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54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문법장치 "와/과"를 활용한 개요 수정 사례
김남미 ( Nam Mee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7권 29~64페이지(총36페이지)
사고의 방법이나 방향을 이끄는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점을 보임으로써 문법 교육이 작문교육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를 밝히려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 대상으로 삼은 문법 표지는 대등성 의미 관계를 지시하는 문법장치인 ‘와/과’와 이를 함의하는 비명시적 ‘와/과’와 관련된 의미 관계다. 대등적 의미 관계를 나타내는 문법장치인 ‘와/과’와 통합되는 명사(상당 어구)들의 관계는 계열 관계에 놓인 요소가 되며 대등적 의미 관계를 갖는다. 학습자들은 개방성 체계 내에서 문법적 장치와 통합된 계열 관계의 요소들 간의 관계를 읽음으로써 개요의 응집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어휘 관계를 통한 사고의 확장을 통해 사고의 깊이와 넓이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문법교육이 갖는 의미는 두 가지다. 첫째는 학습자가 산출한 언어 수행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이 이루어진다는 의미다. 둘...
TAG 계열관계, 문법장치, 다시쓰기, 의미 관계, 문법교육, Paradigmatic Relation, Grammatical Device, Re-writing, Lexical Relation, Teaching Grammar
《표준 한국어》교재의 학습목표 진술 방식 분석
김영심 ( Young Sim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7권 65~93페이지(총29페이지)
교재에서 학습목표는 수업, 학습, 평가 등에서 교사와 학생에게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표준 한국어》교재의 학습목표가 적절하게 진술되어 있는지 진술 방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학습목표 진술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학습목표 진술의 원리를 도출하였다. 분석 방법은 학습목표를 진술 방식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고, 학습목표 진술에 사용된 동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표준 한국어》교재의 학습목표는 진술 유형에서 대체로 기본형으로 진술되어 있어서 바람직한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중학생 교재에서는 병렬형, 과정형, 내용 모호형과 같은 변칙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어서 진술 방식에 일관성이 낮았다. 학습목표 진술에 사용된 동사를 분석한 결과는 전반적으로 구체적인 행동 동사로 진술되어 있어서 이론과 부합하였다. 그러나 일부 학습목표 진술에서 사용되고 있는...
TAG 《표준 한국어》교재, 한국어 교육, 학습목표, 진술 방식, 행동 동사, Standard Korean Textbooks, KSL(Korean as a Second Language), learning objectives, patterns of statements, action verb
교사의 작문 피드백 관련 국외 연구 동향 및 주요 쟁점 - 네트워크 분석과 문헌 고찰의 적용 -
김혜연 ( Hye Youn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7권 95~136페이지(총42페이지)
이 연구는 교사의 작문 피드백에 대한 국외 연구 동향을 파악하되, 시기별 추이나 영역 간 차이 등 변화나 차이에 주목하여 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하여 교사의 작문 피드백을 이론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서, 네트워크 분석과 문헌 고찰의 두 방법론을 병행하여 양적 동향 분석을 시도함은 물론 질적 검토를 통해 이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표제어 기반양적 분석을 통해 1980-90년대와 2000년대의 현황 사이에는 연구물의 절대적 수치의 차이뿐만 아니라, 연구 동향에 있어서도 뚜렷한 차이가 나타남을 발견할수 있었다. 1980-90년대에는 ‘반응’이라는 용어를 선호하였던 데 반해, 2000년대 이후에는 ‘피드백’이라는 용어를 선호하였다. 한편, 시기별과 영역별 빈도 분석을 함께 실시한 결과, 제1언어 영역에서는 양적으로 축소된 ...
TAG 작문, 피드백, 교사, 네트워크 분석, 연구 동향, 제1언어, 제2언어, Writing, Feedback, Teacher, Network analysis, Research trends, L1, L2
보도 자료에 대한 이해도 조사
신명선 ( Myungsun Shin ) , 강보선 ( Bosun Kang ) , 이기연 ( Kiyoun Yi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7권 137~195페이지(총59페이지)
공공언어란 공공 기관에서 사용하는 공적 언어에서부터 넓게는 불특정 다수의 일반 대중을 상대로 하는 공적 언어까지를 아우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간 공공언어의 생산자 중심으로 이루어진 공공언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공공언어 수용자에게 접근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대표적인 공공언어 텍스트인 보도자료를 중심으로 수용자의 공공언어 이해 양상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은 국민 공통교육과정을 모두 마친 고2, 3학년 학생 493명과 대학생 58명으로, 보도자료 텍스트를 일반 성인들이 얼마나 이해할 수 있는가를 가늠할 수 있는 기초 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하여 보도 자료에 사용된 어휘에 주목하여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은 대개 보도 자료가 무엇인지 모르고 있었으며 보도 자료가 갖는 특성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보이지 않았다. 다만 고등학생보다는 대학생이 ...
