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59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어기본법에 따른 국어교육 내용과 방법의 대안적 탐색
이관규 ( Lee Kwanky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7~40페이지(총34페이지)
2005년에 문화체육관광부에서는 국어기본법을 발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국어기본법이 각급 학교의 국어교육 내용과 방법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국어기본법 조항들, 교육과정, 성취기준, 교과서, 수업시수 등을 통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이 논문에서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과제를 수행하고자 했다. ㉠ 국어기본법의 목적과 국어교육과의 관계는 무엇인가? ㉡ 국어기본법에서 국어교육 내용은 무엇인가? ㉢ 국어기본법 시행 이전과 이후의 국어교육은 차이가 있는가? ㉣ 국어기본법은 국어교육 방법에 어떤 변화를 요구하는가? 국어기본법은 학교 국어교육과는 괴리된 상태에서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글, 어문규범과 같은 기본적인 내용은 물론이고 실제 언어생활에 필요한 국어사용, 국어능력 등 많은 국어교육 관련 내용을 국어기본법이 담고 있으므로...
TAG 국어기본법, 교육과정, 교과서, 성취기준, 수업시수, 내용, 방법, FNL, Curriculum, Text, Standards, Lesson time number, Contents, Methods
문화 매체를 활용한 프레젠테이션 수업의 학습 자료 개발 - 동서울대학교 < 컬처RWSPⅠ·Ⅱ >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강정화 ( Kang Junghw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41~67페이지(총27페이지)
본고는 프레젠테이션 수업에서 매체를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현대 사회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바로 표현 능력이다. 많은 지식과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어도, 상대에게 그 것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는다면 이는 아무 소용이 없다. 따라서 사회에서는 예비 사회인으로서 표현 능력을 갖춘 인재들을 원하고, 대학에서는 이 같은 요구를 수용하여 표현 관련 수업을 개발하고 진행 중이다. 실용성을 중시하는 프레젠테이션 수업은 과정 중심의 글쓰기나 공적인 말하기와 관련된 수업으로 구성되었다. 특히 기술적인 연마를 중시하는 전문대학교에서는 문학이나 영화, 웹툰 등 문화 매체 보다는 보고서와 기획 안, PPT 화면 구성 등 실용적인 측면을 강조해왔다. 하지만 학생들에게 글쓰기와 말하기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매체를 적극 활용...
TAG 의사소통 능력, 프레젠테이션 수업, RWSP, 표현 능력, 매체 활용, Presentation classes, Communicative ability, Cultural media, Reading/writing
대학의 계열별 글쓰기 교육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안상희 ( Ahn Sangh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69~96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 고찰 방법을 통해 총 10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대학의 계열별 글쓰기 교육 연구를 검토하였다. 먼저 대학 계열별 글쓰기 교육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았다. 연구가 수행된 연도, 게재된 학술지와 같은 일반적인 정보의 경향을 살펴본 뒤 연구 방법,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계열의 경향을 검토하였다. 둘째, 계열별 글쓰기 교육에 대한 연구자들의 비판을 살펴보고 그 대안은 무엇인지에 대해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 계열별 글쓰기 교육 연구는 2006년에 수행되기 시작하여 증가하였으며, 특히 2013년~2015년 사이에 많이 수행되었다. 또한 교양교육연구, 리터러시연구, 작문연구 등의 학술지에 특히 많이 게재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이 많이 사용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개별 수업사례에 대해 보고한 사례연구가 많았다. 연구 대상으로 한...
TAG 대학 글쓰기 교육, 계열별 글쓰기 교육, 전공 글쓰기 교육, 범교과적 글쓰기, 체계적 문헌 고찰, College writing education, College writing education in each department,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WAC),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문화융합사회의 학교 언어 문화 교육의 방향성 탐색
원진숙 ( Won Jinso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97~124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다양한 언어와 문화에 기반한 문화융합사회가 요구하는 학교언어 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6년 이후 교육부 주도로 이루어진 학교 다문화 교육 정책의 주요흐름을 검토하고 학교 안의 다문화 학생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들-언어적 문화적 차이로 인한 불평등, 학업 성취 격차, 차별과 편견, 정체성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한 대안으로 문화융합사회의 다중문식성 개념을 새롭게 규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바람직한 학교언어 문화 교육의 목표로 ‘세상을 읽어내고 세상과 소통할 수 있는 힘’으로서의 기능적 문식성 함양하기, 다수자와 소수자 모두가 문화적 다양성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소통할 수 있는 다문화적 문식성 함양하기, 당당한 문식 실천 주체로서 자신의 목소리를...
