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공학회 AND 간행물명 : 교육공학연구92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등교육에서의 온라인 자기조절학습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김동심 ( Dongsim Kim ) , 이명화 ( Myunghwa Lee ) , 이영선 ( Youngsun Lee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4호, 901~927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고등교육의 질적 함양을 위한 기초 논의로서, 자기조절학습 측정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고등교육에서의 온라인 자기조절학습의 개념을 정립하였고, 메타인지, 환경관리, 도움요청 및 노력지속을 하위요소로 구성한 초기 36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문항은 교육공학 및 고등교육 전문가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수도권의 A대학교 MOOC수강생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공통요인부하량이 낮은 문항, 다른 요인과 공통요인 부하량이 높은 문항 등을 제외하고, 16문항을 측정도구로 선정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위해 A대학교 온라인 수강생 378명을 대상으로 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델의 TLI, CFI, RMSEA가 모두 기준에 부합하여, 고등교육에서의 온라인자기조...
TAG online learning, self-regulated-learning, higher education, development scale, 온라인학습, 자기조절학습, 고등교육, 도구개발
강의실 수업 교수자를 위한 현장지향 통합적 교수설계 모형(AMOS Model) 개발 연구
홍성욱 ( Sungwook Ho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4호, 929~959페이지(총31페이지)
교육현장에서 다수의 교수자는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설계 모형의 부재로 인해 체계적 교수설계 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현장의 요구를 반영하여 하나의 모형이면서도 다양한 교수설계 이론의 강점들을 활용할 수 있는 현장지향 통합적 교수설계 모형으로 AMOS 모형을 제시하였다. AMOS 모형은 객관적 지식의 전달에 초점을 맞춘 분석지향 이론인 Gagne의 교수설계 이론, Merrill의 내용요소전시이론, 학습동기설계모형인 Keller의 ARCS 이론과 구성주의적 접근 방법 기반 종합지향 이론을 통합한 모형이다. AMOS 모형의 요소는 주의를 집중시키면서 강의를 시작하기. 수업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는 학습동기 부여하기, 자신감을 가지고 학습목표 달성하기, 만족감으로 수업을 마무리하기이다. AMOS 모형을 활용하여 교육모듈과 단위수업을...
TAG instructional design, instructional design theory, instructional design model, 교수설계, 수업설계, 교수설계 이론, 교수설계 모형
대학 교수자의 플립드러닝 수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의 관계 분석
박종향 ( Jonghyang Park ) , 신나민 ( Namin Shin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4호, 961~989페이지(총29페이지)
대학 교육의 질적 고양을 위해 교수자들이 새롭게 등장하는 교수법에 관심을 갖고 실제수업 현장에 적용해 보는 실천이 중요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플립드러닝을 사례로 대학교수자들이 새로운 교수법을 자신의 수업에 어느 정도 수용하고자 하는지, 그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Rogers의 혁신확산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과 Davis의 기술수용모델(Technology Acceptance Model)을 기반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4년제 대학 교수자 194명(M=47.86세, SD=8.86, 남자 87.6%)으로부터 얻은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은 교수자의 ‘수업변화의지’, ‘교수효능감’과 ‘조직의 지원’이 플립드러닝의 ‘유용성’과 ‘용이성’에 대한 지각을 매개로 플립드러닝 수...
TAG university instructors, pedagogy in university, flipped learning, innovation diffusion theory,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eaching efficacy, institutional support, 대학교수자, 대학교수법, 플립드러닝, 혁신확산이론, 기술수용모델, 교수효능감, 조직의지원
K-MOOC 참여 학습자 경험에 관한 연구: 현상학적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이영주 ( Youngju Lee ) , 조규락 ( Kyoo-lak Ch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4호, 991~1017페이지(총27페이지)
K-MOOC가 출현한지 3년 정도의 시간이 흘렀다. 아직까지 정착단계라 주로 해외 MOOC 사례 분석이나 개발과 운영 전략에 관한 교수자 측면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K-MOOC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참여 학습자에 대한 깊은 이해가 선행되어야하고, 설문 조사나 양적 연구로는 학습자 경험의 본질에 대한 이해가 충분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이 연구는 실증주의적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인간의 주관적 경험의 의미를 있는 그대로 파악하는데 중점을 둔 현상학적 질적 분석을 통해 K-MOOC 학습자의 경험의 과정과 본질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기준 표집과 눈덩이식 표집을 활용하여 총 17명 K-MOOC 찹여자를 자발적으로 모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개인별로 1:1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에 녹취된 자료는 전사되었다. 면담자료...
TAG K-MOOC, learner experienc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analysis, adult education, 학습자 경험, 현상학적 질적 분석, 성인 학습
대학생의 창의·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자율적 교육풍토, 메타인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 간의 구조관계 규명
임현진 ( Hyunjin Lim ) , 강명희 ( Myunghee Ka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4호, 1019~1052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창의ㆍ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창의ㆍ인성을 효과적으로 함양시킬 수 있는 교수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메타인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 자율적 교육풍토 변인을 창의ㆍ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상정하였으며 수도권 대학생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메타인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 변인각각은 창의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2) 인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 변인이었으며, 메타인지 변인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 자율적 교육풍토는 메타인지, 숙달접근목표, 의사소통능력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미치며, 이 세 변인들을 통해 창의ㆍ인성에 간접적인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TAG creativity, integrity, metacognition, mastery-approach goal, communication skills, autonomous educational climate, 창의성, 인성, 메타인지, 의사소통능력, 숙달접근목표, 자율적 교육풍토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역량모델 개발
정다교 ( Da Gyo Jeong ) , 김현진 ( Hyeonjin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4호, 1053~1077페이지(총25페이지)
소셜미디어는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기술적, 문화적으로 삶에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청소년은 무방비한 노출 속에서 소셜미디어의 순기능 보다는 역기능의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다. 청소년에게 소셜미디어를 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리터러시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에게 필요한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규명하고, 구체적인 행동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하여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역량모델 초안을 도출하였다. 역량초안의 타당화를 위해, 총 22명의 역량 전문가, 청소년 전문가, 매체 전문가를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설문조사를 하였다. 델파이 설문조사는 매 차시 통계분석과 내용분석 결과를 반영하여, 2,3차 설문지가 개발되었으며 3차까지 진행하여 최종적으로 청소년의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역량모델을 완성...