TAG 공공언어, 보도 자료, 공공언어 어휘, 공공성, 모범성, 대중성, 공공언어 교육, Public Language, Press Release, Public Language Vocabulary, Publicity(public interest), Model, Popularity, Public Language Education
문법 연구의 변화와 문법 교육의 변화 - 탈문법학 시대의 문법 교육의 새로운 지향 -
구본관 ( Bon Kwan Koo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7권 197~254페이지(총58페이지)
이 연구는 문법 연구가 문법 교육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문법 교육의 지향점을 찾아보려는 논의이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문법과 문법 교육의 관계, 문법 연구의 변화와 문법 교육 연구의 변화를 자세하게 검토하였다.그런 다음 제3장에서는 교과서와 교육과정을 통해 교육 내용이 변화하는 양상을 살폈다. 제4장은 2장과 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문법 교육 연구와 문법 교육 실행에 있어서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우리는 이런 논의를 통하여 문법 교육에 대한 비판에 대응하며, 문법 교육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TAG 문법, 문법론, 문법 연구, 문법 교육, 교과서, 교육과정, grammar, linguistics, grammar research, grammar teaching, textbooks, curriculum
작문 교재로서의 『유서필지(儒胥必知)』
김종철 ( Jong Cheol Kim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7권 255~310페이지(총56페이지)
『유서필지(儒胥必知)』는 이두문(吏讀文)으로 작성되는 공문서(公文書)와 사문서(私文書) 학습 교재이며, 제목에 드러나듯이 사족(士族)과 이서(吏胥)가 주 학습자이다. 이 책은 19세기 초엽에 어떤 이서(吏胥)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추정되며, 여러 목판본이 있다. 이 책은 『이문(吏文)』, 『이문대사(吏文大師)』, 『이문잡례(吏文雜例)』등 선행하는 이두와 이두문 학습 교재를 계승 발전시킨 것이며, 갑오개혁 이후에는『신식유서필지(新式儒胥必知)』로 개편되었다.『유서필지』의 편찬자는 공문서와 사문서를 이서체(吏胥體)라 하고, 문장체(文章體: 한문산문)와 공령체(功令體: 功令文)와 구별하였는데, 이 이서체란 이서들만이 쓰는 글이 아니라 행정 업무상 이서들이 다루어야 하는 글들이라는 뜻으로 해석된다. 편찬자는 장르별로 문서를 배열하였고, 각 장르별로 구체적 사안에 따...
TAG 유서필지(儒胥必知), 이두문(吏讀文), 공문서(公文書), 사문서(私文書), 작문 교재, Yuseophilzi[유서필지, 儒胥必知], Korean Idu[吏讀], official documents, private documents, composition
국어 문법 교재 개발의 이론과 실제 - 2009 개정 국어 교과서에 구현된 문법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
민현식 ( Hyunsik Min ) , 이지선 ( Jisun Lee ) , 이지은 ( Jieun Lee ) , 조진수 ( Jinsu Jo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6] 제37권 311~351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는 국어 교과서에 문법 성취 기준이 구현된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문법 교재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09개정 7~9학년 ‘국어’ 교과서 분석 결과, 문법 단원의 독립 구성, 타 영역에서의 문법 학습 연계 부족, 교육 내용의 위계 고려 미흡, 교육 내용의 수준 및 범위의 불일치, 문법 용어의 혼란, 본문 내용의 기술 방식 선택의 자의성 및 학습 활동유형의 단순화 등의 문제가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문법 교재가 통합성, 지속적 연계성, 실제성을 적절히 구현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문법 교재 개발의 방향으로 통합성, 지속적 연계성, 실제성을 제안하였다. 통합성은 문법 교육 내용을 타 영역과 통합하여 학습자가 총체적 언어 학습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함...
