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AND 간행물명 :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135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가리왕산 일대 천연활엽수림에서 Cluster분석법에 의한 산림군집 분류에 관한 연구
정상훈 ( Sang Hoon Chung ) , 임선미 ( Seon Mi Lim ) , 양희문 ( Hee Moon Yang ) , 성주한 ( Joo Han Sung ) , 김지홍 ( Ji Hon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44(총1페이지)
본 연구는 가리왕산 일대 동부지방산림청 평창관리소 관내 국유 천연활엽수림의 과학적인 산림경영관리와 합리적인 보전을 달성하는데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군집분류를 수행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무작위로 설치한 112개의 정방형 (20 m × 20 m) 표본구에서 수집한 식생자료를 바탕으로 다양하고 복잡한 천연림을 몇 개의 공통된 식생 그룹으로 묶어주는 시도로서 cluster분석법을 이용하였다. 분류된 각각의 군집별로 수종 구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일반적인 생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각각의 군집별로 지형적 위치 분포 양상과 고도별 분포 정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 산림은 상층의 우점 수종이 대표성을 띠는 5개의 군집 즉,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들메나무-물푸레나무군집, 박달나무-신갈나무군집, 중생혼효림군집, 거제수나무-난티나무군집으로 분류되었다. 각 군집...
지리산 일대 천연림의 군집 유형별 천이지수 추정
임선미 ( Seon Mi Lim ) , 정상훈 ( Sang Hoon Chung ) , 황광모 ( Kwang Mo Hwang ) , 정승선 ( Seung Sun Jung ) , 김지홍 ( Ji Hong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45(총1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극상지수를 이용해 군집별 천이지수를 추정하여 각 군집의 천이 진행정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지리산 일대 천연림을 대상으로 점표본법을 이용하여 298개의 표본점에서 식생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Cluster분석을 실시해 7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군집의 속성을 밝히기 위해 수종구성과 종다양성을 분석하였으며 상층 수종구성을 바탕으로 군집의 이름을 명명하였다. 군집별 천이 진행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천이지수는 수종의 극상지수와 수종이 군집 구성의 기여도를 설명해주는 상대밀도를 사용하여 표준화하였다. 또한 종다양성지수는 출현하는 종의수와 종내 개체수가 다를 때 그 영향을 반영하기 위해서 인자로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중생혼합림의 천이지수가 163.3으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신갈나무우점군집이 109.5, 서어나무군집이 ...
도농 복합 도시 산촌 지역의 사유림 파편화 현상
김의경 ( Eui Gyeong Kim ) , 김현진 ( Hyun Jin K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46(총1페이지)
본 연구는 도농 복합 도시 산촌 지역의 사유림 파편화 현상을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지는 울산광역시 울주군 상북면에 있는 소호리 지역으로서, 전체 산림면적의 약93%가 사유림이며, 우리나라 최초로 협업체가 조성된 곳으로서 도농복합도시 지역의 사유림 활성화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한 최적의 장소라 할 수 있다. 토지 대장이 만들어진 시기인 1910년부터 2014년 2월 3일 현재까지 파편화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10년 단위의 기간으로 나누어 소유규모별, 소유자 거주지별, 연령별, 용도별, 필지수별 현황을 토지·임야대장 등기부와 주민 청취조사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필지수가 203개에서 793개로 3.9배 증가하여 평균 필지면적이 6.2ha에서 1.7ha로 급감하였고, 파편화는 주로 소유규모 1ha이하에서 발생하였으며, 2000년...
