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대한골절학회 AND 간행물명 : 대한골절학회지2338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원위 경골 골절에서 골 정복 겸자 사용 후 발생한 전방 경골 동맥의 가성 동맥류 - 증례 보고 -
유현승 ( Hyunseung Yoo ) , 조영호 ( Youngho Cho ) , 황성문 ( Seongmun Hwang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9] 제32권 제1호, 43~46페이지(총4페이지)
본 연구는 원위 경골 나선형 골절에서 골 정복 겸자 사용후 전방 경골 동맥에 발생한 가성 동맥류에 관한 보고이다. 지금까지의 보고는 근위 경골의 교합 나사를 삽입하기 위한 drilling의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 대부분이었고, 경골 원위부에 발생한 보고는 없었다. 저자들은 54세 여성에서 경골 원위부 골절에 대해 최소 침습적 절개를 이용한 수술 후 11주에 발견된 전방 경골 동맥의 원위부에 발생한 가성 동맥류를 보고하고자 한다. 이 보고는 외과의가 수술 중 이러한 합병증에 대해 조심하여야 하며, 경과 관찰 중 발생 가능한 합병증임을 인지하도록 하는 데 그 유용성이 있다.
TAG Distal tibia, Spiral fracture, Pseudoaneurysm, 원위 경골, 나선형 골절, 가성 동맥류
견관절 사중 골절 탈구: 정복되지 않는 견관절 전방 탈구와 동반된 관절와 연, 오구 돌기, 상완골 대결절, 상완골 외과적 경부의 동시 골절 - 증례 보고 -
유재성 ( Jae-sung Yoo ) , 김성준 ( Seong-jun Kim ) , 박승관 ( Seung-gwan Park ) , 서중배 ( Joong-bae Seo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9] 제32권 제1호, 47~51페이지(총5페이지)
견관절 탈구는 모든 관절 중 가장 높은 발생률을 보이며 관절와 연의 골절, 상완골 대결절의 골절 및 오구 돌기의 골절이 동반된 예가 보고되고 있다. 견관절 전방 탈구와 함께 관절와 연 골절, 오구 돌기 골절, 상완골 대결절 골절의 3가지 병변이 함께 동반된 경우는 현재까지 해외 2개의 해외 문헌뿐이며 국내에는 보고된 예가 없다. 저자들은 해외에서 보고한 견관절 전방 탈구와 함께 관절와 연, 오구 돌기, 상완골 대결절 골절에 더불어 상완골 외과적 경부 골절의 4가지 병변이 동시에 일어난 예에 대하여 관혈적 정복술을 시행하여 좋은 결과를 경험하였고, 손상 기전, 진단, 치료 경과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TAG Shoulder, Dislocation, Fracutre, 견관절, 탈구, 골절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대퇴내과골절로 오인된 피질골 천공 - 증례 보고 -
서승석 ( Seung-suk Seo ) , 문상원 ( Sang Won Moon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9] 제32권 제1호, 52~55페이지(총4페이지)
슬관절 전치환술 중에 발생하는 골절은 아주 드물게 보고 된다. 하지만 골절이 발생하게 되면 골절 부위를 고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골절의 유무를 정확히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슬관절 전치환술 후 골절로 오인된 내과 피질골 천공을 경험하였다. 내과 피질골 천공을 과간 골절로 오인하여 추가적인 수술을 시행하였다.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발행하는 내과 피질골 천공에 대한 첫 보고로서, 저자들은 수술 도중 발생하는 내과 피질골 천공과 방사선적 특징에 대해서 서술하고자 한다.
