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AND 간행물명 : 교사교육연구49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Using the L1 to Promote Literacy Development in the Second and Foreign Language Classroom
( Murphy Odo Dennis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9] 제58권 제3호, 291~298페이지(총8페이지)
TAG bilingual texts, comprehensible materials, scaffolding literacy, second language reading, seco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근대의 기차를 통한 상상적 시 읽기 교육 방법 연구: 1930년대 시를 중심으로
손예희 ( Son Ye-h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9] 제58권 제3호, 299~310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근대 시기의 시 작품에서 중요하게 등장하는 기차라는 당대의 신문물을 중심으로 근대의 모습을 살피고, 수용 주체인 현대의 학습자가 이러한 근대를 상상적으로 읽어 낼 수 있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1930년대 시에 나타난 기차라는 근대 문물을 통해 본 상상력은 대상 자체에 대한 회화적 상상력, 주체가 드러나는 감각적 상상력, 주체의 성찰을 드러내는 비평적 상상력으로 나누어 살필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이 연구에서는 동시대 텍스트를 통해 회화적 상상력 발현하기, 다성적 주체를 통해 감각적 상상력 재구하기, 해석 텍스트를 통해 비평적 상상력 확장하기 등의 근대에 대한 상상적 읽기 방법을 제안하였다. 근대의 주요한 표상 중 하나인 기차가 드러나는 시 작품을 당대의 관련 텍스트들과 함께 읽는 과정에서 독자가 구축하는 상호텍스트는 텍스트의 의미를 귀납...
TAG poetry education, imagination, modern times, train, 시 교육, 상상력, 근대, 기차
베트남인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한국어교육 경험에 대한 연구
( Lee Sumi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9] 제58권 제3호, 311~324페이지(총14페이지)
이 연구는 한국인 교사와 베트남인 교사가 베트남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겪는 경험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연구자는 1997년부터 2000년까지 베트남 하노이국립인문사회대학교에서 한국어를 가르친 바 있다. 그때의 베트남 현장은 한국인 교사만으로 한국어를 가르쳤다. 그러나 한국어를 전공한 베트남인 교사가 배출되면서 베트남은 한국인 교사와 베트남인 교사가 같은 현장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이 연구는 이들이 같은 현장에서 한국어를 가르치면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기술하는 것이 일차적 목표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 한국인 교사와 베트남인 교사들이 들려준 이야기를 활용하는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베트남인 교사와 한국인 교사 모두는 현장에서 한국어 학습자를 만나는 기쁨을 공유하고 있었다. 이들은 가르치는 현장을 좋아했다...
TAG Vietnamese teacher, Korean teacher, education experience, narrative, 베트남인 교사, 한국인 교사, 교육 경험, 내러티브
초등교사의 생애단계별 전문적 자본 차이 분석
최원석 ( Choi Wonseok ) , 허주 ( Hur Ju ) , 이동엽 ( Lee Dongyup ) , 김갑성 ( Kim Kapsung ) , 김민규 ( Kim Minky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9] 제58권 제3호, 325~340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의 전문적 자본이 생애단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여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서 표집된 214개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문적 자본을 구성하는 세 가지 요인 즉, 인적 자본, 사회적 자본, 의사결정 자본을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여 교사의 생애단계에 따른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회귀분석을 통하여 교사의 교직경력 이외에 전문적 자본에 영향을 주는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후에도 관찰된 차이가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인적 자본의 경우 교직경력 2년 이하인 교사들의 평균에 비해 교직경력 11년 이상인 교사들의 평균이 높았다. 사회적 자본은 경우 5년 이하의 경력을 가진 교사들에 비해 16년 이상의 경력...
TAG teacher career stage, teacher life cycle, professional capital, primary teacher, 교사 생애단계, 교사 생애주기, 교직 경력단계, 전문적 자본, 초등교사
『장자』 읽기 소모임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의 이야기
( Im Hongnam ) , ( Kim Eunju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9] 제58권 제3호, 341~362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장자』읽기 소모임에 참여하는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를 들어봄으로써 유아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연구참여자들과 2017년 4월부터 5월까지 2개월간 5회의 장자 읽기 소모임을 실시하였으며, 소모임에서 나온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를 녹음하고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유아교사들은 아이들이 모두 다른데 똑같이 적용하려니 막힌다고 하였으며, 아이들은 자기만의 방법으로 알아가고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사들은 교사에겐 별일 아닌 일이 아이에겐 큰 사건일 수 있었음을 느꼈으며, 교사가 원하는 방향으로 훈육을 하게 된다고 반성하였다. 또 유아교사들은 교사도 아이도 소요(逍遙)할 시간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유아교사들의 이야기는 유아교육과정이 불가지론(不可知論)에 대한 고려에 토대하여 구성할 필...
