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농업사학회2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주대(周代) 정전제(井田制) 실시 지역과 채지제도(采地制度)
이만형 ( Man Hyeong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3호, 31~58페이지(총28페이지)
중국 고대사회 최초의 토지제도로 알려진 井田制는 동아시아 사회의 역사 전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대에 실시되었던 정전제의 기원은 주 문왕이 太公望을 시켜 井畝라는 이름으로 주원지역에서 처음 실시하였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주가 천하를 지배한 宗周 시기에 주왕은 分封 諸侯들에 대한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封國을 제압할 수 있는 군사·경제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왕은 王畿 지역에 채지제도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채지제도가 실시될 수 있었던 바탕이 정전제였는데, 이 채지제도는 春秋·戰國期에 각 제후국에서 확대·실시하였던 정전제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采地井田制라고 하였다. 이후 東周가 성립하는 춘추 시기에 들어오면 채읍지의 지배권을 둘러싼 갈등이 더욱 현저해진다. 이는 아마도 洛邑으로 동천한 이후 주왕실이 더 이상 지급할 새로운 토지(=정전...
TAG 정무, 왕기, 채지정전제, 소농경제, 개천맥, Jingmu, Territory Directed by King, Feud Nine-square Field System, Chu Shui Mu, Kai Qian Mo
일제강점기 이등가(伊藤家)의 토지소유와 지주경영
최우중 ( Woo Jung Choi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3호, 59~85페이지(총27페이지)
중국 고대사회 최초의 토지제도로 알려진 井田制는 동아시아 사회의 역사 전개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대에 실시되었던 정전제의 기원은 주 문왕이 太公望을 시켜 井畝라는 이름으로 주원지역에서 처음 실시하였던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주가 천하를 지배한 宗周 시기에 주왕은 分封 諸侯들에 대한 자신의 권위를 유지하기 위하여 封國을 제압할 수 있는 군사·경제력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주왕은 王畿 지역에 채지제도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채지제도가 실시될 수 있었던 바탕이 정전제였는데, 이 채지제도는 春秋·戰國期에 각 제후국에서 확대·실시하였던 정전제와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采地井田制라고 하였다. 이후 東周가 성립하는 춘추 시기에 들어오면 채읍지의 지배권을 둘러싼 갈등이 더욱 현저해진다. 이는 아마도 洛邑으로 동천한 이후 주왕실이 더 이상 지급할 새로운 토지(=정전...
TAG Itoh, 이등, 伊藤, Farm, Itoh Choube`e, 이등장병위, 伊藤長兵衛, SaMrye-myeon, 삼례면, 參禮面, Bongdong-myeon, 봉동면, 鳳東面, Farm Management, Land Ownership, Tenant, Semi-feudal Suppression, Agriculture, Farm Rent
고농서에 나타나는 관천망기(觀天望氣, 일기리언(日氣俚諺))의 지혜
김미희 ( Mi Heui Kim ) , 구자옥 ( Ja Ock Guh ) , 노경희 ( Kyung Hee Roh ) , 이상영 ( Sang Young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3호, 87~109페이지(총23페이지)
조선시대를 통하여 국가적으로 중요시하며 일관되게 다루어왔던 농업기상 관측과 관리의 제도적·활용적·발전적 실태를 살피고 농서적 측면(「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의 사례)을 검토하였다. 1. 영의정 책임 하에 관상감을 두고 천문·지리·역수(曆數)·점산(占算)·측후·각루(刻漏)관리를 하였던 관련업무 시행의 시초발단은 고려 충렬왕 34년(1308)으로 세계최초이고, 특히 농업기상에 주안을 두었던 사례는 전례가 없다. 2. 농업기상의 관측 효시는 측우기 이용, 수표기록 및 생물력(生物曆)을 염두에 두었던 태음(太陰)·태양력(太陽曆)의 24절기 창제와 이용에 있다. 3. 조선조 후기에는 과거의 장기관측 기술을 단기예측 방법으로 발전시켜 가며 농업기상 예측의 실효를 높이게 되었다. 4. 「증보산림경제(增補山林經濟)」에 기술된 조상들의 날씨 관련 예측 전통지식기술...
TAG 농업, 기상, 지리, 측우기, 태음, 太陰, 태양력, 太陽曆, 24절기, Traditional Knowledge, Weather Forecasting, Old References, Agricultural
민가의 전통정원 재현 및 활용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 이장우 가옥을 대상으로-
허준 ( Jun Heo ) , 장민 ( Min Jang ) , 이시영 ( Shi Young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3호, 111~133페이지(총23페이지)
광주 양림동에 위치한 이장우 가옥(광주광역시 민속자료 제1호)은 1899년에 신축되어진 소중한 문화적 자원이지만 원형이 사라져가고 있어, 현재는 사실상 문화재의 교육적, 사회적 활용이란 측면에서 제대로 역할을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장우 가옥의 정원을 대상으로 현황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전통적인 양식에 벗어나는 것들을 밝히고, 사랑마당, 안마당, 뒷마당, 뒷동산 등 공간유형에 따라 공간의 연출에 있어 한국의 전통성을 재현할 수 있는 디자인안을 제시하였다. 한국적 전통성을 재현하기 위한 기본방향으로는 실용성과 상징성의 은유적 접목을 개념으로 하여 한국적 풍경의 은유적 표현, 전통식생과 소재를 활용한 품격 있는 공간창출, 여백미의 정감 있는 정원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설계원칙으로는 인간적 척도의 준용, 공간의 명료성 확보, 자연성 및 상징성의 강화,...