TAG Femur, Medial condyle, Cortical bone, Perforation, Arthroplasty, Replacement, Knee, 대퇴골, 내과, 피질골, 천공, 인공관절, 치환술, 무릎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골반환 손상 환자에 대해 동맥 색전술 시행 후 발생한 양측 둔부 괴사와 심부 감염 - 증례 보고 -
박성진 ( Sung Jin Park ) , 전창호 ( Chang Ho Jeon ) , 문남훈 ( Nam Hoon Moon ) , 박용건 ( Yong Geon Park ) , 장재훈 ( Jae Hoon Jang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9] 제32권 제1호, 56~60페이지(총5페이지)
골반의 동맥 색전술은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골반환 손상 환자에서 효과적이고 안전한 초기 치료법으로 받아들여진다. 그러나 동맥 색전술로 인해 골반과 그 주위 장기들로의 혈류를 차단하여 생기는 잠재적 합병증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었고, 둔부의 괴사, 심부 감염, 창상의 괴사, 내부 장기의 경색 등 다양한 합병증들이 보고된 바 있다. 저자들은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한 골반환 손상 환자에 대해 동맥 색전술을 시행한 후 발생한 둔부의 괴사 및 감염을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였고, 이에 대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AG Pelvic ring injury, Transarterial embolization, Complication, Gluteal necrosis, 골반환 손상, 동맥 색전술, 합병증, 둔부 괴사
단순 주관절 후방 탈구의 새로운 손상 기전과 치료 방침
류인혁 ( In Hyeok Rhyou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9] 제32권 제1호, 61~71페이지(총11페이지)
모든 단순 주관절 탈구를 외측에서 시작되어 내측으로 진행된다는 단일 탈구 기전에 의존한 기존 개념으로는 지금까지 여러 가지 상반된 실험적 및 임상적 관찰 소견을 결코 설명할 수 없는 상황이었지만 지금까지 이를 대신할 만한 새롭고 합리적이며 타당한 기전에 대한 연구 및 제안도 지금까지 없는 상태였다. 저자들의 연구에 따른 후내측 탈구 및 후외측주관절 탈구에 대한 새로운 제안과 여기에 기초한 새로운 치료 방침은 지금까지 설명하기 어려웠던 여러 임상적 및 실험적 연구 결과들을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논리적인 새로운 치료 방침과 합리적인 치료 접근법을 소개함으로써 주관절 탈구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치료를 제시할 것으로 생각된다.
TAG Elbow dislocation, Posteromedial and posterolateral dislocation, Treatment algorithm, 주관절 탈구, 후내측 및 후외측 탈구 기전, 치료 방침
상완골 원위부 골절의 수술적 치료: 수술적 접근, 내고정물, 고정방법, 재활
이민호 ( Min Ho Lee ) , 이영호 ( Young Ho Lee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9] 제32권 제1호, 72~81페이지(총10페이지)
상완골 원위부 골절은 다른 관절 내 골절과 같이 안정적인 골절 고정 및 조기 관절운동을 필요로 하지만 원위 상완골의 해부학적 복잡성, 심각한 분쇄를 동반하는 골절 양상, 동반된 골다공증으로 인해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어렵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게 되며 주로 2개의 지지 금속판을 이용한 내고정을 시행하고 정열 모양에 따라 직각 금속판 고정 및 평행 금속판 고정으로 나뉠 수 있다. 또한 골절 유형에 따라 수술적 고정 방법을 달리 할 수 있고, 골소실이 심한 경우 자가 골이식을 시행할 수도 있다. 주관절은 오랜 기간 고정 시 관절 강직이 호발하므로 수술 후 조기에 관절운동을 시작하는 것이 좋다. 수술 후 불유합, 척골신경 압박증상, 이소성 골화 같은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며 이의 예방을 위해 수술 시에 정확하고 견고한 고정과 섬세한 연부조직의...
TAG Elbow joint, Ulnar nerve, Heterotopic ossification, 주관절, 척골신경, 이소성 골화
원위 대퇴골 골절에서 슬관절 강직의 위험 인자
손동욱 ( Dong-wook Son ) , 김형수 ( Hyoung-soo Kim ) , 최우영 ( Woo-young Choi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4호, 123~131페이지(총9페이지)
목적: 원위 대퇴골 골절을 근육 아래 잠김 금속판을 이용하여 치료한 환자에서 발생하는 슬관절 강직의 위험 인자에 대해 조사하고 임상적 방사선적 결과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후향적 환자 대조군 연구로 슬관절 강직의 환자군은 수술 후 12개월의 관절 운동 범위가 90도 이하 혹은 마취하 관절 수동술을 시행 받은 환자이고 대조군은 정상 관절 운동 환자였다. 발생 가능한 위험인자의 빈도를 단변량 및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환자군 14예, 대조군 40예로 54예의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단변량 분석상 분쇄골절, 관절내 골절, 개방성 골절, 일시적 외고정 장치, 심한 퇴행성 관절염 및 장기간의 부목 고정이 슬관절 강직의 위험 인자였다. 하지만, 다중 회귀 분석상에서는 신전기전의 손상이 유일한 위험 ...
