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도시지리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도시지리학회지65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토론토 코리아타운의 형성 과정
류주현 ( Ju-hyun Ryu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3호, 47~62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상업적 기능을 중심으로 첫번째 코리아타운의 형성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민국에서의 소수민족의 상업 집적지는 소수민족들이 정착하고 뿌리내릴 수 있게 해주는 특별한 공간이다. 첫번째 코리아타운이 형성될 때는 -대부분의 소수민족 집적지와 유사하게- 주거기능과 상업기능, 사회적 커뮤니티 기능이 복합적으로 집적되어 에스닉 중심지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 측면의 에스닉 집적지 형성과정에 주목하여, 한인 사업체들이 어느 업종부터 시작되어 어떤 업종 순으로 생겨나 한인 상업집적지(코리아타운)를 형성해가는 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유입되는 한인이주자의 특성 변화, 블루어 코리아타운의 공간 부족과 낙후, 교외화로 인한 쾌적한 한인거주지 선호 등에 의한 새로운 코리아타운의 빠른 성장은 블루어 코리아타운의 침체를 가져왔다. 본 연구의 의의는 한인 상업집적...
TAG 코리아타운, 상업집적지, 소수민족, 블루어 코리아타운, Koreatown, Commercial Cluster, ethnic minority, Bloor Koreatown
장소정체성에 기반한 골목길 역사·문화 재생: 도쿄 가구라자카를 사례로
정은혜 ( Eunhye Choung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3호, 63~78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장소정체성에 기반한 골목길 역사·문화 재생의 방안으로 도쿄의 가구라자카를 사례로 하여, 재생사업의 추진과정과 성과를 알아보고, 이것이 우리나라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해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가구라자카 골목길은 에도시대의 느낌이 남아있다. 시부야, 신주쿠, 이케부쿠로 등 역을 끼고 있는 지역의 복합 개발에 밀려 쇠락의 길을 걸었지만, 오히려 도심과 차별화된 친숙한 골목길 경관으로 도쿄를 대표하는 문화거점이 되었다. 이곳 주민들과 시민단체는 전통경관에 대한 보존운동을 펼치며 점진적인 협의를 통해 골목길의 정체성을 지켰다. 골목길 고유의 장소정체성을 보호하면서 현대적 편의성을 가미하는 가구라자카의 사례는 우리나라의 골목길 역사·문화 재생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무엇보다 첫째 역사·문화 재생의 공감대를 바탕으로 재생사업이 소프트웨어적으로 진행...
TAG 가구라자카, 골목길, 도시 재생, 역사·문화 재생, 장소정체성, Kagurazaka, alleyway, urban regeneration, history-culture regeneration, place identity
서울시 해방촌 지역의 지리적 특성과 도시재생
이나영 ( Na Young Lee ) , 안재섭 ( Jae Seob Ahn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3호, 79~92페이지(총14페이지)
서울시 해방촌은 행정구역상 서울시 용산구 용산2가동 일대를 부르는 명칭이다. 과거 해방촌은 지형상 남산의 서남부 구릉지에 발달해 있는 주거지로 물리적 환경이 낙후되어 있었기 때문에 주거비용이 저렴하여 외부 이주민들이 쉽게 정착할 수 있는 곳이었다. 해방촌은 광복『전쟁』산업화 등 역사적 사건을 계기로 모여든 귀환동포, 월남민, 피란민들이 만든 무허가 주거지로 형성되었으며, 점차 농촌에서 상경한 시민, 미군과 군속, 이제는 이주 외국인들이 함께 생활하는 공간이 되었다. 환경 개선이 필요했던 해방촌 지역은 2015년 12월 서울시의 근린재생 일반형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으로 지정되었다. 구체적인 도시재생 사업은 공동체 활성화, 지역경제 활성화, 주거환경 개선을 목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해방촌의 도시재생사업은 해방촌이 가지고 있는 지리적 특성과 지역의 역사성, 장소...
