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과학교육학회330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교과서 분석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여러 관점의 비교 -전통적 접근, 과학의 특성, 가족 유사성 관점을 중심으로-
조헌국 ( Hunkoog Jho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5호, 681~694페이지(총14페이지)
TAG discourse, family resemblance approach, features of science, nature of science, textbook analysis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STEAM)를 위한 미래학교 특성 탐색
곽미선 ( Misun Kwak ) , 곽영순 ( Youngsun Kwak ) , 이수영 ( Soo-you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4호, 479~488페이지(총10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도출하고 이러한 역량을 양성할 미래학교의 인재상, 교수·학습 방법, 평가방법, 교사들의 역량 및 양성방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미래학교의 모습을 도출하기 위해 현장교원, 과학기술 분야 대학생 등 관련 분야 종사자 25명이 참여하여 미래워크숍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들은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에 대처할 수 있는 유연한 사고, 기존의 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를 지닌 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다시 말해, 예상치 못한 상황을 받아들이고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문제를 해결해 나아가는 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미래학교의 모습 역시 유연하고 활동적으로 변화될 필요가 있다. 지식기반의 정보...
TAG future convergent STEAM talents, STEAM, future school, competencies, 미래 융합형 과학기술인재, 미래학교, 역량
과학 규범에 관한 인식 측정 도구 개발 및 예비 과학교사 대상 적용
하민수 ( Minsu Ha ) , 신세인 ( Sein Shin ) , 이준기 ( Jun-ki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4호, 489~498페이지(총10페이지)
이 연구는 R. Merton이 제시한 과학 규범인 CUDOs에 기반을 두고 예비교사들의 과학 규범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전공별, 학년별, 성별에 따라 과학 예비교사들의 과학 규범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군집분석을 통해 과학 규범에 대한 인식의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두 개 대학교의 260명의 예비과학교사가 참가하였다. 먼저 Merton의 CUDOs를 토대로 탈이해관계, 공유성, 보편성, 조직화된 회의를 구인으로 하고, 탈이해관계의 수준을 개인, 국가, 인류로 하여 총 6개 구인의 32개 문항이 개발되었다. 과학연구를 통한 개인적 이익 추구에 대한 인식, 과학연구를 통한 국가적 이익 추구에 대한 인식, 과학연구를 통한 전인류적 복지 추구에 대한 인식, 과학지식과 기술의 비공유주의적...
TAG Mertonian norms, assessment, sociology of science, science education, 과학 규범, 검사 도구, 과학사회학, 과학교육
문제기반학습(Problem-Based learning) 프로그램에서 과학사 및 과학철학 기반 융합 문제를 해결한 이공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의 사례연구
이종혁 ( Jong-hyeok Lee ) , 백종호 ( Jongho Bae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4호, 499~510페이지(총12페이지)
오랜 기간 과학사·과학철학은 과학교육 분야에서 다양한 목적을 위해 중요성이 강조되어왔다. 특히 새로운 2015 개정 교육과정에는 ‘과학사’ 교과가 교육과정 내에 별도의 교과목으로 편성되었으므로 학교 교육 상황에서 과학사·과학철학 내용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문제기반학습 프로그램에서 과학사·과학철학 기반 융합 문제를 해결한 대학생들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특히 이공계열 학생들과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의 문제 구조화 과정과 해결 경험의 의미를 비교함으로써 문·이과 통합 교육을 위한 전략을 모색해보았다. 연구참여자는 각각 3명의 이공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이며, 이들은 한 학기 동안 대학의 문제기반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과학사·과학철학 분야의 내용 기반의 융합 문제를 구성하고 해결하는 활동을 했다. 참여자들이 활동...
TAG History and philosophy of science, Problem-based learning, Convergence teaching-learning program, 과학사 및 과학철학, 문제기반학습, 융합형 교수학습프로그램
학생 주도의 R&E 활동에서 드러나는 연구 활동의 주요 단계 및 학생의 인식적 행위주체성
이민주 ( Minjoo Lee ) , 김희백 ( Heui-baik Kim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4호, 511~523페이지(총13페이지)
미래의 과학자 양성을 목표로, 진정한 과학 탐구의 경험을 강조하고 있는 고등학생들의 R&E 활동에서 점진적으로 주목하고 있는 것은 진정한 탐구 주체로서의 학생의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수행되고 있는 R&E 활동 중에서 특히 학생이 그 주체가 되어 연구의 과정을 결정하고 실행하는 학생 주도의 R&E를 대상으로 연구 수행의 주요 흐름을 파악하고, 각 단계에서 드러나는 학생의 인식적 행위주체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학교 1학년 학생들이 수행한 교내 R&E 활동에 대하여 18개월에 걸친 질적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연구 참여자와의 반 구조화된 면담 자료, 연구자의 참여관찰 일지, 학생과의 논의 과정에 대한 녹음자료, 학생 산출물 등과 같은 질적 자료를 수집, 근거이론에 기반한 지속적 비교분석법에 따라 귀납적으로 분석...
TAG R&E(Research & Education), epistemic agency, structure, epistemic belief, science identity, 인식적 행위주체성, 구조, 인식적 신념, 과학 정체성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중점학교의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곽영순 ( Youngsun Kwak ) , 신영준 ( Youngjoon Shin ) , 강훈식 ( Hunsik Kang ) , 이수영 ( Soo-young Lee ) , 이성희 ( Sunghee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4호, 525~534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과학선도학교인 과학중점학교의 업무담당 교사들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함으로써 과학중점학교가 학생긍정경험에 주는 영향 요인을 탐색하였다. 교사 심층면담을 통해 학생의 정의적 태도, 즉 과학긍정경험 향상에서 과학중점학교의 효과성을 가져온 요인을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 측면, 교수학습 방법과 자료 측면, 과학중점학교의 2015개정 교육과정 적용 측면 등에서 탐색하고, 일반학교에 파급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과학중점고의 경우 교사들의 과학수업에 대한 열의로 학생들의 과학학습에 대한 참여도 향상을 이끌어내고 있으며, 중점반 이외의 학생들에게도 과학에 대한 관심을 유발하고, 높아진 실험실 접근성을 통해 학생들의 실험과 탐구 능력 및 연구역량이 향상시키며, 과학수업개선을 통해 학생들의 의사소통과 협력 등의 역량을 신장하고, 과학에 대한 흥미 체험을...