TAG 문법 교육, 문법 교과서, 통합성, 지속적 연계성, 실제성, grammar education, grammar textbooks, integration, continuity, authenticity
남북한 초, 중, 고등학교 국어교육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 -통일 대비 단계의 국어과 교수, 학습 내용 선정 및 수업 분석을 중심으로-
고정희 ( Jeong Hee Ko ) , 김종철 ( Jong Cheol Kim ) , 구본관 ( Bon Kwan Koo ) , 위현길 ( Hyeon Gil Wi ) , 윤구희 ( Gu Hui Yun ) , 김호태 ( Ho Tae Kim ) , 이은정 ( Eun Jeong Lee ) , 조진수 ( Jin Su Jo ) , 차경미 ( Kyung Mi Cha ) , 문찬란 ( Chan Ran Moon ) , 김진아 ( Jin A Kim ) , 심미진 ( Mi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1~49페이지(총49페이지)
이 연구는 통일 대비 단계에서 남북한 학습자에게 필요한 교육 내용 및 방법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현장에서 수행해 봄으로써 통일 이후 국어교육 통합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남북한 교육과정과 교과서, 북한 이탈 청소년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분석하고, 북한 학습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북한 이탈 청소년 대안 학교를 참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 대비 남북한 학습자를 위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활용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제 수업을 실시하고, 수업 장면을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학습자 반응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직 교사를 대상으로 전문가 수업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크게 ‘언어적 차이 및 국어의식의 차이 인식 측면’, ...
TAG 국어교육, 통일 대비 국어교육, 민족어 교육, 수업 실행, 수업 분석,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unification, ethnic language education, instructional performance, class analysis
한국어와 중국 제어의경어법 문법화 정도에 대한 비교 연구
박성일 ( Cheng Ri Piao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51~81페이지(총31페이지)
본 연구는 경어법을 논제로 하여, 중국의 여러 민족 언어에서 현존하는 경어법의 실현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언어유형론적 관점에서 서로 비교하여 기술했으며, 각 언어 경어법의 문법화 정도를 분석했다. 한국어와 중국어를 포함하여 중국의 중국-티베트어족과 알타이어족에 속한 15개 언어를 조사 대상으로 했고, 경어법 실현방법의 유형을 어휘적, 파생적, 형태적, 통사적 방법으로 구분했다. 경어법의 문법화 정도를 분석한 결과 알타이어족 튀르크어파에 속하는 위그르어, 카자흐어, 키르키즈어, 사라어가 한국어와 함께 경어법의 문법화 정도가 높았고, 같은 알타이어족의 몽골어파와 만주퉁구스어파의 문법화 정도는 낮았다. 중국-티베트어족의 언어들은 주로 어휘적 방법의 경어법이 실현되었고 문법화 정도가 보편적으로 낮았다.
TAG 언어유형론, 경어법, 문법화, 알타이어족, 중국-티베트어족, 중국, 한국어, 중국어, Linguistic typology, honorific system, grammaticalization, Altaic languages, Sino-Tibetan languages, China, Korean, Chinese
틀(frame) 유형을 활용한 협상 교육 내용 연구
박준홍 ( Junhong Park )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교육연구 [2015] 제36권 83~114페이지(총32페이지)
협상은 상반되면서도 공통된 이익에 관한 갈등을 조정하여 양측 모두의 이익을 증진시키는 방법이다. 따라서 갈등의 양상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그에 따라 갈등을 조정하는 전략을 세우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고에서는 협상의 이러한 본질을 고려하여 틀(frame) 유형을 협상의 교육 내용으로 제안하였다. 틀은 갈등당사자들이 갈등에 관한 세계를 해석하는 데 사용되는 렌즈와 같기 때문에 틀을 분석함으로써 어느 지점에서 갈등이 일어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갈등을 조정할 수도 있어 갈등 조정 방법인 협상에서 큰 유용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실제로 본고에서는 틀에 관한 선행연구와 현재 협상 교육 내용의 고찰을 통해, 기존의 교육 내용을 보완해 줄 수 있는 ‘틀 유형을 활용한 협상 교육 내용’의 세 가지 이점을 밝히었다. 그러나 틀 유형에 관...
TAG , 틀 유형, 협상, 협상 교육, 갈등, Frames, Frame categories, Negotiation, Negotiation Education, Conflict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