TAG 대퇴골 골절, 골고정 금속판, 관절 운동 범위, 위험 인자, Femoral fractures, Bone plates, Range of motion, Risk factor
컴퓨터 단층촬영 소견을 이용한 근위 경골 골절에 동반된 외측 반월 연골판 손상의 예측
최원철 ( Wonchul Choi ) , 최윤성 ( Yunseong Choi ) , 김고탁 ( Go-tak Kim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4호, 132~138페이지(총7페이지)
목적: 경골 고평부 골절에 동반된 외측 반월 연골판 손상을 예측하는 컴퓨터 단층촬영 골절 양상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과 자기공명영상을 시행한 53예의 경골 고평부 골절 대상으로, 컴퓨터 단층촬영에서 Schatzker 분류, 외측 경골 함몰, 확장 정도, 골절 위치, 단 일/다수 고평부 column 골절 여부를 확인하였다. 자기공명영상 진단을 통해 외측 반월 연골판 손상군과 비손상군으로 나누어 두 군 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손 상군에 23예, 비손상군에 30예가 포함되었다. 외측 경골 함몰 정도는 손상군(평균 8.2 mm)과 비손상군(평 균 3.8 mm)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외측 경골 확장 정도는 손상군(평균 6.9 mm)과 비손상군(평균 4.8 mm) 간에 유의한 차이...
TAG 경골, 외측 반월 연골판, 경골 고평부 골절, 컴퓨터 단층촬영, 자기공명영상, Schatzker 분류, Tibia, Lateral meniscus, Tibia plateau fracture, Computed tom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e, Schatzker classification
견관절 탈구의 유무에 따른 상완골 대결절 골절의 임상 양상 및 특징
김동완 ( Dong-wan Kim ) , 임영재 ( Young-jae Lim ) , 배기철 ( Ki-cheor Bae ) , 김범수 ( Beom-soo Kim ) , 이용호 ( Yong-ho Lee ) , 조철현 ( Chul-hyun Cho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4호, 139~144페이지(총6페이지)
목적: 견관절 탈구 유무에 따른 상완골 대결절 골절의 임상 양상 및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완골 대결절 골절로 내원한 환자 108명(견관 절 탈구가 동반된 환자 56명, 동반되지 않은 환자 52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나이, 성별, 좌우, 수상 기전, 동반 손상의 유무, 골절의 전위 정도, 골절 형태, 골절 골편수, 대결절 골편의 크기 및 치료 방법에 대해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견관절 탈구 유무에 따른 상완골 대결절 골절의 비교에서 나이, 성별, 좌우, 수상 기전, 동반 손상의 유무 및 치료 방법은 두 군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골절의 전위 정도, 골절 형태, 골절 골편 수, 대결절 골편의 크기에 있어서는 두 환자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
TAG 견관절, 대결절, 골절, 탈구, Shoulder, Greater tuberosity, Fracture, Dislocation
불안정성 천골 골절에서 척추-골반 고정술을 이용한 치료 - 증례 보고 -
최정환 ( Jung-hwan Choi ) , 황규태 ( Kyu-tae Hwang ) , 이승건 ( Seung Gun Lee ) , 강창남 ( Chang-nam Kang )  대한골절학회, 대한골절학회지 [2018] 제31권 제4호, 145~148페이지(총4페이지)
22세 여환으로 음주 상태에서 보행자 교통사고를 당한 후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응급실에서 시행한 검사상 우측 천골 천골공 구역 골절, 좌측 하치골지 골절, 좌측 전방 비구 골절 및 우측 제1 천추의 상방 후관절 돌기의 골절이 확인되었으며 다른 신경학적 증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환자는 척추-골반 고정술 및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하였고 이후 1년이 지나 골유합이 완료되어 내고정물을 제거하였으며 다른 합병증이 없이 치료가 완료되었다. 본 저자들은 불안정성 천추골 골절에 있어서 척추-골반 고정술 및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이 현존하는 다양한 천골 골절의 치료법 중 골반 후방의 안정성을 견고하게 얻을 수 있는 우수한 방법 중 하나이기에 추천하는 바이다.
TAG 불안정 천골 골절, 척추-골반 고정술, 경피적 장-천골 나사못 고정술, 장골 나사, Unstable sacral fracture, Spino-pelvic fixation, Percutaneous iliosacral screw fixation, Iliac screw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