TAG 사유림, 파편화, 도농복합도시, 부재산주, 산림자원관리, private forest, phenomenon of fragmentation, city combined with functions of rural and urban communities, non-residential owner, forest resources management
적외선등을 이용한 실외 실험적 온난화 처리에 따른 굴참나무와 거제수나무의 종자 발아 및 생존율
황재홍 ( Jae Hong Hwang ) , 조민석 ( Min Seok Cho ) , 양아람 ( A Ram Yang ) , 한새롬 ( Sae Rom Han ) , 손요환 ( Yow Han So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47(총1페이지)
본 연구는 지구 온난화와 관련한 대응 대책 마련을 위해서 대기 온도 상승에 따른 주요 활엽수의 종자 발아 및 발아 후 유묘의 생존율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굴참나무와 거제수나무를 대상으로 적외선등을 이용하여 대조구보다 온난화 처리구의 대기 온도를 3℃ 높게 유지하는 실외 실험적 온난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온난화 처리에 따른 대기 온도 상승으로 두 수종 모두 발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굴참나무의 경우 온난화 처리에 따른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 및 발아세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거제수나무는 온난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발아속도를 보였다. 온난화 처리구에서 발아된 유묘의 생존율은 거제수나무의 경우 낮게 나타났지만, 굴참나무는 온도 상승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지구 온난화에 따른 대기와 토양 온도...
KFS-P20 : Analysis of Species Diversity in Gotjawal on Jeju Island
( Joon Bum Kim ) , ( Ga Eun Lee ) , ( Jin Young Yang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48(총1페이지)
본 연구는 지구 온난화와 관련한 대응 대책 마련을 위해서 대기 온도 상승에 따른 주요 활엽수의 종자 발아 및 발아 후 유묘의 생존율 변화를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굴참나무와 거제수나무를 대상으로 적외선등을 이용하여 대조구보다 온난화 처리구의 대기 온도를 3℃ 높게 유지하는 실외 실험적 온난화 처리를 실시하였다. 온난화 처리에 따른 대기 온도 상승으로 두 수종 모두 발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굴참나무의 경우 온난화 처리에 따른 평균발아일수, 발아속도 및 발아세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거제수나무는 온난화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발아속도를 보였다. 온난화 처리구에서 발아된 유묘의 생존율은 거제수나무의 경우 낮게 나타났지만, 굴참나무는 온도 상승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지구 온난화에 따른 대기와 토양 온도...
강원도 홍천에서 임상에 따른 양서,파충류 군집의 특성 차이
박창득 ( Chang Deuk Park ) , 손승훈 ( Seung Hun Son ) , 황현수 ( Hyun Su Hwang ) , 이우신 ( Woo Shin Lee ) , 이은재 ( Eun Jae Lee ) , 임신재 ( Shin Jae Rhim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49(총1페이지)
본 연구는 임상에 따른 양서 파충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13년 7월부터 9월까지 강원도 홍천군 일대의 국유림에서 실시하였다. 침엽수림과 활엽수림 지역 각각 2조사구, 총 4개조사구 내에서 월별로 총 12번의 선형횡단조사를 통해 양서류는 4종 52개체, 파충류는 3종 11개체가 확인되었다. 임상에 따른 산림환경구조 조사 결과, 관목층(1∼2m), 아교목층(2∼8m), 수관층(20∼30m)의 엽층별 피도량은 침엽수림이 활엽수림에 비해 더 크게 나타났으나, 양서 파충류의 평균 종수와 개체수, 종다 양도지수는 임상별, 시기별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양서 파충류의 군집 특성이 산림의 수직적인 구조 뿐 만 아니라 기후적 요인, 체온조절의 용이성, 먹이 가용성 등의 요인과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임상...
울진 금강소나무 경영단지 일대 작업구역에 따른 식생조사
박병주 ( Byeong Joo Park ) , 주성현 ( Sung Hyun Jo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50(총1페이지)
본 연구는 울진군 일대의 금강소나무림 경영단지 식생조사를 통하여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한다. 총 77개의 정방형 조사구(20m×20m)를 설정하였으며,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ArcGIS 10.01) 7개의 작업구역(핵심보존구역[A구역], 핵심주변중점시업구역[B구역], 인공조림지[C구역], 활엽수완충구역[D구역], 활엽수중점시업구역[E구역], 혼효림완충구역 [F구역], 혼효림중점시업구역[G구역])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구역별 우점치, 종 다양도 수종간 상관관계 및 식물상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울진·봉화 일대의 식물은 총 95과 314속 509종 4아종 68변종 10품종으로 총 591분류군이 분포한다. 우점치 조사결과, 교목층의 금강소나무...