TAG 문화재, 전통재현, 정원디자인, 상징성, Cultural Assets, Traditional Recreation, Garden Design, Symbolism
동양 전통정원의 형식과 특성
김상범 ( Sang Bum Kim ) , 김은자 ( Eun Ja Kim ) , 윤희정 ( Hee Jeong Yun ) , 강방훈 ( Bang Hun Kang ) , 이상영 ( Sang Young Rh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3호, 135~155페이지(총21페이지)
인간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자연숭배사상으로 자연과 더불어 조화를 이루는 정원을 만들었다. 자연이 주가 되고 인공적인 축조물이 종의 위치에 있는 자연의 한 모습으로 자리를 차지하여 왔다. 특히 우리나라는 계절의 변화와 자연의 섭리로 받아들여 그 속에 인간은 더불어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중국은 거대한 스케일에 자연을 그대로 담아오는 적극적 태도가 정원에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일본은 돌의 배치를 중시하여 신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를 연결한다는 기본 바탕에 담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정원으로 비교적 작은 크기의 산, 바다, 숲 등의 자연 경관들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였다. 이렇게 동양의 전통정원은 자연환경, 문화, 종교, 철학 등의 사상을 배경삼아 자기 것을 가미하여 독자적인 정원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면에서 비슷하면서도 다른 동양의 전통정원의 역...
TAG 전통정원, 정원요소, 동양정원, 한국정원, 일본정원, 중국정원, Traditional Garden, Gardening Elements, Oriental Garden
한국 전통농업의 현대적 의의
구자옥 ( Ja Ock Guh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3호, 157~207페이지(총51페이지)
인간은 고대로부터 내려오는 자연숭배사상으로 자연과 더불어 조화를 이루는 정원을 만들었다. 자연이 주가 되고 인공적인 축조물이 종의 위치에 있는 자연의 한 모습으로 자리를 차지하여 왔다. 특히 우리나라는 계절의 변화와 자연의 섭리로 받아들여 그 속에 인간은 더불어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반면 중국은 거대한 스케일에 자연을 그대로 담아오는 적극적 태도가 정원에 나타났고 상대적으로 일본은 돌의 배치를 중시하여 신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를 연결한다는 기본 바탕에 담 등으로 둘러싸여 있어 정원으로 비교적 작은 크기의 산, 바다, 숲 등의 자연 경관들을 인공적으로 조성하였다. 이렇게 동양의 전통정원은 자연환경, 문화, 종교, 철학 등의 사상을 배경삼아 자기 것을 가미하여 독자적인 정원으로 발전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면에서 비슷하면서도 다른 동양의 전통정원의 역...
TAG Conventional Agriculture, Technical and Cultural Essence, Mutual Aids, Durae-culture, Ondol-culture, Sit-down Living, Worship of Heaven, Agricultural Fundamentalism
해대(海垈) 용산문화(龍山文化)의 농업(農業)과 환경(環境)
배진영 ( Jin Young Ba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2호, 1~21페이지(총21페이지)
이 연구에서 살펴본 해대(海岱)지구 용산문화(龍山文化) 시기의 농업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속 혼작, 둘째, 대규모 곡물 창고의 존재, 셋째, 양조업의 발달이다. 이는 해대지구 용산문화시기의 농업 환경과 용산문화의 특징을 통해 이루어진 것이다. 당시 해대지구 용산문화시기 농업환경은 현재보다 기온이 3도 정도 높았다. 또 장강 유역으로부터 도작 농업이 전파됨에 따라, 도속(稻粟)혼작구를 형성시켰다. 한편, 대규모 곡물 창고의 존재는 곡물 재분배와 집단 농경의 가능성으로 이어진다. 또한 수많은 주기(酒器)의 출현은 당시 발달된 양조업을 반영한다. 이는 충분한 잉여 농산물을 바탕으로 한다. 이러한 농업 환경의 조성은 해대지구 용산문화 사회가 강력한 왕권을 중심으로 예제사회를 이룬 국가단계에 이르렀음을 시사한다. 즉 수많은 주기(酒器)의 발달은 당시 사회...
