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어류학회145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적조발생시기 참돔의 절식과 사육밀도에 따른 성장과 혈액성상
김원진 ( Won-jin Kim ) , 이정용 ( Jeong-yong Lee ) , 신윤경 ( Yun-kyung Shin ) , 원경미 ( Kyoung-mi Wo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4호, 194~204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매년 C. polykrikoides 적조에 의해 발생하는 양식 어류 폐사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적조시기 참돔의 절식과 밀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상가두리 (11m×11m×5 m)에서 섭식-고밀도 (F-HD), 절식-고밀도 (S-HD), 절식-저밀도 (S-LD) 세 그룹으로 구분하여 5주간의 절식 후 4주간의 먹이공급을 통해 참돔의 생존율, 성장, 성장회복 그리고 혈액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생존율은 F-HD에서 85.5%로 가장 낮았고, S-LD는 97.3%로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5주간의 절식기간 동안 두 절식구는 전장, 체중 성장률에서 마이너스 성장을 보여 섭식구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하지만 먹이 재공급 후두 절식구 모두 성장회복을 보였다. 특히 S-LD는 먹이 재공급 ...
TAG Cochlodinium polykrikoides, red tide, starvation, stocking density, refeeding, growth, hematological characteristic, red sea bream
한국산 매퉁이속(홍메치목, 매퉁이과) 어류의 분류학적 재검토
여민유 ( Minyu Yeo ) , 김진구 ( Jin-koo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4호, 205~216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1994년부터 2017년까지 우리나라 주변해역에서 채집된 매퉁이속 3종 (매퉁이 Saurida macrolepis, 잔비늘매퉁이 S. microlepis, 툼빌매퉁이 S. wanieso, 날매퉁이 S. elongata)의 외부형태에 기초하여 분류학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날매퉁이는 국내 표본이 확인되지 않아 일본에서 대여한 표본으로 대신 조사하였다. 툼빌매퉁이는 S. tumbil과 외측 구개골치 (툼빌매퉁이는 2열, S. tumbil은 3~4열) 및 가슴지느러미 후단부의 위치 (툼빌매퉁이는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 연결선에 도달, S. tumbil은 도달하지 않는다)에서 잘 구분되었다. 매퉁이 속 4종은 계수형질에서 측선비늘수가 잔비늘매퉁이 63~70개, 날매퉁이 61~62개, 툼빌매퉁이 54~58개,...
TAG Saurida macrolepis, Saurida microlepis, Saurida wanieso, Saurida elongata, Saurida tumbil, taxonomic review, Synodontidae, Korea
지천에 서식하는 참중고기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Cyprinidae)의 산란생태
장지왕 ( Ji-wang Jang ) , 변화근 ( Hwa-keun Byeo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4호, 217~223페이지(총7페이지)
참중고기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의 개체군 생태 연구를 위하여 지천에서 2016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매월 10~15일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암수의 성비 (male : female)는 1 : 0.97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산란시기는 4월 말에서 7월 중순까지로 추정되었고, 산란 성기는 5월 초에서 6월 말까지로 이 시기에 평균 수온은 18°C이었다. 전장이 51~70 mm의 집단은 만 1년생, 71~100 mm의 집단은 만 2년생, 101mm 이상은 만 3년생으로 추정되었고, 만 2년생 이상부터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포란수는 176~836개로 평균 428±194개이었다. 성숙란은 노란색이었고 크기는 평균 장경이 2.38...