TAG 해방촌, 근린재생, 도시재생, Haebang-chon, neighborhood regeneration, urban regeneration
혁신도시 개발이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
김명연 ( Myung Yeon Kim ) , 김은정 ( Eun Jung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3호, 93~107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혁신도시개발이 토지가격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혁신도시개발이 지니는 파급효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전국 10대 혁신도시가 포함되어있는 13개의 지자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0년부터 2016년까지 개발추진과정을 총 4단계로 구분하여 공시지가 변화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개발되기 이전(2000~2004)에는 혁신도시지역이 해당 광역지자체 및 타 지역의 지가변동률보다 낮았으나 개발대상지가 확정된 이후(2005~2007)부터는 혁신도시가 해당 광역지자체 및 타 지역의 지가변동률보다 높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도시규모에 따른 혁신도시지역의 지가변동률 특성을 분석한 결과, 개발대상지가 확정된 시기(2005~2007)에 광역시내에 위치한 혁신도시보다 일반 시·군에 위치한 혁신도시의...
TAG 혁신도시, 공시지가, 도시개발, 도시규모, innovation cities, officially announced land price, urban development, city size
대학 진학 이동과 대학 졸업자 취업 이동의 공간적 특성 탐색
구형모 ( Hyeongmo Koo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3호, 109~122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지역의 인구 및 사회 구조를 변화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인 대학 진학과 대학 졸업자 취업 이동의 공간적 특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먼저 대학졸업자 직업이동 경로조사를 기반으로 대학 진학과 대졸자 취업 이동을 각 시도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졸자 취업 이동이 대학 진학 이동에 비하여 더욱 서울로 집중된 경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각 인구이동을 출발지와 목적지의 해당 연령대의 인구수와 결합한 후 장소-특수적 포아송 회귀 모형을 기반으로 인구이동의 공간 상호작용을 모형화하였다. 이를 통해 인구이동의 중요한 요소인 출발지의 배출력, 목적지의 흡입력, 그리고 장애요인인 출발지와 목적지 사이의 거리에 대한 전역적 패러미터를 추정함과 동시에 국지적 거리 패러미터를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서울과 그와 인접한 경기도 지역은 두 이동 모두...
TAG 인구이동, 대학 진학 이동, 취업 이동, 공간 상호작용 모형, 장소-특수적 패러미터, Migration, college entrance migration, job migration, spatial interaction model, place-specific parameters
광주광역시의 정체성과 관계적 도시 재생
전경숙 ( Kyung-sook Jeon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2호, 1~15페이지(총15페이지)
우리의 일상적 삶이 세계화와 연결됨에 따라 도시 재생 연구의 주제와 관점이 다양하게 변화되고 있다. 세계화에 따른 도시 변화 연구가 진전되면서 다중성, 혼성성, 이질성, 일시적 상황의 연속성, 진보적 장소감, 불평등성, 포용, 전통, 문화, 역사, 생태, 삶의 질 등의 용어가 부각되고 있다. 한편 Massey(2005)의 관계적 관점은 이와 같이 다양한 의미를 포괄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체성과 관계적 도시 재생이라는 주제를 광주광역시에 접목시켜 보다 현실적 연구에 접근하였다. 정체성 뿐 아니라 정체성의 형성 과정에 중점을 두고 어떻게, 왜에 답하고자 하였으며, 기본적으로는 다양한 다수의 주체, 조화로운 사회적 관계, 포용의 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광주에 관한 기존 자료를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사례지역에서의...
TAG 정체성, 관계적 도시 재생, 세계화, 혼성성, 포용, identity, relational urban regeneration, globalization, hybridity, inclusion
상하이(上海)의 도시공간구조
김걸 ( Kirl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2호, 17~28페이지(총12페이지)
상하이는 양쯔 강 하구의 삼각주에 자리잡고 있는 중국의 경제 중심지이자 세계도시이다. 연안 저지대의 지형적 입지 조건과 탄탄한 공업기반 및 중국 정부의 활발한 대외 개방 정책으로 인해 상하이는 오늘날 눈부신 불야성의 마천루를 이룰 만큼 성장세가 가파르며, 건설경제의 활황에 따른 부동산 붐으로 지가가 급상승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중국뿐만 아니라 글로벌 금융 경제를 선도하는 항구도시인 상하이의 압축도시 개발에 따른 도시화, 도시체계, 도시공간구조를 경관적 측면에서 고찰하는데 있다. 상하이의 2016년 도시화율은 87.9%를 나타내 종착 단계에 진입하였으며, 도시체계는 원도심인 푸시(浦西)와 신도심인 푸동(浦東)의 2핵 중심지에서 이질적인 다핵(多核)의 도심과 신도시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3개의 순환 고가도로를 경계로 뚜렷한 압축적 토지이용과 개별적...
