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6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한 전시 연계 교육 프로그램 연구
안금희 ( Ahn Keum-h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8권 245~270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참여와 소통의 기제를 고찰하고, <프롬 더 비기닝>전시의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며 그 교육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개발 및 자료 수집 기간은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4개월간 진행되었으며 총 619명의 대학 구성원인 대학생, 대학원생, 교수 그리고 지역 초중등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전시에서는 지역주민과 대학 구성원들이 작품에 대해 비평문 쓰고 전시한 <우리들의 이야기 시작>, 전시실 내 관람자들이 작품이나 미술에 대해 궁금한 점을 쓰는 코너인 <미술아 궁금해> 그리고 관람 후 전시 주제에 대한 관람자들의 생각을 표현하는 코너인 <우리들에게 시작이란...> 등이 개발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들의 이야기 시작>이 관람자들의 관찰, 일상의 경험, 상상력 등을 통해 ...
TAG 참여, 해석, 의미 만들기, 미술관 교육, participation, interpretation, meaning-making, art museum education
영상의 점화효과(Priming effect)를 적용한 미술교육에서의 영화 감상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전병호 ( Jeon Byoung-ho ) , 박상돈 ( Park Sang-dor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8권 271~295페이지(총25페이지)
교육현장에서 영화교육은 영화 제작교육과 감상교육의 두 형태로 구분된다.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은 대부분 학습자에게 영화에 대한 체험을 제공하는 영화 제작교육 차원에서 이뤄지고 있다. 영화교육의 목적은 학습자들에게 영화를 통해 자신들의 삶에 대한 통찰력을 기르고 세상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영화학습을 통해 삶에 대해 통찰할 수 있는 확장된 교육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본고는 이러한 측면에서 영상의 점화효과에 주목하고 이를 적용한 영화 감상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상의 점화효과는 영상에 무분별하게 노출된 오늘날의 학습자에게 포괄적 인지를 형성하게 할 수 있다는 교육적 가능성을 갖는다. 동시에 미술교육에서의 영화교육에서 교수자의 교육적 의도를 포괄하는 효율적 영화 감상교육 방안으로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TAG 영화교육, 미술교육, 점화효과, 영화 감상교육, film education, art education, priming effect, film appreciation Education
학교미술교육에서 문화적 환경으로서의 교사 위치와 역할
진은정 ( Jin Eun-jeo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8권 1~16페이지(총16페이지)
이 논문은 삶과 문화의 맥락이 강조되는 현대미술교육과 역량 중심의 현행 교육과정에 따라, 학교미술교육을 위한 환경적 요인으로서의 교사 위치와 역할에 대해 논한다. 그동안 미술교육환경에 대한 논의가 물리적 환경론에 치우쳐왔다면, 인간 활동 그 자체를 환경으로 보는 내재적 관점에 입각하여 미술교육환경 구성의 주체 중 교사에 초점을 맞추어 미술교육환경에 대한 논의를 풀어간다. 이를 위해 오늘날 미술교과교육의 특성과 현대교육일반의 동향 및 새롭게 주목받는 지식 개념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현장 교사들의 미술교육에 대한 이해와 인식 정도, 교사문화의 특징을 통해 학교미술교육의 상태 및 교육 여건에 대해 진단해보면서 미술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오류와 간과 지점들을 검토할 것이다. 끝으로 학교미술교육에서 교사의 위치와 역할을 재설정하고, 교사의 역량 문제에 대한 해결이...
TAG 미술교육환경, 문화적 환경으로서의 교사, 학교생활, environment for learning art, teacher as cultural environment, school life
통일미술교육 방법으로 신문화사적 관점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조영우 ( Jo Young-u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8권 17~58페이지(총42페이지)
그동안 통일미술교육의 당위성은 민족공동체의 동질성 확립으로 귀결된다. 그런데 전통문화중심의 동질성 회복만을 통일미술교육의 목표나 당위성으로 설정했을 때, 통일교육이 아이들이 사는 현실과 동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통일은 이제 교육이나 정책적 문제가 아닌 학생들에게는 현실 문제라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질성’에 의존하는 기존 통일미술교육에 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새로운 통일미술교육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기존 통일미술교육 연구내용을 확인하고 새로운 통일미술교육 관점과 방향으로 신문화사적 역사 해석 방식에 주목하고자 한다. 신문화사는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정치사적 역사 서술에서 벗어나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태도를 지닌 미시적, 문화적 역사 인식의 발로다. 신문화사는 인류사의 지역성, 개별성 진행에 관심을 가지고 이를 ...
TAG 통일교육, 통일미술교육, 신문화사, new cultural history, art education on unification, unification education
초등 미술교육에서 백워드 설계를 기반으로 한 환경윤리 수업 방안 연구
장하은 ( Jang Ha-eun ) , 박소영 ( Park So-yo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8권 59~92페이지(총34페이지)
현재 우리가 직면한 환경문제는 기존 상황에서 더 악화하여 우리의 생명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미래 세대를 위해서라도 우리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환경문제를 인식하고 해결하기 위해 한 걸음 다가가야 한다. 이를 위해 학습자의 환경소양 함양을 위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환경윤리교육을 미술 교과에서도 다루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미술교육에서 환경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여 환경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과 가치관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백워드 설계 모형을 기반으로 한 미술수업지도 방안을 고안하였다. 초등학생 3, 4학년을 대상으로 총 8차시 수업으로 진행된 수업 결과물을 평가 준거 네 가지 유형을 통해 분석하고 환경소양 측정 도구를 이용한 사후 설문지를 통해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미술수업에서 백워드 설계를 활용한 수업 과정은 ...