TAG social media, social media literacy, competency, competency model, 소셜미디어, 소셜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역량 모델
대학에서 ‘좋은’ 수업이란 무엇인가?: 좋은 대학수업에 대한 비판적 담론 분석
임상훈 ( Sanghoon Im ) , 유영만 ( Yeong-mahn You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4호, 1079~1112페이지(총34페이지)
대학교육에서 수업의 질을 높이려는 다양한 활동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질 좋은 수업, 즉 ‘좋은 대학수업’이란 무엇인지 명확하지 않다. 좋은 대학수업의 개념은 주로 ‘좋은’의 의미에 대한 단편적 정의, 교수나 학생이 만족하는 수업의 특성 규명, 수업 내용과 무관한 처방적 접근 등에 머물러 있다. 대학수업을 구성하는 인적 요인 사이의 관계, 수업내용과 방법의 연계성, 현장에서 통용되는 실제적 맥락에서 ‘좋은’이란 무엇인지 밝히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좋은 대학수업의 개념이 불분명하다보니 그것을 구현하는 방법 역시 대학 재정지원사업에 좌우되는 피상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진정한 의미의 좋은 대학수업이란 무엇인지 밝히고자 비판적 담론 분석을 시행했다. 그 결과 좋은 대학수업은 ‘강의 우수 교수의 수업’이란 담론을 시...
TAG quality college clas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university education, 좋은 대학수업, 비판적 담론 분석, 대학교육
협력적 상호작용 집단의 사회연결망 중앙성이 집단 시너지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김선연 ( Sun-yun Kim ) , 조규락 ( Kyoo-lak Cho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3호, 383~406페이지(총24페이지)
집단학습에서 협력적 상호작용은 집단 시너지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이며, 이 과정에서 집단 시너지는 학습성과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협력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비하여, 영향력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밝혀진 바가 미비하다. 최근 사회연결망의 중앙성 지수를 통해 협력적 상호작용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집단학습에서 협력적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사회연결망 중앙성이 집단 시너지와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총 30개 집단, 165명의 대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였고, 사회연결망분석과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독립변인인 중앙성은 내향연결, 외향연결, 사이, 인접, 위세 중앙성이라는 하위변인으로, 종속변인인 집단 시너지는 긍정효과 증가, 팀 역량 향상, 부정효과 감소, 집단...
TAG collaborative interaction, group synergy, social network centrality, academic achievement, 협력적 상호작용, 집단 시너지, 사회연결망 중앙성, 학업성취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권구경 ( Ku Kyeong Kwon ) , 정현미 ( Hyun Mi Chung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3호, 407~439페이지(총33페이지)
이 연구는 플립러닝에서 학습참여도가 학습자 변인에 따라 학습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플립러닝 환경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학습참여도(사전학습 참여도, 교실수업 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과제가치가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각각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학습 참여도와 교실수업 참여도가 이중매개 하는지 확인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1학기동안 플립러닝 방식의 역사수업에 참여한 중학교 3학년 학생 154명을 편의표집하였다. 변인들 간 경로 모델을 설정하고, 1학기 말에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사전학습 참여도, 교실수업 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TAG flipped learning, academic self-efficacy, task value, learning engagement,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satisfaction, 플립러닝, 학업적 자기효능감, 과제가치, 학습참여도, 학업성취도, 학습만족도
수업관찰 유형에 따른 수업전문성 요인 차이 분석: ICALT 수업분석 관찰도구 활용을 기반으로
장순선 ( Soonsun Jang ) , 이옥화 ( Okhwa Lee ) , 김득준 ( Deukjoon Kim )  한국교육공학회, 교육공학연구 [2018] 제34권 제3호, 441~46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동영상 관찰과 직접 관찰 수업분석결과를 비교하여 두 수업관찰 유형 간에 분석결과에 수업전문성 요인의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기 위함이다. 두 가지 수업관찰 유형의 분석을 위해 수업전문성 분석도구인 ICALT를 활용하였다. ICALT 도구 사용법 훈련을 통해 검증된 수업관찰 전문가가 2016-2017년 충남, 충북, 대전, 경기도 울산지역에서 수집한 총 458건(동영상 관찰 103건, 직접 관찰 355건)의 수업분석결과를 대상으로 두 관찰유형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사용하여 동영상 수업관찰과 직접 관찰 수업관찰의 결과에 차이가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동영상 관찰의 탐색적 요인분석 과정에서 제거되었던 ICALT 수업전문성 요소는 1 영역(안전하고 고무적인 수업분위기)와 2 영역(효율적 운영 영역)은 모든 문항과 4...
TAG effective teaching, observation, observation tool, video, ICALT,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수업전문성, 수업관찰, 관찰도구, 동영상, 국제비교분석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