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12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제주도 노거수 자연유산의 100년 전과 현재 분석
송국만 ( Song Kuk-man ) , 김양지 ( Kim Yang-ji ) , 서연옥 ( Seo Yeon-ok ) , 최형순 ( Choi Hyung-soon ) , 최병기 ( Choi Byoung-ki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2호, 20~29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100년 전 제작된 1918년 제주도 정밀 고지도를 바탕으로 당시 제주도의 노거수에 대한 기록정보를 확인하고 복원하여 기초정보를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고지도 분석을 위해 ArcGIS를 활용하여 대표지점 선정을 통한 좌표계 및 배율 일치작업을 수행하였다. 고지도에서 표기한 독립수 좌표정보를 점 추출법을 활용하여 디지타이징하였으며, 지도에서의 범례 형태 및 상대적크기를 바탕으로 속성정보를 추출하였다. 100년 전의 고지도를 바탕으로 제주에 분포했던 노거수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당시 노거수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 보호되고 있는 노거수 정보를 바탕으로 과거와 현재 노거수의 특성 및 제주 경관과 식생에서의 노거수 기여 가능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100년 전 제주도에는 1,013개체의 노거수가 섬 전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목재이...
TAG Long Term Ecological Research, Natural Heritage, Natural Resource, Old Growth and Big Giant Tree, Traditional Landscape, 노거수, 자연유산, 자연자원, 장기모니터링, 전통경관
『한정우기(闲情偶寄)』 「종식부(種植部)」를 통해 본 식물의 상징성과 완상(玩賞) 방식
장림 ( Zhang Lin ) , 양유선 ( Yang Yoo-sun ) , 성종상 ( Sung Jong-sa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2호, 30~39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이어(李漁; 1611-1680)의 『한정우기(闲情偶寄)』 「종식부(種植部)」에 수록된 68종 식물 중 상징적 의미와 독특한 완상방식을 지닌 27종의 식물을 추출하여 고찰했다. 해석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식물의 상징성이다. 1) 모란은 외적으로 꽃이 아름다울 뿐만 아니라 강직하고 정직한 특성을 갖기 때문에 화왕(花王)으로 삼는다. 모란과 겨룰 수 있는 꽃은 작약밖에 없으나 작약을 화상(花相)으로 비유한다. 이어는 작약도 마땅히 다섯 등급의 제후(諸侯)대열에 속해야 한다고 했다. 2) 이어는 복사꽃과 동백꽃을 미인의 뺨으로 해당화, 재스민 꽃, 다화장미, 수선화, 개양귀비를 자태가 다양한 여인으로 비유하면서 이에 대한 사랑스러운 감정을 꽃에 투영하였다. 3) 이어는 연꽃을 꽃 중의 군자로, 황양목을 나무 중의 군...
TAG Personification, Plants Culture, Qing Dynasty, Synesthesia 식물문화, 인격화, 청초, 통감, 通感
일제강점기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에 나타나는 명승고적의 문화경관 연구 - 충청남도 천안을 사례로 -
이행열 ( Lee Hang-lyou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2호, 40~53페이지(총14페이지)
『조선명승시선(朝鮮名勝詩選,1915)』을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조선환여승람(朝鮮寰與勝覽)』을 이용하여 충청남도 천안편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에 나타나는 명승고적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조선명승시선』이 발간된 시대적 상황을 검토해 본 결과 1894년에 발발한 ‘청일전쟁(淸日戰爭)’에 대한 기억이 기록된 내용으로 발간되었으며, 한일강제합방(1910) 이후의 조선총독부 ‘동화주의 교육’과 궤를 같이 하였다. 저자인 나루시마 사기무라(成島鷺村)에 대하여는 서문을 통하여 파악할 수 있었다. 『명승시선』에서 각 명승고적을 기술하는데 가장 많은 분량을 차지하는 곳은 ‘안성도(15줄)’로, 일본의 ‘청일전쟁’과 같은 전쟁의 기억을 담고 있는 곳이었다. 『여지승람』과 『환여승람』에 공통으로 나타나는 명승고적은 천안의 경우 모두 13개소가 된다. 대부분...