TAG Sarcocheilichthys variegatus wakiyae, Jicheon stream, spawning season
낙동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보구치 (Pennahia argentata)와 청보리멸 (Sillago japonica)의 섭식관계
허성회 ( Sung-hoi Huh ) , 최희찬 ( Hee Chan Choi ) , 박주면 ( Joo Myun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4호, 224~231페이지(총8페이지)
어류의 생태지위에 관한 정보는 해양생태계에서 공존하는 다른 어종이 왜 동시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낼 수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낙동강 하구역에 출현하는 보구치와 청보리멸의 위내용물을 분석하여 어종간 또는 각 어종의 체장군간 어떤 섭식관계가 있는지 연구하였다. 두 어종은 저서섭식육식성 어종으로 저서성 갑각류와 연체동물을 주로 섭식하였고, 갯지렁이류 또한 청보리멸에 의해 많이 섭식되었다. 먹이분류군의 중량비를 이용한 nMDS 그래프와 다변량분석은 두 어종의 위내용물이 뚜렷이 차이가 남을 보여줬다. 즉, 두 어종을 먹이를 분할하여 섭식함을 나타냈다. 체장군별 위내용물 조성은 보구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청보리멸은 이러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AP 분석은 다른 종류의 먹이생물이 두 어종의 위내용물을 구분하는데 기여하였고, 종간위내용물 조...
TAG Stomach contents, Pennahia argentata, Sillago japonica, Nakdong River, estuary
인천 연안에 출현하는 참홍어 (Beringraja pulchra)의 식성
정경숙 ( Gyeong-suk Jeong ) , 박준 ( Jun Park ) , 손명호 ( Myoung-ho Sohn ) , 이형빈 ( Hyungbeen Lee ) , 한송헌 ( Song-hun Han ) , 조현수 ( Hyun-su Jo ) , 김맹진 ( Maeng Jin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4호, 232~237페이지(총6페이지)
인천 주변해역에 출현하는 참홍어의 식성을 분석하기 위해 2017년 2월부터 2018월 3월까지 총 203개체를 채집하였다. 참홍어의 체반장은 31.1∼77.7 cm의 범위였으며, 16개체는 공복 상태였다. 참홍어는 주로 어류와 새우류를 섭식하는 육식성 어류로 확인되었으며, 그 외 다양한 저서 갑각류와 무척추동물을 소량 섭식하였다.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로 새우류인 마루자주 새우의 섭식비율이 가장 높았고, 어류는 까나리의 섭식비율이 높았다. 참홍어의 체장이 커질수록 새우류의 비율은 감소하였으며 어류의 비율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평균 먹이생물의 개체수와 중량은 증가하였다.
TAG Feeding habits, Beringraja pulchra, mottled skate, Incheon
홍백 비단잉어와 홍백 비단잉어 ×홍잉어 교배종의 적색소 분석
황주애 ( Ju-ae Hwang ) , 김정은 ( Jung Eun Kim ) , 이정호 ( Jeong-ho Lee ) , 김대희 ( Dae-hee Kim ) , 김형수 ( Hyeong Su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4호, 238~241페이지(총4페이지)
본 연구는 고품질 비단잉어 생산을 위해 비단잉어와 홍잉어 교배종의 성장과 적색색소의 빈도분석을 통해 비단잉어 색도를 분석하였다. 색소 및 성장도 분석을 위해 부화 후 170일령 비단잉어를 각 교배 집단별로 [비단잉어×비단잉어 (KK), 비단잉어×홍잉어 (KR)와 홍잉어×비단잉어 (RK)] 100개체씩 분석하였다. 성장도 분석 결과 비단잉어×홍잉어 (KR) 교배집단에서 전장과 전중의 성장이 가장 높았다. 교배 그룹 모두 흰색, 적색-흰색, 적색의 3가지 색소 패턴을 보였다. 적색색소 분포는 KK 집단이 64%, KR 집단이 56%, RK 집단이 36%였다. 적색 색소 범위의 빈도분석 결과 적색색소 30~50%를 차지하는 비율이 KK 집단이 10%, RK 집단이 12% 그리고 KR 집단이 14%로 가장 높았다. 비단잉어 적색색소 빈도 분석에...
