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원격탐사학회 AND 간행물명 : 대한원격탐사학회지160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토관측위성용 정밀영상생성시스템 개발
박형준 ( Hyeongjun Park ) , 손종환 ( Jong-hwan Son ) , 정형섭 ( Hyung-sup Jung ) , 권기억 ( Ki-eok Kweon ) , 이계동 ( Kye-dong Lee ) , 김태정 ( Taejung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5호, 881~891페이지(총11페이지)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수요 증가로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국토관측위성을 개발하고 있다. 국토관측위성의 주요 위성영상 산출물로 정밀보정영상, 정밀정사영상, DSM/DTM, 변화탐지 주제도 등이 계획되어 있다. 이러한 위성영상 산출물의 품질은 위성영상의 기하정확도에 기반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고품질의 위성영상 산출물을 생성하기 위해 위성영상의 기하학적인 왜곡을 보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정밀기하수립을 위한 GCP를 취득하는 방법은 대체로 정사영상, 수치지도 등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취득한다. 이 방식은 GCP를 취득하는데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자동으로 GCP를 추출하여 GCP 취득 시간과 정밀정사영상 생성 시간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국토관측위성으로 촬영한 위성영상의 정밀한 기하보정과 GCP 추출 시 사용자의 개입을 최소...
TAG CAS-500, Geometric Correction, GCP Chip, Orthorectification, Image Matching
국토관측위성용 정밀영상생성시스템의 위치정확도 분석
이유진 ( Yoojin Lee ) , 박형준 ( Hyeongjun Park ) , 김혜성 ( Hye-sung Kim ) , 김태정 ( Taejung Kim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5호, 893~906페이지(총14페이지)
본 논문은 국토관측위성용으로 제작된 정밀영상생성시스템의 위치정확도 분석에 대해서 보고한다. 국토관측위성의 발사 예정 시기는 2021년으로, 아직 발사되지 않아 국토관측위성과 유사한 사양을 가지는 KOMPSAT-3A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를 촬영한 30장의 영상을 이용하여 초기 센서모델의 위치정확도, 정밀센서모델의 모델점 위치정확도, 검사점을 활용한 정밀센서모델의 위치정확도, 정밀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정확한 GCP 확보 시 2 pixel 이내의 RMSE를 갖는 것을 목표 위치정확도로 한다. 그 결과, 검사점을 활용한 정밀센서모델의 위치정확도는 남한에서 약 1.85 pixel, 북한에서 약 2.04 pixel의 위치정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정밀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는 남한에서 약...
TAG CAS-500, KOMPSAT-3A, precise image, precise orthoimage, geolocation accuracy
Applying Standards of Image Quality: Issues and Strategies
( Eunmi Chang ) , ( Yongjae Park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5호, 907~916페이지(총10페이지)
본 논문은 국토관측위성용으로 제작된 정밀영상생성시스템의 위치정확도 분석에 대해서 보고한다. 국토관측위성의 발사 예정 시기는 2021년으로, 아직 발사되지 않아 국토관측위성과 유사한 사양을 가지는 KOMPSAT-3A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한반도를 촬영한 30장의 영상을 이용하여 초기 센서모델의 위치정확도, 정밀센서모델의 모델점 위치정확도, 검사점을 활용한 정밀센서모델의 위치정확도, 정밀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정확한 GCP 확보 시 2 pixel 이내의 RMSE를 갖는 것을 목표 위치정확도로 한다. 그 결과, 검사점을 활용한 정밀센서모델의 위치정확도는 남한에서 약 1.85 pixel, 북한에서 약 2.04 pixel의 위치정확도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정밀정사영상의 위치정확도는 남한에서 약...