TAG 해대지구, 海垈地區, 용산문화, 龍山文化, 도속혼작, 稻粟混作, 곡물 재분배, 양조업발달, 예제사회, 禮制社會
하니족의 생태농업과 제전(梯田)
김명현 ( Myung Hyun Kim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2호, 23~56페이지(총34페이지)
중국 운남의 아열대 애뢰산 지역에 있는 하니족의 제전(梯田)은 고산(高山)의 삼림, 중턱의 마을, 저산(低山)의 제전을 형성하고 있다. 이는 자연생태와 이와 상응하는 삼위일체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구조의 내부 전개, 즉 하니족의 사회 생산에서 제전농업은 비교적 완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으며, 양성(良性)의 농업 생태시스템을 이루고 있다. 이는 절묘하고도 조화로운 애뢰산 지역의 자연생태 시스템과 일체가 되었다. 그리하여 산악 지대에서 전통농업의 발전이 극도에 이르고 있다. 하니족은 자연 환경의 적합성을 아주 적절하게 이용하고 개조하면서 자연 법칙의 요구와 부합을 이루었다. 이와 같은 인간의 생존과 발전에 유리한 농업생태 시스템은 하니족의 물후력(月曆)을 만들어내었고, 물후력에 따른 제사 의례와 각각의 민속들은 제전문화의 구성을 통해 이루어진 것...
TAG 제전, 애뢰산, 하니족, 물후력, 月曆, 생태시스템, 민속, Terrace, Mt. Ailao, Hani People, Hanis calendar, ecological system, folklore
19세기 개화파의 농서 간행과 보급의 의의 -안종수(安宗洙)의 『농정신편(農政新編)』을 중심으로-
이선아 ( Sun Ah Lee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2호, 57~75페이지(총19페이지)
안종수의 『농정신편』은 새로운 농업 지식을 소개하고 도입하려는 노력의 산물이었다. 신사유람단의 수행원으로 일본을 방문하고 돌아온 지, 5개월 만에 완성한 『농정신편』은 개화파들에게 새로운 문물의 수용과 보급을 시험하는 시금석이기도 했다. 『농정신편』의 서문처럼 `시행할 수 없는 데서 나왔다고 하더라도` 실효를 거둬 통용된다면 다른 분야의 새로운 문물도 통용될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농정신편』에 담았던 것이다. 때문에 광인사라고 하는 근대식 출판사를 통해 간행하였으며, 책의 보급에도 주력했던 것이다. 그러나 급진적 개화파들이 주도한 갑신정변이 일어나고, 개화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확산되면서 개화를 향해 진전할 수 없었다. 안종수의 경우, 갑신정변파의 혈당 내지는 잔당으로 지목되면서 10여 년의 유폐의 세월을 보내야 했다. 개화를 둘러싼 정치적 상황이 유연...
TAG 방각본, 농서, 안종수, 농정신편, 갑신정변, 개화파, 안영수, 신기선, An Jong-su, Nong-chung-sin-pyun, Agriculture Book, Enlightment Party, Gap-sin-jung-byun, Group of inspection to Japan, Japan`s Imperialism
고농서(古農書)에 나타나는 천기예측(天氣豫測) 기술
김미희 ( Mi Heui Kim ) , 구자옥 ( Ja Ock Guh ) , 이상영 ( Sang Young Lee ) , 노경희 ( Kyung Hee Roh )  한국농업사학회, 농업사연구 [2009] 제8권 제2호, 77~113페이지(총37페이지)
조선왕조시대의 고농서에 나타난 농업 및 생활기상 관련의 예측기술을 일별하고 공통적으로 제시된 기술들을 찾아 현대 기상학적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일별된 기술들은 ① 천둥소리 듣고 날씨읽기 ② 저기압 비 소식을 알리는 소리들 ③ 가루눈과 함박눈의 기상적 차이 ④ 눈으로 보리작황 판단 ⑤ 높새바람의 피해예상 ⑥ 마파람과 된바람 ⑦ 산바람과 골짜기 바람 ⑧ 용보고 날씨 읽기 ⑨ 무더위로 바람읽기 ⑩ 구름 보고 날씨 읽기 ⑪ 번개 보고 날씨 읽기 ⑫ 무지개 보고 날씨 읽기 ⑬ 해와 달무리 보고 비·바람끼 읽기 ⑭ 별빛 보고 비·바람끼 읽기 ⑮ 아침·저녁노을 보고 날씨 읽기 (16) 물고기 보고 날씨 가늠하기 (17) 먼 산 보고 날씨 가늠하기 등이다. 발굴된 기술들은 천둥과 비, 동물의 수증기막과 교감신경, 상층대기온도와 눈, 용오름현상, 바람과 태양열, 고적운·적란...
TAG 농업, 기상, 천둥, 저기압, , 무지개, , 바람, 번개, , , , 노을, 물고기, , agriculture, weather prediction, in old references, rain , rainbow, wind, snow, Lightning, sun, moon, star, a red sky, fish, mountai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