TAG positive experiences about science, Science Core Schools, curriculum implementation, career exploration, 과학긍정경험, 과학중점학교, 교육과정 운영, 진로탐색
대중매체의 과학기사에 대한 대중들의 인식과 고빈도로 사용되는 과학용어에 대한 이해도 조사
윤은정 ( Eunjeong Yun ) , 박윤배 ( Yunebae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4호, 535~544페이지(총10페이지)
우리 사회에서 전통적 대중매체가 학교 교육 밖의 대중들에게 과학적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대중매체 과학기사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과학기사에 고빈도로 사용되고 있는 과학용어들에 대한 대중의 이해도를 조사해 보았다. 과학기사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과학기사의 유용성, 중요성, 접근 빈도, 이해도를 묻는 설문 도구를 제작하여 기차역, 지하철역 등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425명의 설문 응답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과학기사에 사용된 고빈도 과학용어를 추출하기 위하여 전통적 대중매체 가운데 텔레비전 뉴스와 신문을 각각 두 곳씩 지정하고 2001년부터 2017년까지 17년간 보도된 과학관련 기사의 텍스트를 수집하여 사용된 과학용어의 빈도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빈도수를 기준으로 상...
TAG science article, mass media, scientific term, scientific literacy, 과학적 소양, 대중매체, 과학기사, 과학용어
고등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 개발 및 적용
이기영 ( Kiyoung Lee ) , 허준혁 ( Junhyuk Heo ) , 박재용 ( Jaeyong Park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4호, 545~562페이지(총1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들의 통합 탐구 기능 향상을 위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를 개발하고, 그 적용 효과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 및 선행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합 탐구 기능 교육을 위한 수업용 자료 1종과 학생들이 자신의 탐구 능력 수준에 맞추어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개별 학습용 자료 2종을 포함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통합 탐구 기능에 대한 학생들의 수준을 조사하기 위한 도구로 가설-연역적 탐구 형식으로 구성된 사전, 사후 검사용 탐구 과제를 1개씩 개발하였다.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사후 검사에 대해 추리 통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인지적 스캐폴딩 도구의 적용 여부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통합 탐구 능력을 Rasch 모형에 따른 Wrightmap을 산출하여...
TAG cognitive scaffolding, integrated process skills, scientific inquiry, Rasch model, 인지적 스캐폴딩, 통합 탐구 기능, 과학 탐구, 라쉬 모형
2015 개정 고등학교 과학 교과 교과서에 제시된 안전 관련 내용 분석
이세연 ( Seyeon Lee ) , 이봉우 ( Bongwoo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4호, 563~57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고등학교 과학에 해당되는 10개 과목의 교과서에 제시된 안전 관련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통합과학, 과학탐구실험과 물리학 Ⅰ,Ⅱ, 화학Ⅰ,Ⅱ, 생명과학Ⅰ,Ⅱ, 지구과학Ⅰ,Ⅱ의 63종 교과서의 탐구 활동 중에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탐구 활동과 부록에서 안전과 관련된 내용을 추출하여, 이를 안전교육 7대 표준안을 근거로 한 6개의 안전요소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탐구 활동 176개 중 안전 관련 내용이 최소한 1개 이상의 교과서에서 제시된 탐구 활동은 81개(46.0%)였고, 화학 교과서에서 많이 제시되었고, 과학탐구실험에 적게 제시되었다. 둘째, 안전내용은 ‘실험실 안전수칙’에 대한 내용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안전기호, 보호 ...
TAG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safety contents, science textbook, inquiry activity, appendix,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안전, 과학 교과서, 탐구 활동, 부록
과학과 자기보고식 정의적 영역 평가의 정확성에 영향을 주는 요소 탐색
정수임 ( Sue-im Chung ) , 신동희 ( Donghee 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9] 제39권 제3호, 363~377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는 자기보고식 검사를 통해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을 평가하려할 때 검사 결과에서 나타나는 주관성의 양상을 과학 특이적 측면에서 밝혔다. 과학 관련 개념이나 인식을 측정하려할 때 학생이 지닌 과학 특성, 본성에 대한 인식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반응을 과학 특이적 반응으로 정의했다. 그 중에서 과학 특이적 반응이 특별히 측정 구인을 방해하거나 정확한 자기 보고를 벗어나게 하는 경우에 대해 탐색했다. 고등학교 1, 2학년 649명의 정의적 특성 및 심리적 특성을 검사한 양적 자료와 학생 44명을 면담한 질적 자료로부터 과학 특이적 요소로 인한 오차 결과를 도출했다. 학생이 일상과 과학학습 경험으로부터 내면화한 과학에 대한 관점과 과학 특성은 검사도구를 이루는 문항들과 상호작용한다. 그 결과 과학의 특성, 개인의 과학 경험, 검사 도구 속 과학이라는...
TAG science education assessment,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 self-reporting test tool, response bias, error in test, science-specific error, improvement of test tool, 과학 관련 정의적 영역 평가, 자기보고식 검사 도구, 검사의 오차 반응, 반응 왜곡, 과학 특이적 요소, 검사 도구 개선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