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AND 간행물명 : 생태와 환경21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강원도 섬강(횡성호) 유역의 하천생태계 조사
신재기 ( Shin Jae-ki ) , 김영성 ( Youngsung Kim ) , 황순진 ( Soon-jin Hwa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2호, 130~141페이지(총12페이지)
TAG Seom River, Hoengseong Rerservoir, ecosystem, biota, algae, invertebrate, fish, bird, mammals
한반도 희귀·특산식물 노랑붓꽃의 자생지 환경 및 개체군 특성
피정훈 ( Pi Jung-hun ) , 박정근 ( Jeong-geun Park ) , 정지영 ( Ji-young Jung ) , 박정석 ( Jeong-seok Park ) , 서강욱 ( Gang-uk Suh ) , 손성원 ( Sung-won So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2호, 102~109페이지(총8페이지)
노랑붓꽃은 주로 해발 50~150 m, 경사는 2~11°의 범위에 분포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노랑붓꽃자생지는 산지계류 하천에 위치하고, 수로를 따라 인접한 경계면에 띠상으로 분포하거나 상부사면에 점의 형태로 분포하는 경향이었다. 수관열림도 (%)는 평균 11.97이었으며, BA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JS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광량 (mol·m-2·d-1)은 평균 6.34이었으며, BA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JS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개체밀도 (/㎡)는 평균 25.81이었으며, JS2에서 49.65으로 가장 높았고 JS1에서 9.3으로 가장 낮았다. 개화촉수는 BA3에서 가장 많았고, BA5에서는 가장 적게 나타났다. 개체군특성과 환경요인 사이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광량과 수관...
TAG conservation, correlation, habitats, Iris koreana, population
한반도 특산식물 꼬리말발도리 개체군 구조 및 서식지 특성
정지영 ( Jung Ji-young ) , 피정훈 ( Jung-hun Pi ) , 박정근 ( Jeong-geun Park ) , 정미진 ( Mi-jin Jeong ) , 김은혜 ( Eun-hye Kim ) , 서강욱 ( Gang-uk Seo ) , 이철호 ( Cheul-ho Lee ) , 손성원 ( Sung-won So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1호, 31~41페이지(총11페이지)
꼬리말발도리는 한반도 특산식물임에도 불구하고 종의 분포, 개체군 및 자생지 특성, 그리고 이것에 기초한 종 보전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본 연구는 꼬리말발도리를 대상으로 종 분포 및 생태 특성을 분석하였다. 꼬리말발도리의 분포 특성은 문헌, 표본 및 현장 조사 자료를 참고하였다. 현장 조사는 6개 지역에서 11개의 대방형구 (15×15 m)와 33개 소방형구 (5×5 m)의 자생 집단을 대상으로 2014년 5월부터 10월까지 실시하였다. 개체군 특성으로 풍부성(밀도, 피도), demographic 속성 (개화율 및 결실율)이 조사 되었으며, 자생지 특성으로 식생 (구조 및 종조성), 임내광량 (광량, 수관열림도) 및 토양 (온·습도, 이화학 속성) 특성을 분석하였다. 꼬리말발도리는 경상도 (강원도 태백 포함)가 분포 중심이었으며, 넓은 해발 분포...
TAG Deutzia paniculata, phytosociology, DCCA ordination, importance value, soil characteristics
서울의 두 도시 근린공원에서 평가된 탄소수지
김경순 ( Kim Gyung Soon ) , 피정훈 ( Jung Hun Pi ) , 안지홍 ( Ji Hong An ) , 임치홍 ( Chi Hong Lim ) , 정성희 ( Song Hie Jung ) , 주승진 ( Seung Jin Joo ) , 이창석 ( Chang Seok Lee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1호, 51~61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서울시 노원구에 위치한 두 도시공원 (노해근린공원, 상계근린공원)의 탄소수지를 정량하고 인접한 자연공원인 불암산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동일한 조사를 수행하여 그 개선방안을 찾기 위해 수행하였다. 순생산량(NPP)은 상대생장법을 적용하여 측정하였고, 토양호흡량은 EGM-4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노해근린공원과 상계근린공원에 조성된 식생의 순생산량은 각각 5.4 ton C ha-1 yr-1와 4.8 ton C ha-1 yr-1로 나타났고, 불암산 신갈나무군락의 순생산량은 6.3 ton C ha-1 yr-1로 나타났다. 연간 종속영양생물 토양호흡량은 노해근린공원과 상계근린공원에서 각각 5.3 ton C ha-1 ...
