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지질공학회 AND 간행물명 : 지질공학104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태백시 동해폐탄광 산성광산배수의 오염현황과 하상퇴적물 내 철, 알루미늄의 거동특성
추창오 ( Chang Oh Choo ) , 박정원 ( Jung-won Park ) , 이진국 ( Jin Kook Lee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4호, 579~598페이지(총20페이지)
강원도 태백산국립공원 구역에 인접한 동해폐탄광으로부터 발생하는 산성광산배수(AMD)에 대하여 수질오염과 하상퇴적물 내 Fe, Al의 거동특성을 화학분석, XRD, 적외선분광분석(IR), 핵자기공명분석(27Al NMR)을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산성광산배수의 수질은 pH와 용존이온의 침전에 따라서 변화하며, 포화지수 계산에 따르면 대부분 다양한 철, 알루미늄 수산화광물종에 과포화되어 있다. 하상의 적갈색 침전물은 슈베르트마나이트, 페리하이드라이트와 침철석으로 구성된다. 백색침전물은 대부분 알루미늄광물인 배스알루미나이트로 구성되는데, 이것의 결정도는 매우 낮다. 배스알루미나이트에서는 Al-중합체 Al13-Tridecamer가 소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동해폐탄광의 산성광산배수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단순...
TAG Donghae abandoned coal mine, AMD, precipitates, schwertmannite, ferrihydrite, goethite, basaluminite, Al13-Tridecamer, 동해폐탄광, 산성광산배수, 하상퇴적물, 슈베르트마나이트, 페리하이드라이트, 침철석, 배스알루미나이트
하향식 다단 압력 그라우팅 방법의 주입특성에 대한 연구
이홍성 ( Hongsung Lee ) , 이승호 ( Seungho Lee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3호, 201~209페이지(총9페이지)
국내 사면 및 터널에서 주로 적용되고 있는 다단 압력을 이용한 그라우팅 방법들은 천공 후 지중에서 지표 방향으로 스텝주입을 하는 상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이며 다수의 연구결과와 축척된 시공실적을 토대로 현재 여러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국내에서 하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의 연구결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토조시험과 현장시험을 통해 기존 상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과 지표부에서부터 주입을 실시하는 하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의 주입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토조시험 결과 하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의 경우 상향식 다단압력 그라우팅 방법에 비해 구근체의 부피는 약 2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시험 결과 하향식 다단 압력 그라우팅 방법이 상향식 다단 압력 그라우팅 방법에 비해 주입 범위가 넓고 면적당 주입 밀집도가 높은 것으로 확...
TAG top-down multi-step pressure grouting method, soil box test, grout bulbed volume, grouting range, injection density, 하향식 다단 압력 그라우팅 방법, 토조시험, 구근체 부피, 주입범위, 주입 밀집도
CPR 공법의 압축재하시험을 통한 기초지반의 보강효과
강성승 ( Seong-seung Kang ) , 김정한 ( Jung-han Kim ) , 노정두 ( Jeongdu Noh ) , 고진석 ( Chin-surk Ko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3호, 211~222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CPR 공법을 적용한 압축재하시험을 통하여 지반의 항복하중과 허용지지력을 평가하여 기초 지반 보강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주입재의 평균압축강도는 계획된 강도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각 지층에서 표준관입시험 결과는 시험 전보다 시험 후의 평균 N값이 향상되었다. 즉, 이것은 지반의 지지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가져왔음을 의미한다. 두 종류의 CPR 말뚝 압축재하시험 결과에 의하면, 최대 재하하중에 의한 전침하량과 순침하량은 CPR 말뚝직경 허용범위를 초과하는 침하량을 나타냈다. 침하량 기준과 하중-침하량 곡선에 의해 산정한 항복하중 및 허용지지력은 적용되는 방법에 따라 값의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허용지지력은 다양한 항복하중 산정법을 적용한 후 종합적인 분석을 통하여 최적의 값을 결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TAG CPR method, compressive loading, yield load, allowable bearing capacity, settlement, CPR 공법, 압축재하시험, 항복하중, 허용지지력, 침하
변형 쌍극자배열법을 적용한 울릉도 나리 칼데라 주변 조면안산암 지역의 비저항분포 특성 분석
김기범 ( Ki-beom Kim ) , 김만일 ( Man-il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3호, 223~236페이지(총14페이지)
전기비저항탐사는 지질 분포나 단층 파쇄대의 유무 등의 지질 구조, 지층의 풍화 및 변질 정도, 지하수 등을 파악하기 위하여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탐사기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 전기비저항의 분포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총 6개 측선을 중심으로 울릉도 나리분지와 알봉분지 주변 지하 칼데라 퇴적층과 지질 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존의 쌍극자배열법(A 방법과 C 방법)의 탐사결과와 함께 변형된 쌍극자배열법(D 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 변형된 쌍극자배열법을 적용하여 최적의 지하비저항 분포단면 분석을 통해 퇴적층과 연약대가 분포하는 구간인 500 ohm-m 이하의 저비저항대와 화산암체인 조면안산암질 암류가 분포하는 5,000 ohm-m 이상의 고비저항대의 경계를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알봉분지의 퇴적층은 평균 50~100m 내외, ...