TAG 문화융합사회, 학교 언어 문화 교육, 다중문식성, 기능적 문식성, 다문화적 문식성, 자신의 목소리로 말하기, 정체성, Cultural convergence society, School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Multi-literacies, Functional literacy, Multicultural literacy, Ability to voice one’s opinions, Identity
베스트셀러 속 등장인물의 문식 활동 분석 - 어린이 대상 도서를 중심으로
권이은 ( Kwon Ee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125~154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지난 10년간의 어린이 대상 베스트셀러 속 인물들이 수행하는 문식 활동을 분석하고,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베스트셀러 속 인물들의 문식 활동의 목적은 정보 습득 및 전달, 친교 및 정서 표현의 순으로 나타났다. 종류는 읽기가 가장 우세했으나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쓰기와 보기는 소폭 증가하였다. 둘째, 우리 도서는 정보 습득 및 전달, 번역 도서에서는 친교 및 정서 표현목적이 더 높게 나타났다. 번역 도서에서는 쓰기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책 속 인물들의 문식 활동의 모습 속에서 ‘자율성, 재미, 다양성’이라는 공통점을 찾을 수 있었다.
TAG 베스트셀러, 어린이 독자, 문식 활동, 대중문화, Bestsellers, Child readers, Literacy activities, Pop culture
통일시대의 한반도 지역어와 한국어 다양체의 교육적 시사점
한명숙 ( Han Myoungsook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155~181페이지(총27페이지)
이 논문은 한반도 통일시대의 뜻을 규정하면서 남북한의 언어 차이를 언어지리학적 관점에서 살펴 그로부터 한반도 언어교육의 시사점을 도출할 목적을 갖는다. 통일시대는 한반도가 ‘통일의 몸’을 갖게 될 때까지 남북간의 상호 연결 접속으로 지속적인 교류와 협력을 지향하며 나아가는 통합 및 종합의 길이요, ‘조성’, ‘유지’, ‘구축’의 과정으로 전개될 한반도의 현재이자 장차 미래로 나아갈 특이점(singularity)의 위상으로 보았다. 남북이 상호 연결 접속하는 통일시대에 남북의 언어는 이질성도 갖고 있지만, 그보다 더 강한 동질성을 갖고 있는 한반도 지역어로서의 위상을 지닌다. 제주를 비롯하여, 전라, 경상, 충청, 경기, 강원, 황해, 평안, 함경이라는 아홉 방언지방으로 구획 가능한 각 지역어는 들뢰즈(Deleuze, G.) & 가타리(Guattari)가 제...
TAG 통일시대, 한반도 지역어, 언어다양체, 한국어 다양체, 한국어 공동체, Educational implications, Korean dialects, Korean Language multiplicity, Unified Korean society
『백석시의 물명고』의 어석방법과 국어사전의 문제점
고형진 ( Ko Hyungji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183~218페이지(총36페이지)
이 글은 백석 시어 분류사전인 『백석 시의 물명고』에서 시도한 어석 방법을 소개하고, 이 사전을 통해 확인된 백석 시의 용례를 바탕으로 현행국어사전의 문제점과 보완점을 제시하기 위해 쓰여 졌다. 시인들은 자신의 생활체험에서 체득한 말을 시로 적기 때문에 그가 구사한 시어들은 적어도 그 유사단어의 흔적이 문헌들에 남아 있고, 말을 만들어 쓰는 경우에도 있는 말을 조합해서 쓴다는 점에 착안하여 이 책에선 유사단어의 유추와 형태분석의 시도를 통해 난해어의 어석을 시도하였다. 또 그림은 문자적 설명의 한계를 보완해주고, 지도는 등고선을 비롯한 지도표시를 통해 독자들에게 상상을 통해 사진 보다 훨씬 더 광범위한 경치를 떠올리게 해 주기 때문에 어석에 그림과 지도를 첨부하였다. 백석은 평안 방언과 함경 방언, 그리고 표준어를 모두 정확히 구사했기 때문에 그의 시들은 ...