TAG carbon budget, heterotrophic respiration, Net Ecosystem Production (NEP), urban ecosystem, urban park
반응성 질소화합물로 인한 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의 산성화 영향 및 대응방안
조영일 ( Cho Youngil ) , 강혜순 ( Hyesoon Kang ) , 전의찬 ( Eui-chan Jeon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1호, 1~10페이지(총10페이지)
산업 및 기술의 발달과 인간 활동의 증가로 인해 자연적인 질소 순환의 균형이 무너지고 다량의 질소가 대기, 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에 과잉으로 존재하게 되었다. 이로 인한 과잉의 반응성 질소화합물이 토양과 물 환경생태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국내외 문헌과 사례 조사를 통해 확인하고 유역생태계에서 질소화합물로 인한 토양 및 물 환경 생태계의 산성화 영향 감소방안을 제시하였다. 반응성 질소는 대기, 토양 및 물의 여러 매체를 이동하면서 다른 유형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유형 간 상호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 효과적인 질소관리 방안으로 반응성질소 배출원의 다양성 및 유형에 따른 배출량을 규제하는 정책과, 반응성 질소화합물로 인한 토양 및 물 환경생태계의 환경적 피해 (산성화)를 조사 및 평가 (모니터링 및 안전성 지표 적용)하고 복원하는 전략 (예, 화학적...
TAG acidification, chemical restoration, reactive nitrogen (Nr), soil and water environment
한국 제주도 한란의 생태 진단에 기초한 보전 및 서식지 복원에 관한 연구
정지영 ( Jung Ji-young ) , 신재권 ( Jae-kwon Shin ) , 김한결 ( Han-gyeoul Kim ) , 변준기 ( Jun-gi Byun ) , 피정훈 ( Jung-hun Pi ) , 구본열 ( Bon-yeol Koo ) , 박정근 ( Jeong-geun Park ) , 서강욱 ( Gang-uk Suh ) , 이철호 ( Cheul-ho Lee ) , 손성원 ( Sung-won Son ) , 김준수 ( Jun-soo Kim )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1호, 11~21페이지(총11페이지)
한란은 불법 채취 및 서식 환경 변화에 의해 지속성 확보가 위협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종의 분포 변화, 개체군 및 자생 특성, 그리고 이에 따른 서식지 복원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2014년 제주도 일원의 한란자생지 탐사를 통하여 확인된 27개의 한란 자생지를 대상으로 분포 면적의 변화, 개체군 및 자생 환경을 분석하였으며, 한란의 종 특성을 고려한 대체 서식지 조성 전략을 마련하였다. 조사된 한란은 제주도 해발 200 m~700m 사이에 위치하였다. 2004년과 비교하여 한란의 분포 범위는 크게 감소 (-82%)하였다. 한란은 사면형 (예, 선돌지역) 및 계곡형 (예, 따라비오름) 서식지, 그리고 졸참나무 및 개서어나무가 우점하는 낙엽활엽수림 (선돌) 및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하는 상록활엽수림 모두에서 자라고 있어 특정한 서식...