캄보디아 REDD+ 사업 후보 대상지의 산림 탄소저장량 산정
김지연 ( Ji Yeon Kim ) , 윤태경 ( Tae Kyung Yoon ) , 한새롬 ( Sae Rom Han ) , 김성준 ( Seoung Jun Kim ) , 이동호 ( Dong Ho Lee ) , 이우균 ( Woo Kyum Lee ) , 이수경 ( Sue Kyoung Lee ) , 손요환 ( Yow Han Son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51(총1페이지)
REDD+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의 산림 탄소저장량 변화를 파악해야 하며, 이를 위하여 현존 산림 탄소저장량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캄보디아 REDD+ 사업 후보 대상지인 캄풍톰과 프리비에 지역에서 현존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지의 산림 유형별로 2-3개의 조사구를 설정하고 그 안에 있는 임목의 흉고직경과 고사목 크기 등을 측정하였으며, 토양과 낙엽층 시료를 채취하였다. 그리고 현지조사결과 값과 Verified Carbon Standard 방법론, IPCC 가이드라인(2006)의 기본값 등을 이용하여 대상지의 탄소저장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결과, 캄풍톰 대상지의 토양을 포함한 총 탄소저장량은 상록수림, 갱신 초기의 이차림, 초지에서 각각 181.0 Mg C ha-1,...
밤,대추,떫은감의 수급 동향과 전망
안선진 ( Sun Jin Ahn ) , 송성환 ( Seong Hwan Song ) , 문지민 ( Ji Min Moon ) , 석현덕 ( Hyun Deok Seok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52(총1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밤, 대추, 떫은감의 최근 국내 수급동향을 파악하고, 수급모형을 통해 향후 수급을 전망하였다. 밤, 대추, 떫은감의 국내 수급동향 파악을 위하여 산림청의 임업통계연보 및 임산물생산조사와 한국무역협회의 수출입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생산량 및 수출입량, 국내 가격자료를 바탕으로 수급모형을 구축하고, 각 품목별 향후 10년간의 수급을 전망하였다. 밤은 지속적인 생산 감소와 수입 증가가 전망됨에 따라, 국내 가격 및 품질 경쟁력 제고, 다양한 가공 상품개발을 통한 소비 및 수출확대가 필요하다. 대추와 떫은감의 경우, 소비 감소와 생산 증가로 추후 과잉공급이 전망됨에 따라 재배면적 관리를 통한 생산량 조절, 다양한 가공 상품개발 및 수출시장 발굴을 통한 소비확대가 필요하다.
한국산 소나무속(Pinus L.) 식물의 형태형질 연구
홍정기 ( Jeong Ki Hong ) , 장진 ( Jin Jang ) , 양종철 ( Jong Cheol Yang ) , 오승환 ( Seung Hwan Oh ) , 이유미 ( You Mi Lee ) , 허권 ( Kweon Heo )  한국산림과학회(구 한국임학회), 산림과학 공동학술발표논문집 [2014] 제2014권 53(총1페이지)
본 연구는 소나무속의 정확한 분류형질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정량적형질 19형질, 정성적 형질 12형질을 대상으로 측정, 관찰하였고, 소나무속의 해부형질을 알아보기 위하여 잎의 횡단면, 잎의 표피(SEM), 화분(SEM), 목재를 관찰하였다. 잎의 길이는 테에다소나무가 가장 긴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과의 길이는 스트로브잣나무가 가장 긴 것으로 관찰되었다. 잣나무, 눈잣나무가 다른 소나무속 분류군들과 다르게 종자에 날개가 없다는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잎의 횡단면 관찰 결과 소나무아속 식물은 2개의 유관속을 가지는 반면, 잣나무아속 식물은 1개의 유관속이 가지고 있었다. 잎의 표피 관찰 결과 곰솔, 방크스소나무, 리기다소나무, 테에다소나무를 제외한 모든 소나무속 식물들은 기공의 부세포가 둥글게 또는 분화구 모양으로 돌출하였다. 화분형태 ...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