TAG 유사단어, 형태분석, 그림과 지도, 뜻풀이 오류, 묘사, Similar words, Word form analysis, Pictures and maps, Definition fallacy, Description
‘다(茶)’ 자(字)의 한자음 /다/와 /차/의 형성에 대한 고찰
고경재 ( Koh Kyeongja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219~251페이지(총33페이지)
본고는 ‘茶’ 字의 한자음 /다/와 /차/의 형성 과정을 고찰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茶’ 字의 형성과 같은 문자론적인 배경이나 ‘차’의 유입과 관련된 문화사적인 배경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茶’ 字의 한어음(漢語音)을 재구하고, 그것을 한국의 /다/ 혹은 /차/ 音과 비교하는 설명 방식을 취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으로는 ‘茶’ 字의 음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기 어렵다. 본고의 2장에서는 ‘茶’ 字가 언제 형성되었는지, 그리고 차를 중국으로부터 언제 수입하였는지의 문제를 다루었다. 『茶經』 등의 문헌을 통해 ‘茶’ 字는 7~8세기에 형성되었음을 보였으며, 그 이전에는 ‘荼’ 字가 가장 널리 사용되었음을 보였다. 또한, 차 학계의 논의에 따라 한국이 삼국시대부터 중국에서 차를 수입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
TAG ‘茶’ 字의 형성, 차의 전파, 茶의 한자음 /다/, 茶의 한자음 /차/, 『다경(茶經)』, Formation of ‘茶’, Spread of tea, Sino-Korean /ta/ of ‘茶’, Sino-Korean /cha/ of ‘茶’, Book of Tea [Cha Jing (茶經)]
최승자 시와 산문의 미적·정신적 특질 연구 - 두 장르의 상호 조응 양상을 중심으로
유준 ( Yoo Jo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253~281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최승자의 시와 산문의 미적·정신적 특질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때 그 두 장르의 상호 조응 양상이 논의의 중심에 놓이게 될 것이다. 최승자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에도, 그의 산문은 그 어디에서도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그는 뛰어난 시인임과 동시에 뛰어난 산문가이기도 하다. 그의 산문은 그 자체로 문학적 가치가 높을 뿐만 아니라, 그의 시를 이해하는 데에도 적지 않은 도움을 준다. 최승자는 산문을 통해 때때로 자신의 세계관이나 시관, 시론 등을 피력하곤 하는데 이는 시 작품의 내재적 의미분석과 상호조응하며 그녀의 문학세계를 깊이 있게 규명하는 데 일조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일단 그녀의 산문집을 다시금 꼼꼼히 읽는 일로부터 출발해, 그녀의 시 전편 역시도 세세하게 읽어나가며 그녀의 작품세계 전반...
TAG 최승자, , 산문, 상호 조응, 미적· 정신적 특질, Choi SeungJa, Poems, Prose writings, The mutual correspondence, The aesthetic and mental characteristics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위한 구비문학 교육 연구 - 중국 산동과학기술대학교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장연분홍 ( Jang Yeonbunhong ) , 장휘 ( Zhang Hui ) , 표인주 ( Pyo Inju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한국어문교육 [2020] 제30권 283~313페이지(총31페이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해 구비문학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하기 위해 한국과 중국의 구비문학 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효용성 검증을 위해 중국 산동과 학기술대학교 한국어학과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구비문학 수업을 진행하고 그 기대효과를 정리하였다. 오늘날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요구는 과거에 비하여 매우 다양하다. 과거에는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한국의 문화나 문학 작품까지 학습하도록 기대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기존에 의사소통만을 목표로 하던 학습에서 나아가, 한국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언어생활에 반영하도록 학습해야 한다. 이러한 현실을 고려하여 학습자들의 다양한 목표를 수용한 폭넓은 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한국어 교육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구비문학 작품을 활용할 것을 제안하였고, ...
TAG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한국어 교육, 구비문학교육, 한국문화교육, 한국어 학습 방향,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Oral literature,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training, Direc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