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공간환경학회 AND 간행물명 : 공간과 사회681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다문화가정 사례를 통해 바라본 초국적 이주와 공간 최병두의 이주 연구
백일순 ( Paek Yilsoon ) , 고민경 ( Koh Minkyung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18] 제66권 71~111페이지(총41페이지)
이 연구는 최병두의 이주 관련 연구를 정리해 이론적 특징을 살펴보고, 이를 실제 사례에 적용해 최병두의 이주 연구의 함의를 도출하는 것에 목표를 두고 있다. 이주 연구를 시작한 2000년대 초반에는 주로 지구, 지방화 시대의 공간으로서 ‘다문화 공간’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이주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천착하여 다문화 공간이 다양한 행위자와 그들이 만들어내는 연결망에 의해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들을 시도했고 최근에 이르러 근원적인 존재로서의 이방인에 대해 조건 없이 환대해야 한다는 환대의 지리학을 논했다. 이 연구는 이와 같은 최병두의 이주 연구의 특징을 결혼이주여성의 가정을 대상으로 하여 재해석을 시도했다. 이를 통해 현실에서 불가능한 환대가 재구성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해 지구·지방적 시민성을 ...
TAG 이주, 다문화공간, 행위자-네트워크 이론, 환대, 결혼이주여성, immigration, multicultural space, actor-network theory(ANT), hospitality, marriage migrant women
택지개발사업에서 행정의 역할에 대한 연구 촉진과 절차를 중심으로
최혜민 ( Choi Hyemin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18] 제66권 112~141페이지(총30페이지)
‘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한 택지개발사업은 공급 중심의 양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대표적인 정부 주도 개발 및 주택보급정책으로 알려져 왔다. 이에 따라 기존의 연구는 주로 주택의 신속한 대량 공급의 결과에 대한 평가가 주를 이루어 왔으며, 촉진 과정의 특성이나 절차에 대한 논의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경제개발시기 공공 부문이 주도적으로 추진했던 ‘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한 개발사업의 특성을 사업현황 자료와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개발 과정에서 민주적이고 법에 근거한 행정 과정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하여 1980년부터 1997까지의 ‘택지개발촉진법’에 근거한 사업을 정권별, 면적별, 지역별, 사업주체별, 사업기간별로 특성을 기술하였다. 또한 ‘택지개발촉진법’을 통한 개발사업들 중 가장...
TAG 공영개발사업, 택지개발촉진법, 도시개발, 절차적 합리성, Acceleration of Land Development Law, administrative procedure, government-led urban development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분석
박준 ( Park Joon ) , 김현정 ( Kim Hyunjung ) , 이신 ( Lee Shin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18] 제66권 142~175페이지(총34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유형의 임대주택 간 주거안정효과를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현황 자료 분석, 문헌 분석, 전문가 FGI, AHP 전문가 설문조사 방법 등을 활용해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종합지표를 도출했다. 문헌 분석과 전문가 FGI를 통해 주거안정효과의 상위요인으로 주거비 부담, 주거 점유안정, 입주자 자격 제한 등 3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들에 대한 하위요인으로는 임대료 수준, 보증금 수준, 면적, 운영 기간, 거주 기한, 임대료 상승률, 주택소유여부, 소득수준, 특수계층 여부 등 총 9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이후 AHP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각 요인별 가중치와 주거안정 기여도 점수를 도출하고 이를 종합해 임대주택 유형별 주거안정효과 종합지표를 도출했다. 분석 결과 영구 임대를 선두로 매입 임대, 50년 임대, 국민 ...
TAG 임대주택, 주거안정효과, 지표, AHP, social housing, residential stability, index
점유를 통한 장소 만들기: 광화문 세월호 광장을 사례로
진예린 ( Jin Yerin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18] 제66권 176~209페이지(총34페이지)
이 논문은 서울 광화문 세월호광장에 대한 사례 연구로, 지리학자들로부터 큰 관심을 받은 도시 공공공간 점거의 역학을 분석함으로써 공공공간 장소만들기 과정을 그려낸다.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로 목숨을 잃은 희생자들을 추모하고 사고의 진상규명을 요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장소인 세월호광장에 대한 관찰을 통해 공공공간의 점유가 확장되어 장소만들기 전략으로 사용되는 사례를 분석하고자 한다. 논문은 행위자 중심 접근 방식을 사용하여 세월호광장 만들기에 참여한 다양한 도시 행위자들의 정치적 의도와 역할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공공공간의 점유와 공공공간의 사유화의 담론을 분리하고 이를 도시 장소만들기의 이론적 틀 안에서 분석한다.