TAG Standards, Image Quality, Standard Strategy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상대방사보정을 통한 자동화 지향 공간객체추출 방안 연구
이동국 ( Dong-gook Lee ) , 이현직 ( Hyun-jik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5호, 917~927페이지(총11페이지)
우리나라 국토교통부는 GSD가 0.5m 급인 위성영상의 촬영이 가능한 CAS 500-1/2 위성과 함께 이를 활용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AS 500-1/2 위성영상의 활용을 위한 기술로 자동화를 지향하는 공간객체추출 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CAS 500-1/2와 가장 유사할 것으로 예상되는 KOMPSAT-3A 위성영상을 연구에 이용하였으며, 상대방사보정을 통해 공간객체추출의 자동화 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대방사보정에 이용된 참조 영상과 상대방사보정된 영상에서 매개변수 및 임계값을 동일하게 적용하고, 공간객체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공간객체가 참조영상과 상대방사보정된 영상에서 유사한 형태로 추출되는지에 대한 정성적 분석과 분류정확도가 본 연구에서 설정...
TAG Object-based, Geospatial feature, Automation, Extraction
손실함수의 특성에 따른 UNet++ 모델에 의한 변화탐지 결과 분석
정미라 ( Mila Jeong ) , 최호성 ( Hoseong Choi ) , 최재완 ( Jaewan Choi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5호, 929~937페이지(총9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의미론적 분할을 위한 딥러닝 기술 중의 하나인 UNet++ 모델을 이용하여 다시기 위성 영상의 변화지역을 탐지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손실함수에 대한 학습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이진 교차 엔트로피, 자카드 변수에 의하여 학습된 UNet++ 모델에 의한 변화탐지 결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딥러닝 모델의 결과는 WorldView-3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기존의 화소기반 변화탐지 기법의 결과와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손실함수의 특성에 따라서 딥러닝 모델의 성능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기존 기법들과 비교하여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도 확인하였다.
TAG Deep learning, Change detection, UNet++, Loss function, Training data
국토위성 3차원 데이터 생성을 위한 입체 기하 영상 생성 모듈 제작 및 테스트
오재홍 ( Jaehong Oh ) , 이창노 ( Changno Lee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5호, 939~948페이지(총10페이지)
국토관측 전용위성 (CAS500)은 국토 모니터링 및 관리를 위한 고해상도 위성영상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개발 및 발사 예정 중인 고해상도 국토관측 위성이다. 해당 위성 데이터는 토지이용현황 분석, 변화탐지, 3차원 국토정보 분석 등 여러 응용분야에 활용 예정인데, 그 중 3차원으로 국토, 지형 정보를 생성하고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심 지역을 서로 다른 두 방향에서 중복촬영을 통해 입체영상을 취득하고 이를 처리해야 한다. 특히 효율적이고 정밀한 3차원 정보 생성하거나 3차원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해서는 취득된 입체 영상을 정밀한 입체 기하 영상으로 변환하여 활용해야 하는데, 이때 푸쉬부룸 센서의 특성에 맞춘 에피폴라 기하를 적용하여 구현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토관측 위성 입체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입체 영상 생성 모듈을 구현하였고 단...
TAG CAS500, Stereo, Epipolar, Pushbroom, RPCs, Resampling
스테레오 스트립 위성영상을 이용한 비 접근지역의 1:5000 도엽별 DSM 추출 가능성 연구
이수암 ( Sooahm Rhee ) , 정성우 ( Sungwoo Jung ) , 박지민 ( Jimin Park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5호, 949~959페이지(총11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CAS500-1/2를 이용한 산출물 생성에 관련한 선행연구로 KOMPSAT-3A 스트립영상을 사용한 비접근 지역의 도엽별 DSM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1:5000 도엽정보의 입력을 통한 영역 설정을 통해 도엽별로 산출물이 나올 수 있도록 설계됐으며, 강인한 스테레오 영상정합 기법인 MDR을 적용하여 스테레오 페어에서도 최적의 DSM이 나오도록 설정했다. 스트립 영상이 분할된 여러 장의 단위 영상으로 들어오는 것을 고려하여 하나의 도엽에 여러 쌍의 영상 페어를 처리하여 통합하는 방식으로 DSM의 생성을 시도했으며, 처리결과 도엽 간의 접합부분에서 이격 발생을 최소화한 DSM의 생성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종적으로 GCP와의 비교를 통한 정확도 검증결과 5 m 이내의 정확도가 나타나는 것을 확...