TAG Assimilationism, Jeongyu Jaeran, Naeseon-Ilche, Sino-Japanes War 내선일체, 동화정책, 정유재란, 청일전쟁
중국 산동성 쯔보시 주촌고상성 역사경관관리계획의 특성
손지아 ( Sun Shu-zi ) , 양건석 ( Yang Geon-se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2호, 54~65페이지(총12페이지)
최근 중국정부는 급속한 경제발전과 도시 확장 및 관광산업의 발달에 의해 역사·문화도시 훼손문제로 국가급의 유명한 역사·문화도시뿐만 아니라 역사적‧문화적 전통성을 가지고 있는 중소도시의 역사경관을 꾸준히 보호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80년대부터 역사문화자원으로서의 보호정책을 마련하고 지속적으로 역사경관을 관리해온 중국 중소도시인 산둥성 쯔보시 저우춘구(山東省 淄博市 周村區)에 위치하는 성급문화재 주촌고상성(周村古商城)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이 도시의 문화재보호 및 주변지역 역사경관 보호계획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 그 특성을 고찰하였다. 사실, 주촌고상성 역사문화자원으로서의 보호계획은 1980년대 초에 시작되었으나, 실행 가능한 계획은 2001년의 『주촌대가역사가구 보호계획』에서 수립되었으며, 이 계획을 통해 ‘주촌대가 역사가구(历史街区)’ 구역은 관광계획,...
TAG Cultural Relics, Historical and Cultural District, Protection and Maintenance, Regulatory Plan, 규제성상세계획, 문화유적, 보호와 관리, 역사문화가구
조선 왕릉 관람로의 포장현황과 개선방향
백종철 ( Paek Chong-chul ) , 홍윤순 ( Hong Youn-s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2호, 66~73페이지(총8페이지)
200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조선 왕릉은 전 세계적으로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공인받은 문화자산이다. 조선 왕릉은 1970년대 사적(史蹟)으로 지정된 이래 문화재 보존 측면에 중점을 두고 관리되어 왔으나, 오늘날 번잡한 도시에서 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소중한 역사·문화자원이자 안식처로서 많은 관람객을 맞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선 왕릉 관람로의 포장현황을 양적·질적인 측면에서 조사·분석하고 그 개선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18개 지역 53기의 조선 왕릉 관람로를 전수 조사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문화재의 보전과 보호에 방점을 두고 도입된 조성 초기의 마사토 포장과 유지관리의 편의를 위해 1990년대부터 사용되기시작한 경화포장(카프 포장) 모두에서 문제점들이 발견된다. 즉 조선 왕릉의 자연친화적 분위기 조성을 위해 사...
TAG Affordance, Pavement Environment, Royal Tomb of Joseon Dynasty, Viewing Road, 관람로, 조선 왕릉, 지원성, 포장 환경
사찰림의 생태문화적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조계산 송광사를 중심으로 -
장영환 ( Jang Young-whan ) , 구본학 ( Koo Bon-ha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2호, 74~88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찰림의 생태문화적 가치를 평가하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개발된 사찰림의 평가지표를 삼보사찰의 한곳인 송광사(승보사찰)에 적용하였다. 브레인스토밍(숲치유 전문가 2인, 불교계 산림전문가 스님 1인, 산림1인, 연구자 포함 6인)을 통하여 문헌연구와 평가지표 초안을 도출하였고, 이후 전문가그룹(1차:32명, 2차:30명) 심층인터뷰(FGI)를 5점 리커트 설문조사방법으로 도출한 최종평가지표 4개 영역 20개 항목을 기초로 실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찰림의 생태문화적 평가지표에 대해 4개 영역 20개 평가항목으로 각각 5점으로 하였으며 역사문화적 가치는 5개 항목으로 총 25점을, 생태적 가치는 5개 항목으로 총 25점, 휴양·관광적 가치는 6개 항목 총 30점, 교육·이용적 가치는4개 항목 총 20점으로 각각 배점하여 총점을...
TAG Assessment Indicators, Assessment Items, Songgwang-sa Temple, Temple Forest 사찰림, 산사, 송광사, 평가지표, 평가항목
도동서원 중정당 전면 담장의 보수를 위한 진단학적 보존 상태 분석
김규연 ( Kim Kyu-ye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1호, 1~11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도동서원 중정당 전면 담장의 보수를 위한 진단학적 보존 상태 분석을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사진측량 및 도면화, 담장의 재료 및 보존 상태 조사, 담장의 보존 상태 분석 및 평가의 과정으로 진행되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진측량의 경우, 각 사진을 중첩되게 촬영하여, 사진들의 왜곡을 보정한 후 합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담장의 실측 도면을 마련하였다. 둘째, 담장의 재료 및 보존 상태의 경우, 담장은 와편담 형식이며, 머리 부분의 재료는 기와와 진흙, 석회이며, 몸통 부분의 재료는 진흙과 기와이다. 진흙은 자갈, 모래, 지푸라기를 섞어 사용되었다. 기초 부분에는 부정형의 자연석과 진흙이 사용되었다. 둘째, 담장에 나타나는 손상은 기초 부분의 침식 현상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몸통 부분에는 분해 현상이 일...