TAG modified dipole array method, low-resistivity zone, sedimentary layer, trachyandesite, caldera, 변형 쌍극자배열법, 저비저항대, 퇴적층, 조면안산암, 칼데라
다단계압력 환경하에서의 결정질 암석의 절리면 거칠기 변화 분석
최정해 ( Junghae Choi ) , 김혜진 ( Heyjin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3호, 237~249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의 이동에 영향을 주는 암반의 균열에 대해서 고온하에서의 다단계 압력실험을 통해 균열면의 거칠기 변화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시료는 지표에서 지하 500 m 구간에서 획득한 조립질 화성암과 세립질 화성암 시료 중 심도 약 40 m와 270 m의 시료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압력은 최대 120 MPa 까지 가압을 하였으며, 단계적으로 10 MPa씩 증가하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단계에서의 표면 변화를 관측하기 위해서 고분해능 3차원 다초점 레이저 스캔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미세한 표면의 거칠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거칠기의 변화에 대해서는 거칠기 인자값을 기준으로 변화된 양을 계산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시료는 20...
TAG fracture roughness, multi-stage compression test, roughness factor,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deep underground disposal, 균열 거칠기, 다단계 압력, 거칠기 인자, 다초점 레이저 스캔 현미경, 지층처분
암반사면 위험블록 모니터링을 위한 지상 LiDAR의 활용
송영석 ( Young-suk Song ) , 이춘오 ( Choon-oh Lee ) , 오현주 ( Hyun-joo Oh ) , 박준효 ( Jun-hou Pak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3호, 251~264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국립공원 천불동 계곡에 위치한 암반사면의 낙석 위험블록을 대상으로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변위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모니터링 지점은 기존에 낙석이 발생되었거나 낙석발생이 예상되는 귀면암 인근 및 오련폭포 인근 암반사면을 선정하였다. 대상 지점의 암반사면 위험블록에 대한 모니터링은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약 7개월 동안 5차례 촬영을 진행하였다. 지상 LiDAR 촬영 결과를 토대로 변위량을 분석한 결과 폐색영역의 보간을 통해 발생한 오차와 식생 활력도의 차이에 의한 오차가 분석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외부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실제 촬영지점을 대상으로 변위량을 탐지하여야 한다. 대상구간 암반사면 위험블록에서 지상 LiDAR 촬영 및 변위량을 분석한 결과 변위량이 매우 작게 발생하였으며, 대부분...
TAG rock slope, unstable block, rockfall monitoring, terrestrial LiDAR, displacement analysis, 암반사면, 위험블록, 낙석 모니터링, 지상 LiDAR, 변위 분석
지하수위와 GRACE 자료를 이용한 국내 지하수 함양량 변화 연구
전항탁 ( Hang-tak Jeon ) , 함세영 ( Se-yeong Hamm ) , 조영헌 ( Young-heon Jo ) , 김진수 ( Jinsoo Kim ) , 박소영 ( Soyoung Park ) , 정재열 ( Jae-yeol Cheo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3호, 265~277페이지(총13페이지)
지구 온난화에 따른 기후 변화, 강수량, 강우 강도, 빈도 그리고 강우 유형의 변화는 지하수 함양과 지하수위 변동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전 세계적인 총 저수량 변화를 파악하는데, GRACE의 월 중력값 이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하수위의 공간적인 분포를 표현하기가 쉽지 않으므로, GRACE자료와 지하수위 자료를 정량적으로 연관시키기는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국지적인 보간법(크리깅, 역 거리 가중값 및 자연 인접)을 이용하여 2002년부터 2016년 까지 국내 지하수 함양 변화량의 공간적인 분포를 추정하였다. 그리고 추정된 월평균 지하수 함양 변화량과 GRACE의 월별 지하수 저장량 변화값을 비교하였다. GRACE자료와 실측 지하수자료의 함양량 변동값은 미약하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연구기간 동안에 지하수 ...
