원, 평가목표, 교육목표 분류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과학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문주영 ( Juyoung Mun ) , 신영준 ( Youngjoon Shin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8] 제42권 제2호, 214~229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 과학 ‘지구와 달’단원에서 다양한 교과를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과학 중심 STEAM(융합인재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과학긍정 경험(과학관련 태도, 학습정서, 과학 학습 동기, 과학관련 자아개념 및 진로포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H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이고, 연구반(30명)과 비교반(34명)으로 나누어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연구반에 적용하였고, 비교반은 교사용지도서 지침에 근거한 일반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과학긍정 경험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긍정 경험의 하위영역인 과학학습정서, ...
TAG science positive experience, elementary school, science-centered STEAM program, 과학긍정 경험, 초등학교,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
천체관측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와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송영호 ( Yeong-ho Song ) , 소금현 ( Keum Hyun S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8] 제42권 제2호, 230~241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천체 관측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G 초등학교의 6 학년 24 명을 연구 그룹으로 지정하여 천문 관측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 기간은 4주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 관측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은 과학적 학습 동기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다. 둘째, 천문 관측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은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 결과로부터 우리는 초등학생들의 동기 부여와 학업 성취도 향상에 천체 관측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초등 과학 수업이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TAG astronomical observations software, scientific motivation, academic achievements, 천체 관측 소프트웨어, 과학학습동기, 학업 성취도
강의와 그룹문제풀이가 균형을 이루는 플립러닝 기반 일반물리학 강좌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이해웅 ( Hai-woong Lee ) , 이상용 ( Sangyong Yi ) , 정용욱 ( Yong Wook Che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8] 제42권 제2호, 242~255페이지(총14페이지)
최근에 대학 수준의 교수학습 강의 개선의 한 방안으로 플립러닝이 주목받고 있다. 또 일반 물리학 수업에서 플립러닝을 시행하여 그 효과를 분석한 연구들도 발표되고 있다. 그런데 플립러닝과 같은 새로운 시도들이 성공적으로 안착, 확산되기 위해서는, 배경과 특징에 따라 학생들에게 플립러닝이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어떤 효과를 낳는지에 대한 보다 상세한 탐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와 그룹문제풀이가 균형을 이루는 플립러닝에 기반한 일반물리학 강좌에서 학생들의 배경과 특징에 따른 플립러닝에 대한 인식과 성취도를 조사하였다. 학생들의 성취도는 강좌 수강 중 학습시간보다는 학기 시작 전 준비도에 더 영향을 받았다. 또 학생들은 대체로 플립러닝 기반 일반물리학 교수학습이라는 새로운 방식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었다. 그렇지만 상대적으로 선행학습이 부족하...
TAG flipped learning, introductory physics, students’ perception, 플립러닝, 일반 물리학, 학생 인식
과학영재들이 문제발견 과정에서 나타내는 과학개념 연결방식과 융합적 사고의 특징
박미진 ( Mi-jin Park ) , 서혜애 ( Hae-ae Seo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8] 제42권 제2호, 256~271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과학영재들이 문제발견 과정에서 나타내는 과학개념 연결방식과 융합적 사고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학년도 광역시 소재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중등 심화과정 전공영역별로 지원한 228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연구대상은 선발과정 1차전형에서 실시한 과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점수를 기준으로 상위 30%에 속하는 67명을 상위집단으로, 하위 30%에 속하는 64명을 하위집단으로 구분하고, 두 집단에 속하는 총131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검사도구 문항은 초등과학 교육과정에서 추출한 소리, 전기, 무게, 온도, 호흡, 광합성, 날씨, 지진의 과학개념 8개를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검사문항은 과학개념 8개 가운데 가장 선호하는 과학개념 2개를 연결하여 과학적 질문을 생성하도록 제시하였으며, 연구대상이 진술한 과...
TAG science gifted, problem finding, connecting science concepts, integrated thinking, 과학영재, 문제발견, 과학개념 연결, 융합적 사고
과학과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시스템’과 ‘에너지’ 핵심 개념의 연계성에 대한 국제 비교 연구
박경숙 ( Kyungsuk Park ) , 정현도 ( Hyeondo Jeong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과학교육연구지 [2018] 제42권 제1호, 27~48페이지(총22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를 포함한 5개국(캐나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미국, 한국)의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연계성의 비교 분석을 통해서 우리나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연계성에 대한 시사점과 제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NCIC)에서 수집한 각 나라의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핵심 개념인 ‘시스템’과 ‘에너지’의 내용 요소와 종적·횡적 연계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핵심 개념인 시스템과 에너지는 국제적으로 교육과정 연계성을 위해 적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스템은 과학과 기술 또는 다른 내용과 통합하기 위한 틀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지구와 우주과학 내용 영역의 횡적과 종적인 연계성을 강화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핵심 개념인 시스템에 대한 비교 결과는 뉴질랜드의 경우 수준을 토대로 학년과 교과 사...
TAG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과정 연계성, 횡적 연계성, 종적 연계성, 핵심 개념, 시스템, 에너지, 캐나다, 뉴질랜드, 싱가포르, 미국, 2015 revised curriculum, curriculum continuity, vertical connectivity, lateral connectivity, big concept, system, energy, Canada, New Zealand, Singapore, the United Kingdom, th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