TAG KOMPSAT-3A, CAS500, DSM, matching
팽창된 잔차 합성곱신경망을 이용한 KOMPSAT-3A 위성영상의 융합 기법
최호성 ( Hoseong Choi ) , 서두천 ( Doochun Seo ) , 최재완 ( Jaewan Choi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5호, 961~973페이지(총13페이지)
본 논문에서는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기반의 영상융합 기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딥러닝 구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CNN 기법에서 대표적인 합성곱(convolution) 방법으로 알려진 팽창된 합성곱(dilated convolution) 모델을 활용하여 모델의 깊이와 복잡성을 증대시키고자 하였다. 팽창된 합성곱을 기반으로 하여 학습과정에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잔차 네트워크(residual network)도 활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모델학습을 위하여 전통적인 L1 노름(norm) 기반의 손실함수와 함께, 공간 상관도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정색 영상만을 이용하거나 전정색 영상과 다중분광 영상을 모두 활용하여 구조에 적용한 DRNet을 개...
TA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Dilated Residual Network, KOMPSAT-3A, Pansharpening, Spatial Correlation Coefficient
자동 임계값 추출 알고리즘과 KOMPSAT-3A를 활용한 무감독 변화탐지의 정확도 평가
이승민 ( Seung-min Lee ) , 정종철 ( Jong-chul Jeong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5호, 975~988페이지(총14페이지)
변화탐지는 서로 다른 시점에 촬영된 영상에서 일어난 변화를 관측하는 기술로 위성영상을 활용한 원격탐사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이다. 변화탐지 기법 중 하나인 무감독 변화탐지 기법은 단시간 내에 변화지역을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지만, 임계값을 통해 변화된 지역을 이진영상으로 나타내기 때문에 토지피복변화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무감독 변화탐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격자 포인트를 이용하여 위성영상의 토지피복변화 및 정확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변화탐지 알고리즘은 Spectral Angle Mapper(SAM)를 사용하였으며, 김제자유무역지역 일대를 촬영한 KOMPSAT-3A(K3A) 위성영상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변화탐지결과는 자동 임계값 추출 알고리즘들 중 Otsu, Kittler, Kapur, Tsai ...
TAG Change detection, Spectral Angle Mapper, Automated threshold selection algorithms, Grid points, KOMPSAT-3A
태양과 플랫폼의 방위각 및 고도각을 이용한 이종 센서 영상에서의 객체기반 건물 변화탐지
정세정 ( Sejung Jung ) , 박주언 ( Jueon Park ) , 이원희 ( Won Hee Lee ) , 한유경 ( Youkyung Han )  대한원격탐사학회,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020] 제36권 제5호, 989~1006페이지(총18페이지)
건물탐지 기반의 건물 변화 모니터링은 발사예정인 차세대 중형위성 1, 2호와 같은 고해상도 다시기 광학 위성영상을 이용한 인공 구조물 모니터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지표면에 위치하는 건물들의 형태와 크기는 다양하며, 이들 주변에 존재하는 그림자 또는 나무 등에 의해 정확한 건물탐지에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영상 촬영 당시의 플랫폼의 방위각(Azimuth angle)과 고도각(Elevation angle)에 따라 생기는 기복 변위로 인해 건물 변화탐지 수행 시 다수의 변화 오탐지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물 변화탐지 결과 향상을 위해 다시기 영상 취득 당시의 태양의 방위각과 그에 따른 그림자의 주방향(Main direction)을 이용한 객체기반 건물탐지를 수행하였으며, 이후 플랫폼의 방위각과 고도각을 이용한 건물...
TAG Object-based building detection, Azimuth angle, Elevation angle, Shadow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