TAG early childhood teachers, teacher’s small group, Chuang-tzu, narrative, 유아교사, 교사소모임, 장자, 이야기
원자력 홍보관의 탐방체험 활동에서 중등 영재반 학생들이 생성한 질문 유형 분석
안희정 ( Ahn Hee-jeong ) , 심재호 ( Sim Jaeho ) , 양승원 ( Yang Seung-w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9] 제58권 제3호, 363~374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 영재반 학생들이 원자력 홍보관의 탐방 체험 활동에서 생성한 질문 유형을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교육원에 재학 중인 122명이 탐방체험 활동으로 작성한 질문 423건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등 영재반 학생들은 전공 영역과 관계없이 대부분 정보질문이 많았으며, 정보질문 중에서 절차질문보다 사실질문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해질문은 정보질문에 비해 낮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이해질문 중에서도 인과질문은 일부 제시되었으나 귀납질문과 유추질문은 드물게 제시되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중등영재반 학생들이 제시한 질문은 낮은 수준의 질문인 사실질문이 주를 이루었으며 가장 높은 수준의 질문인 평가, 확장, 전략질문과 같은 통합질문은 매우 낮은 빈도로 제시되었다. 생물 영재반의 경우 다른 영재반에 비해 사회 분야와 관련된 질문...
TAG secondary gifted students, types of question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field experience activity, 영재반, 질문 유형, 수업 전략, 탐방체험
메타인지전략을 활용한 개념도 수업의 효과성 탐색: 중학교 과학 ‘소화와 순화’ 단원에서
김선영 ( Kim Sun Young ) , 이인성 ( Lee In-seong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9] 제58권 제3호, 375~386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 ‘소화와 순환’ 단원에서 메타인지전략을 활용한 개념도 수업의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메타인지전략을 활용한 개념도 수업은 계획, 점검, 조절, 평가의 총 4단계로 구성되었으며, 메타인지요소인 연습, 정교화, 조직화, 비판적 사고, 자기규제를 활용하도록 하였다. 중학교 2학년 총 168명 (실험집단 3개 학급, 통제집단 3개 학급)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처치 후 실험집단 학생들이 통제집단에 비해 메타인지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특히 하위영역 중 ‘정교화’와 ‘자기규제’ 영역에서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5). 또한 수업처치 후 실험집단 학생들의 과학태도 점수가 통제집단에 비해 높았으며, 하위영역 중 ‘과학교과 선호’ 및 ‘과학적 태도’ 영역에서 실험집단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5). ...
TAG concept mapping, metacognition, attitude toward science, middle school science, 개념도, 메타인지, 과학태도, 중학교 과학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및 과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김정은 ( Kim Jeong-eun ) , 이형철 ( Lee Hyeong-cheo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9] 제58권 제3호, 387~398페이지(총12페이지)
이 연구는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 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B시에 소재한 S초등학교 6학년 중 두 개 반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수업 단원은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 6학년 1학기 2단원 ‘생물과 환경’으로 선정하였고, 실험집단에게는 비주얼 씽킹을 적용하여 설계한 과학 수업을 하였고 비교집단에게는 같은 단원에 대해 다른 교사가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과학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학습동기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둘째,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셋째, 비주얼 씽킹을 활용한 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성...
TAG visual think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비주얼씽킹, 과학 학습동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과학 학업성취도
장학론 발달사적 관점에서 살펴 본 ICALT 수업행동분석연구
천세영 ( Chun Se-yeoung ) , 박세희 ( Park Se-he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9] 제58권 제3호, 399~412페이지(총14페이지)
이 논문의 핵심 질문은 ‘장학은 과학적 탐구의 대상인가?’이다.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관련 이론과 문헌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장학이 이론적 측면에서 또한 제도적 측면에서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장학의 본질적 과업인 교사 교육과 교사 수업전문성 측정이라는 측면에서는 여러 가지 한계에 직면해 왔고, 그 대안으로써 최근에 이르러 ‘관찰 가능한 교사의 수업행동’에 대한 관심에 따른 양한 개발되어 온 측정도구들을 비교하였다. 그 중에서 ICALT(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Learning and Teaching) 도구는 학교급과 교과목 등 다양한 교실 맥락 변인과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진단하는 데 있어 이론적 타당성과 신뢰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4년 최초 한국에서 적...
TAG ICALT, supervision, teaching skill, classroom observation, teaching behavior, teacher education, 장학, 수업전문성, 교사교육, 수업행동, 수업관찰
교사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탐색
서경혜 ( Seo Kyounghye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교사교육연구 [2019] 제58권 제3호, 413~426페이지(총14페이지)
교사 연구는 전통적인 교육 연구에 대한 문제제기이자 대안제시라 할 수 있다. 연구와 실천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실천을 적용 행위로 즉, 연구를 통해 생산된 지식을 적용하는 행위로 보는 전통적인 관점을 넘어서서, 교사의 실천이 바로 연구임을 강조한다. 그러나 교사들의 실제 연구 경험은 이와는 사뭇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연구는 학계 연구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연구로 인식되고 있었고, 교사의 교육실천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지속적인 향상을 주목적으로 함에도 승진을 위한 도구나 교실을 떠나 관리직으로 나아가기 위한 길로 이용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사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교사 연구의 대두와 발전 및 최근 동향을 살펴보고 교사 연구가 지향하는 바를 고찰하였다. 특히 스텐하우스(Stenhouse)의 연구자로서 ...
TAG teacher research, teacher inquiry, action research, inquiry community, professional development, 교사연구, 실행연구, 교사학습공동체, 교사 전문성, 교사교육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