TAG 환경윤리교육, 환경소양, 백워드 설계 모형, 미술교육, environmental ethics, environmental literacy, backward design, art education
학교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을 위한 방안 모색
이미희 ( Lee Mi-hee ) , 이주연 ( Lee Joo-yon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7권 1~32페이지(총32페이지)
이 연구는 학교미술교육에서 지역사회와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안되었다. 자유학기제의 영향뿐만 아니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도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조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교육에서는 이와 관련한 다양한 활동들이 개발 및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사회와의 연계가 의미하는 바가 다양하여 이의 계획 및 실행에 있어 혼선을 야기하기 때문에,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이 무엇을 뜻하며 이를 실행하고자 할 때 무엇이 고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를 구성하는 네 가지 중점 요소들, 즉, ‘장소 정체성’, ‘이슈’, ‘참여’, ‘공동체’를 도출하였다. 또한 초·중등학교 미술 교과서에서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TAG 지역사회, 지역사회 연계 미술교육,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술 교과서, Community, Community-Linked Art Education, 2015 revised Korean National Art Curriculum, Art Textbooks
참여 예술의 운영 양식과 예술교육적 함의
정연희 ( Jung Yeon-h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7권 33~59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참여 예술과 예술교육 간의 교차 현상을 규명하기 위하여 관계적 참여 예술, 반목적 참여 예술, 행동주의 참여 예술, 시민참여 예술 등으로 구분되는 참여 예술의 현주소를 살펴보고, 이들 참여 예술의 예술적 실천과정에서 작동하고 있는 운영 양식을 분석적으로 검토하였다. 참여 예술의 운영 양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참여적 예술 실천이 내포하고 있는 세 가지 특징적인 요소를 파악할 수 있었는데, 이는 ‘공동체에의 관심’, ‘관계와 담화의 강조’ 그리고 ‘참여과정을 통한 의미 창출’이다. 이러한 예술적 실천의 특징은 참여적 예술작업과 교육적 실천이 교차하는 공간을 열어주는 것으로, 이 세 가지 참여 예술적 실천원리는 교육적 실천에 접목되는 경우 예술교육의 내재적·외재적 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본 연구는 참여적...
TAG 참여 예술, 운영 양식, 예술적 실천, 교육적 실천, 참여 예술 기반 학습, participatory art, modes of operation, art practice, pedagogical practice
“시각 이미지로 다시 보는 교실”: 반성적 교사교육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서제희 ( Seo Jae-hee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7권 61~79페이지(총19페이지)
이 연구는 2018년 1학기 동안 한 교육대학원의 수업에서 교사들이 교실 내의 삶과 관련하여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를 교육적으로 이해한 과정을 탐색한 사례이다. 연구에 참여한 교사들은 교육현장에서 시각 자료수집을 통해 수업을 반성하고 기록하면서 교사 스스로에 대해 문제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학생들과 자신의 수업을 다시 보면서 관습적으로 행하던 교수 태도에 의문을 갖게 되었고 변화를 시도하게 되었다. 시각 자료수집을 통한 수업 상황의 구체적인 관찰은 교사의 반성이 현장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드러나는가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들인 교사들 스스로 가르침의 의미를 반성하게 된 과정에 관한 것이며 그 과정에서 우리의 교실과 학교, 우리의 교육 세계를 되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교육 현장의 시각적 연구는 사회적, 문화적 측면의 다층적 해석을 ...
TAG 시각 이미지, 반성, 교사교육, 질적 사례연구, visual image, reflection, teacher education, qualitative case study
2015 개정 미술교과서 한국화 교육에 관한 내용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초등학교 3, 4학년 중심으로 -
김주령 ( Kim Ju-ryo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7권 81~107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2018년 초등학교 3, 4학년부터 적용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한 초등 미술교과서에 서술된 한국화교육에 대한 실태와 개선을 위한 방안 연구에 목적이 있다. 한국화교육은 올바른 전통적 가치관 정립뿐만이 아니라 현대회화를 이해하는 중요 요소로 평가받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낮은 비중으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그 실태 및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과서가 처음 적용된 3, 4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4종 8권의 검정 미술교과서의 내용분석을 진행하였고, 교육실태 및 환경조사를 위해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교과서 분석에서 첫째, 정량분석을 통하여 한국화영역이 교과서 전체의 4.3% 수준으로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도판분석을 통하여 한국화 도판이 적었으며...
TAG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 3, 4학년 미술교과서, 한국화, 2015 Revised Curriculum, Art Textbook of Third & Four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 Korean Painting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예술가 협동수업 사례연구: 초등학교 4학년을 중심으로
이새희 ( Lee Sae-hee ) , 강윤정 ( Kang Yoon-jung )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미술교육연구논총 [2019] 제57권 109~138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학교문화예술교육으로서 예술가와의 협동수업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실제 현장에 적용 가능한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여 예술가와의 협동수업의 효과를 확인하고 앞으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학교문화예술교육과 관련된 국내외 자료를 조사하고, 이를 기반으로 총 8차시의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서울시 소재의 한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총 54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예술가와의 협동수업의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인 결과 도출을 위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의 ‘2016 문화예술교육 효과 지표 구축 기초 연구’에 제시된 효과 측정 설문지를 측정 도구로 활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교사 55명을 대상으로 예술가와의 협동수업에 대한 인식 및 개선점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고, 실험학급 담당 교사 2명과 예...
TAG 미술교육, 문화예술교육, 학교문화예술교육, 초등미술교육, 예술가 협동수업, art education, cultural art education, school cultural art education, elementary art education, cooperative class with artis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