TAG Cymbidium kanran, endangered species, red list, restoration, reintroduction
전라남도 광양시 백운산 나방 (곤충강: 나비목)의 시공간적 다양성 연구
최세웅 ( Choi Sei-woong ) , 노동호 ( Dong-ho Nho ) , 김상수 ( Sang-soo Kim ) , 홍기정 ( Kee-jeong Hong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1호, 62~66페이지(총5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전남 광양시 일대 백운산에 서식하는 나방의 고도 및 계절에 따른 다양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2014년 9월과 10월 그리고 2015년 4월부터 10월까지 겨울을 제외한 기간 동안 자외선등 트랩을 사용하여 총 9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비목 15과 288종 1,444개체가 채집, 확인되었다. 출현한 종 수는 자나방과가 97종 740개체, 밤나방과가 62종 193개체, Erebidae가 52종 177개체, 재주나방과가 16종 111개체 등으로 나타났다. 고도별로는 고도가 높아질수록 종 다양성이 줄어드는 양상을 나타냈으며 계절별로는 6월과 8월에 종 수 및 개체수가 최대값을 나타내는 M-자형 양상을 나타내었다. 기존에 조사된 문헌과 비교한 결과 197종이 새로이 추가되어 백운산의 나방상은 총 20과 449종으...
TAG moths, Lepidoptera, fauna, biodiversity, Mt. Baegun-san
사육환경에 따른 이매패류 (Crassostrea gigas, Mytilus galloprovincialis)의 외부형질 성장과 Heat Shock Protein 70 유전자 발현
김원석 ( Kim Won-seok ) , 박기연 ( Kiyun Park ) , 김종규 ( Jong Kyu Kim ) , 곽인실 ( Ihn-sil Kwak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1호, 22~30페이지(총9페이지)
연안의 다양한 환경변화는 서식 생물에 영향을 미치고, 양식장의 생산량 감소와 연결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막만의 대표적인 양식종인 패류 C. gigas와 M. galloprovincialis의 서식환경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종의 체중량, 각장과 각고, 양식장 사육기간을 조사하고, 각 종의 계통학적 HSP 70 sequence를 비교한 후, 각 종의 HSP 70 유전자 발현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C. gigas의 체중량, 각장과 각고는 C2 양식장이 높게 나타났으나, 양식장 환경 사육기간과 HSP 70 유전자 발현은 C3 양식장이 가장 높았다. M. galloprovincialis는 M1 양식장의 체중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각장과 각고, 사육기간은 M2와 유사하였으나, HSP 70 ...
TAG Crassostrea gigas, Mytilus galloprovincialis, heat shock protein 70, Gamak Bay, aquaculture environment
국립공원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김종천 ( Kim Chong-chun ) , 김태근 ( Tae-geun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6] 제49권 제1호, 42~50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국립공원의 관리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국립환경과 학원에서 개발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도구인 LCCGIS 프로그램의 취약성 대용변수 24개를 이용하여 현재와 미래의 국립공원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국립공원의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현황과 미래전망을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기후노출의 대용변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8.5)를 적용하여 1 km×1 km 격자 단위의 GIS 공간주제도를 제작하여 값을 추출하고, 민감도 및 적응 능력의 대용변수의 값은 국립공원 기본 통계값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3개의 취약성 평가항목의 값은 현재 (2010년대)와 미래 (2050년대)에 대해서 추출하였으며, 미래 예측 시나리오가 없는 민감도 및 적...
TAG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Korea National Park
월악산국립공원 황장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이정윤 ( Jung Yun Lee ) , 오장근 ( Jang Geun Oh ) , 정세훈 ( Se Hoon Jung ) , 김하송 ( Ha Song Kim )  한국하천호수학회(구 한국육수학회), 생태와 환경 [2015] 제48권 제4호, 203~21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국립공원의 관리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국립환경과 학원에서 개발한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도구인 LCCGIS 프로그램의 취약성 대용변수 24개를 이용하여 현재와 미래의 국립공원의 기후변화 취약성을 분석하였다. 국립공원의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현황과 미래전망을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기후노출의 대용변수는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8.5)를 적용하여 1 km×1 km 격자 단위의 GIS 공간주제도를 제작하여 값을 추출하고, 민감도 및 적응 능력의 대용변수의 값은 국립공원 기본 통계값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3개의 취약성 평가항목의 값은 현재 (2010년대)와 미래 (2050년대)에 대해서 추출하였으며, 미래 예측 시나리오가 없는 민감도 및 적...
TAG classification, forest vegetation, physiognomy, Woraksan, Hwangjangsa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