TAG place-making, public space, politics of public space, occupation of public space, 공공공간, 공공공간의 정치, 공공공간 점유, 장소만들기
재난 대응 거버넌스에서 지역 NGO의 역할 안산 세월호 참사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숙 ( Lee Yong-sook ) , 박승빈 ( Park Seungbin ) , 송유정 ( Song Youjung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18] 제66권 210~250페이지(총41페이지)
이 연구는 지역 NGO들을 재난 대응 거버넌스에서 중요한 행위자로 보면서, 안산시 지역 NGO들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이 큰 지역 NGO들은 옹호형 NGO들과 규제형 NGO들이며, 이들은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을 통해 참사의 원인 규명을 국가와 사회에 호소하고 압박하는 역할을 실행했다. 반면에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은 크지 않았지만, 피해 지역에 위치한 서비스 제공자형 NGO들은 자원봉사자 코디네이팅과 지역 기관 및 자원 연계,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 알선자로서 갈등 완화 등과 같은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면서, 안산 재난 거버넌스를 작동시키는 데 기여했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법에 입각해 문헌연구, 네트워크 분석,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TAG 재난 대응 거버넌스, 지역 NGO, 중재자, 지역사회, 세월호, disaster governance, local NGOs, mediator, local community, the Sewol Ferry
최병두의 하비 읽기
김용창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18] 제66권 251~257페이지(총7페이지)
이 연구는 지역 NGO들을 재난 대응 거버넌스에서 중요한 행위자로 보면서, 안산시 지역 NGO들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이 큰 지역 NGO들은 옹호형 NGO들과 규제형 NGO들이며, 이들은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을 통해 참사의 원인 규명을 국가와 사회에 호소하고 압박하는 역할을 실행했다. 반면에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은 크지 않았지만, 피해 지역에 위치한 서비스 제공자형 NGO들은 자원봉사자 코디네이팅과 지역 기관 및 자원 연계,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 알선자로서 갈등 완화 등과 같은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면서, 안산 재난 거버넌스를 작동시키는 데 기여했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법에 입각해 문헌연구, 네트워크 분석,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비판지리학을 위하여 최병두와 도시
신현방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18] 제66권 258~263페이지(총6페이지)
이 연구는 지역 NGO들을 재난 대응 거버넌스에서 중요한 행위자로 보면서, 안산시 지역 NGO들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이 큰 지역 NGO들은 옹호형 NGO들과 규제형 NGO들이며, 이들은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을 통해 참사의 원인 규명을 국가와 사회에 호소하고 압박하는 역할을 실행했다. 반면에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은 크지 않았지만, 피해 지역에 위치한 서비스 제공자형 NGO들은 자원봉사자 코디네이팅과 지역 기관 및 자원 연계,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 알선자로서 갈등 완화 등과 같은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면서, 안산 재난 거버넌스를 작동시키는 데 기여했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법에 입각해 문헌연구, 네트워크 분석,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초국적 이주와 다문화의 공간적 변증법
정현주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18] 제66권 264~272페이지(총9페이지)
이 연구는 지역 NGO들을 재난 대응 거버넌스에서 중요한 행위자로 보면서, 안산시 지역 NGO들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이 큰 지역 NGO들은 옹호형 NGO들과 규제형 NGO들이며, 이들은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을 통해 참사의 원인 규명을 국가와 사회에 호소하고 압박하는 역할을 실행했다. 반면에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은 크지 않았지만, 피해 지역에 위치한 서비스 제공자형 NGO들은 자원봉사자 코디네이팅과 지역 기관 및 자원 연계,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 알선자로서 갈등 완화 등과 같은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면서, 안산 재난 거버넌스를 작동시키는 데 기여했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법에 입각해 문헌연구, 네트워크 분석,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마르크스주의 정치생태학의 정립 최병두의 정치생태학에 대한 논평
이상헌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18] 제66권 273~280페이지(총8페이지)
이 연구는 지역 NGO들을 재난 대응 거버넌스에서 중요한 행위자로 보면서, 안산시 지역 NGO들의 중재자로서의 역할을 분석한다. 분석 결과,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이 큰 지역 NGO들은 옹호형 NGO들과 규제형 NGO들이며, 이들은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을 통해 참사의 원인 규명을 국가와 사회에 호소하고 압박하는 역할을 실행했다. 반면에 네트워크 내에서 영향력은 크지 않았지만, 피해 지역에 위치한 서비스 제공자형 NGO들은 자원봉사자 코디네이팅과 지역 기관 및 자원 연계, 사회적·정치적 애도 의례 실행, 알선자로서 갈등 완화 등과 같은 중재자 역할을 담당하면서, 안산 재난 거버넌스를 작동시키는 데 기여했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법에 입각해 문헌연구, 네트워크 분석, 심층면접을 실시했다.
도시재생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기반 사회적경제조직의 역할과 지속가능성
서수정 ( Seo Soo Jeong ) , 성은영 ( Seong Eun Young )  한국공간환경학회, 공간과 사회 [2018] 제65권 12~47페이지(총36페이지)
이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서 새로운 핵심 주체로 등장한 사회적 경제 조직이 현재와 같은 정책 추진 기반에서 지역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주체로 지속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사회적 경제 조직이 지역 활성화를 이끌어 갈 수 있는 주체로서 지속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사업 초기 단계부터 핵심 주체가 참여해 비전을 공유하고 사업 계획을 수립하는 데 직접 참여해야 하며, 자립성 확보를 위한 전문성을 갖추도록 역량 강화에 힘써야 한다. 또한 다양한 관련 주체와의 협력과 긴밀한 연대가 필요하며, 전문가의 지원이 수반되어야 하며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거버넌스로 구축되어야 한다. 사회적 경제 조직이 자립성과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려면 이러한 네 가지 조건을 바탕으로 조직원들의 역량이 결집되어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에서 ...
TAG 도시재생, 사회적 경제, 도시재생활성화계획, 주민참여기반 도시재생, Urban Regeneration, Social Economy, Urban Regeneration Revitalization Plan, Community-led Urban Regener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