TAG Koi, red common carp, red- and white-koi carp, red coverage
한국산 전갱이과 어류 1 미기록종, Scomberoides lysan
김맹진 ( Maeng Jin Kim ) , 김준상 ( Joon Sang Kim ) , 송춘복 ( Choon Bok Song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4호, 242~246페이지(총5페이지)
농어목 전갱이과에 속하는 Scomberoides lysan 2개체 (표준체장 334, 354 mm)가 2010년 9월 제주도 서귀포시 대포동의 정치망에서 처음으로 채집되었다. 이 종은 최근 우리나라에 보고된 가시전갱이 (S. tol)와 형태적으로 유사하지만 주둥이 뒤쪽 끝이 눈의 말단에 이르며, 체측에 5∼8개의 작은 검은색 반점들이 두 줄로 나열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체측에 두 줄의 작은 반점을 가지는 형태적 특징에 근거해서 이 미기록종의 국명을 “두점줄 가시전갱이”로 제안한다.
TAG 전갱이과, 두점줄가시전갱이, 미기록종, 제주도, Scomberoides lysan, Carangidae, first record, Jejudo Island, Korea
수온 하강에 따른 참돔, Pagrus major의 생존율 및 생리 반응
신윤경 ( Yun Kyung Shin ) , 김영대 ( Young Dae Kim ) , 김원진 ( Won Jin Kim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3호, 131~136페이지(총6페이지)
겨울철 수온의 변동으로 우리나라 남해안 연안에 위치하고 있는 어류가두리 양식장에서 관리하고 있는 어류의 폐사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온대성 어류인 참돔을 대상으로 저수온 하한내성 범위 및 수온 하강에 따른 호흡률, 암모니아질소 배설률과 혈액내 산화스트레스 반응을 조사하였다. 참돔의 하한내성수온은 6.54℃ (95% 신뢰한계: 6.31∼6.76℃)였다. 산소소비율은 수온 하강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하한수온에서 최저치를 나타내었다. 혈액 내 삼투질농도는 수온 5℃와 6℃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혈액 내 SOD는 모든 실험구 가운데 수온 5℃에서 유의하게 활성 증가가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참돔을 양식할 수 있는 지역선정 및 겨울철 발생하는 동계 폐사원인 규명을 위한 자료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AG Pagrus major, low temperature, osmolality, oxidative stress
두줄망둑(Tridentiger trigonocephalus) 자치어의 골격발달
한경호 ( Kyeong-ho Han ) , 이성훈 ( Sung-hun Lee ) , 김두용 ( Doo-young Kim ) , 서원일 ( Won-il Seo ) , 박재민 ( Jae-min Park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3호, 137~143페이지(총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연안에 서식하는 두줄망둑의 자치어 골격발달을 관찰하여 분류학적 연구자료로 이용하는 것이다. 부화 후 7일째 평균전장 4.44±0.28mm(n=5) 일 때 섭이기능을 하는 윗턱에는 전상악골, 주상악골이 골화하였고, 아래턱에는 악골이 골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13일째 평균전장 5.62±0.24 mm (n=5) 일 때 두개골의 액골, 노정골, 상이골이 골화하였다. 부화 후 32일째 평균전장 11.8±0.28 mm(n=5) 일 때는 견대부에 사출골, 후쇄골이 골화하였고, 부화 후 40일째 평균전장 13.3±0.21mm(n=5) 일 때 두개골의 측사골이 골화하면서 모든 골격의 골화가 완료되었다.
TAG Chameleon goby, juvenile, larvae, osteological, Tridentiger trigonocephalus
서울시 한강의 어류군집과 외래종 분포 특성
변화근 ( Hwa-keun Byeon )  한국어류학회, 한국어류학회지 [2018] 제30권 제3호, 144~154페이지(총11페이지)
서울시 한강 어류군집 특성 분석을 위해 2016년 6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조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5개 조사지점에서 출현한 어종은 총 17과 56종이었다. 기수역에 주로 서식하는 웅어 (Coilia nasus), 밀자개 (Leiocassis nitidus), 점농어 (Lateolabrax maculata), 강주걱양태 (Repomucenus olidus), 꺽정이 (Trachidermus fasciatus), 숭어 (Mugil cephalus), 가숭어 (Chelon haematocheilus), 풀망둑 (Synechogobius hastus), 민물두줄망둑 (Tridentiger bifasciatus), 황복 (Takifugu obscurus) 등이 출현하였다. ...
TAG Hangang River, exotic species, Megalobrama amblycephala, tolerance guild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