TAG 상하이, 세계도시, 부동산 붐, 항구도시, 압축도시, Shanghai, global city, property boom, port city, compact city
자족형 신도시 건설에 따른 화성시의 공간 재구조화: 공간상호작용을 사례로
손승호 ( Seungho Son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2호, 29~43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화성시에 신도시가 개발된 이후 나타난 공간상호작용의 변화를 통해 도시공간의 재구조화를 고찰했다. 화성시의 통행중심지는 신도시 개발 이후 대규모의 신도시가 개발된 지역으로 이전했으며, 도시화의 진행이 미약한 지역에서는 공간상호작용의 변화가 뚜렷하지 않았다. 화성시의 동쪽에서 시가화구역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통행패턴은 신도시 개발 이후 분리 현상을 보였다. 자족기능이 강한 동탄신도시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통행패턴은 신도시내에서 단거리 통행의 규모가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화성시에서는 신도시 개발 이후 대규모의 자족형 신도시를 표방한 밀집시가지로 통행의 중심지가 옮겨가면서 다원화된 통행패턴이 전개될 것으로 전망된다. 향남신도시를 중심으로 형성된 통행패턴의 비중은 강해졌지만 남양신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통행패턴의 비중은 약화되었다. 화성시에 건설된 대표...
TAG 화성시, 공간상호작용, 신도시, 발생통행, 흡수통행, 통행패턴, 기능지역, Hwaseong-si, spatial interaction, new town, generated trip, pulled trip, traffic area, functional region
우리의 도시를 기억할 권리: 홍콩의 도시 문화유산 보전을 사례로
한지은 ( Ji-eun Han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2호, 45~61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의 목표는 중국으로 회귀된 이후 홍콩에서 문화유산이 도시 정체성의 형성에 미친 영향과 나아가 도시개발의 맥락 속에서 홍콩의 다양한 기억의 장소들이 도시의 문화유산으로서 어떻게 (재)구성되어 왔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에 2000년대 이후부터 초기 공공임대주택단지를 유스호스텔과 박물관으로 전환한 섹킵메이 공공 임대주택, 홍콩의 기층생활문화가 남아있지만 재개발로 철거위기에 놓인 냥틴성벽마을, 홍콩특색의 도심 공동주택인 통라우의 보전과 관련한 완차이 지역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오늘날 홍콩인들은 체제 전환 및 도시 경제의 변화 속에서 문화유산의 보전 활동을 통해 도시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나아가 도시를 기억할 권리를 요구하기 시작했음을 확인했다. 홍콩의 사례는 식민주의와 냉전과 관련하여 복잡한 장소 기억이 공존하는 한국의 도시에서 벌어지...
TAG 홍콩, 문화유산 보전, 장소 기억, 장소 정체성, 도시에 대한 권리, Hong Kong, heritage conservation, place memory, place identity, right to the city
도시경제공간을 둘러싼 장소의 의미 변화: 로스앤젤레스 ‘자바시장(Jobber Market)’을 중심으로
김수정 ( Su-jeong Kim )  한국도시지리학회, 한국도시지리학회지 [2018] 제21권 제2호, 63~7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장소가 지속적인 관계와 만남 속에서 지속적으로 만들어지는 역동적인 사건이라는 관점을 견지하면서 한인 이주자들의 유출입과 시간적 흐름에 따라 로스앤젤레스 ‘자바시장’을 둘러싼 장소의 사회적 구성과 의미 변화를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로스앤젤레스 의류업계에 종사하는 한인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자바시장’이라는 용어는 패션 지구 내의 특정 지점인 산티 앨리에서 시작되었지만 그 의미와 범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고 있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끊임없이 재구성되는 과정에 있다. 이는 ‘자바 시장’이라는 도시경제공동체를 둘러싼 장소의 의미가 고정된 것이 아니라 장소를 구성하는 주체들이 만들어내는 공간적 은유를 통해 관계 맺으며 재구성해 나가는 유동적인 것임을 의미한다.
TAG 도시경제공간, 로스앤젤레스, 의류 산업, 자바시장, 장소의 사회적 구성, urban economic space, Los Angeles, apparel industry, Jobber Market, Social construction of pla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