TAG 과학적 정비, 문화유산, 문화재, 복원, 조정, Cultural Heritage, Cultural Property, Intervention, Restoration, Scientific Maintenance
매장문화재 보존형 역사공원의 설계 양상 - 능곡선사유적공원, 안산신길역사공원, 용죽역사공원을 대상으로 -
김기욱 ( Kim Ki-uk ) , 소현수 ( So Hyun-s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1호, 12~22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매장문화재 보존형 역사공원의 설계 여건으로서 관련 법규와 제도를 고찰한 후, 비지정문화재를 보존조치한 능곡선사유적공원, 안산신길역사공원, 용죽역사공원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여 설계 양상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공원 관련 법규에 따르면 유적지의 보존과 활용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고, 역사관련시설공간, 광장, 휴게공간, 운동공간, 교육문화공간, 편익공간을 도입할 수 있다. 둘째, 매장문화재의 보존만 강조한 공간구성과 동선 체계에 의해서 유구보존공간과 기능적 공간들이 격리되고, 주변 토지이용을 고려한 이용행태를 수용하지 않아서 역사공원의 효용성이 적었다. 셋째, 건축적 방식의 노출 현지보존, 움집 재현, 복토 현지보존 후 철쭉이나 석재로 수혈주거지 위치를 표시하는 소극적 유구 보존방식과 관람 위주의 활용으로 인하여 역사...
TAG 보존조치, 비지정문화재, 유구, 유적공원, Feature(archaeology), Preservation Measure, Remains Park, Undesignated Cultural Heritage
창덕궁 후원의 현판(懸板)과 주련(柱聯)을 중심으로 한 중국인 관람객의 경관인식 연구
장림 ( Zhang Lin ) , 양유선 ( Yang Yoo-sun ) , 손용훈 ( Son Yong-hoo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1호, 23~32페이지(총10페이지)
창덕궁 후원의 경관요소로서 현판과 주련을 인문학적으로 해석한 연구가 많았으나 중국인 관람객의 경관인식을 실증 연구한 사례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실증연구를 통해 중국인 관람객들이 창덕궁 후원에 있는 현판과 주련을 얼마만큼 주목을 하는가, 주목을 한다면, 얼마만큼 이해하는가, 현판과 주련이 얼마나 도움이 되는가, 그리고 부용지와 옥류천 권역에서 경관인식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중국인 관람객의 97.5%가 창덕궁 후원의 현판을 읽었으며, 이는 대부분의 중국인 관람객이 한자 기호에 대해 익숙하기 때문에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인식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현판과 주련에 대한 이해도’가 유의한 값(0.00 < 0.05)으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이 3.39 > 2.97로 현판이 주련보다는 이해도가...
TAG 경관인식, 부용지 권역, 실증연구, 옥류천 권역, Buyongji Region, Empirical Study, Landscape Perception, Ongnyucheon Region
조선왕릉 조성 및 관리에 따른 식재유형 고찰
김은경 ( Kim Eun-kyoung ) , 배준규 ( Bae Jun-gyu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1호, 33~40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왕릉의 조성 및 관리에 따른 식재 유형에 대해 문헌 기록을 분석하고, 향후 조선왕릉 수목관리를 위한 사적(史的) 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조선왕릉 42기 중 40기를 대상으로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비롯한 편년체 사료와 『능지(陵誌)』 중심으로 식재와 관련한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능역의 수목식재는 정식(定植)과 보식(補植)으로 나눌 수 있다. 정식(定植)은 능침 조성 당시 산릉도감(山陵都監)에서 진행한 식재를 말한다. 능역 조성 후 이루어지는 모든 식재는 추가 식재 즉 보식라고 할 수 있다. 조선왕릉의 조성 및 관리에 따른 식재 유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능역 조성 과정 중 조경을 위한 1차 식재가 이루어졌다. 둘째, 산릉 조성 이후 모든 식재는 추가식재로 능행 중 왕명에 의한 식재가 실행되었다. 셋째, 조선후기 산림황...
TAG 능지, 능행, 무오년 수교, 보식, 자연재해, Neungji, Muo-nyeon Sugyo, Bosik, 補植, Neunghaeng, 陵幸, Natural disaster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