TAG groundwater level, GRACE, climate change, groundwater recharge change, interpolation methods, 지하수위, 기후변화, 지하수 함양 변화량, 보간법
방사형 집수정 취수시 대수층 특성에 따른 지하수위의 변화
최명락 ( Myoung-rak Choi ) , 이호정 ( Ho-jeong Lee ) , 김규범 ( Gyoo-bum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3호, 279~288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안성천에 설치된 방사형집수정에서 약 4,000 ㎥/d의 취수시 주변지역에서의 지하수위 강하량을 측정하였으며, mirror well 개념을 적용하여 계산된 지하수위 강하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지하수위 강하량의 계산은 방사형집수정을 균질 등방성 매질내의 대형 수직정으로 고려하여 실시하였다. 양수시각 관측정에서 측정된 지하수위 강하량은 계산된 값과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는데, 이는 수리전도도 및 대수층 두께 등의 이방성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OW-7 지점은 실측 및 계산 지하수위 강하량의 차이가 약 48 cm로 크게 나타났는데, 이는 이 방향으로의 수평집수관이 설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연구지역내에서 출현 가능한 수리전도도와 대수층 두께를 고려한 지하수위 변화의 민감도를 분석한 결과, 대수층의 두께보다는 수리전도도가 지하수위 변화에 민감하게...
TAG radial collector well, groundwater level, hydraulic conductivity, 방사형집수정, 지하수위, 수리전도도
지반함몰 위험등급 분류(GSRp)의 굴착현장 사례 연구
신상식 ( Sang-sik Shin ) , 임명혁 ( Myeong-hyek Ihm ) , 김학준 ( Hak Joon Kim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3호, 289~302페이지(총14페이지)
최근 굴착현장 인근의 지반함몰 발생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사전에 지반함몰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 의해 개발된 굴착 전 지반함몰 위험등급 평가 시트인 GSRp를 실제 굴착 현장에 적용하여 현장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각각 다른 지반조건을 가진 5개 굴착현장에 대하여 지반함몰 위험등급을 평가한 결과, GSRp 점수는 40~79점으로 산출되어 대부분 II등급(우수지반)~III등급(양호지반)으로 분류되었다. 평가방법의 신뢰성 검증을 위하여 계측결과에 의해 실측된 수평변위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현장의 수평변위량은 허용치의 25~47%로 나타나 지반함몰 위험이 낮게 평가된 GSRp 결과와 일치하였다. 향후 지반함몰 위험성이 높은 불량한 지반을 대상으로 하는 현장 적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검증과 보완이 이...
TAG ground subsidence,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s, GSRp, 지반함몰, 지반함몰 위험등급
강우-지하수위 상관성 분석을 통한 사질토층의 수리전도도 산정
박승혁 ( Seunghyuk Park ) , 손두기 ( Doo Gie Son ) , 정교철 ( Gyo-cheol Jeong )  대한지질공학회, 지질공학 [2019] 제29권 제3호, 303~314페이지(총12페이지)
얕은 대수층에서 매우 복잡한 함양과정을 거치는 지하수의 함양은 지표와 지하매질의 투수성에 의해 상당한 영향을 받는다. 투수성은 고유투수계수(intrinsic permeability)와 수리전도도(hydraulic conductivity)의 두 가지 개념으로 설명되며 이중 지표매질의 특성만으로 수리전도도를 구하려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경주지역 지하수기초조사에서 수행된 미고결퇴적물의 입도분포곡선과 강우-지하수위 교차상관분석을 토대로 회귀식을 사용하여 강우-지하수위 교차상관분석을 통한 수리전도도 산정식을 제안하고 실제현장에서 수행한 대수성 시험결과와 비교하여 그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질토 기반 충적층대수층에서 Zunker의 경험식에서 산정된 수리전도도와 강우-지하수위 최대 교차상관계수의 상관식이 자연...
TAG shallow aquifer, hydraulic conductivity, unconsolidated deposit, maximum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 (CCFmax), rainfall-groundwater level monitoring, 얕은 대수층, 수리전도도, 미고결퇴적물, 최대교차상관계수, 강우-지하수위 모니터링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