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전통조경학회지12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조선왕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의 특성 - 광릉을 중심으로 -
오현경 ( Oh Hyun-kyung ) , 김은옥 ( Kim Eun-ok ) , 유주한 ( You Ju-han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1호, 41~55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조선왕릉 광릉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조사 및 분석하여 전통경관과 생태환경을 보전 및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 제공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관속식물상은 97과 274속 384종 4아종 49변종 9품종 등 446분류군이며, 식재종은 은행나무, 잣나무, 주목 등 34분류군이다. 중국굴피나무, 일본목련과 같은 외래종은 전통경관 관리를 위해 제거되어야 할 것이다. 희귀식물은 총 7분류군으로, 멸종위기종(CR)은 2분류군, 취약종(VU)은 2분류군, 약관심종(LC)은 3분류군이다. 한국특산식물은 참개별꽃, 흰괭이눈, 고광나무, 민땅비싸리, 오동나무(식재), 병꽃나무, 벌개미취(식재), 좀비비추(식재) 등 8분류군이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45분류군으로, Ⅴ등급은 2분류군, Ⅲ등급은 12분류군, Ⅱ등급은 9...
TAG 귀화식물, 식재종, 역사경관, 외래종, Exotic Species, Historical Landscape, Naturalized Plant, Planting Species
에셀나무(Tamarix aphylla)의 명칭문제에 대한 고찰
김영숙 ( Kim Young-sook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1호, 56~67페이지(총12페이지)
성경에 쓰인 에셀나무(Tamarix aphylla)의 올바른 명칭문제를 고찰하기 위해서 식물의 형태분류학적인 특성 분석, Tamarix속에 대한 상징성 고찰, 한국고전과 중국고전에서의 용례 분석, 그리고 한중일 성경에 나타난 에셀나무 번역상에 나타난 문제점에 대한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식물분류학적으로 Tamarix속 유사종의 구별은 잎과 꽃의 형태로 구분하지만, 그 크기가 2-4㎜ 정도로 매우 작기 때문에 육안으로 구분하기 어렵다. 그러나 이스라엘 광야에 분포하는 T. aphylla와 중국과 한국의 T. chinensis는 가지가 처지는 모양이나 개화기간에서 확연한 차이점을 나타내고 있다. Tamarix속은 고대 메소포타미아와 한(漢)나라에서는 궁궐 안뜰에 심을 정도로 귀한 나무였고, 고대 이집트에서는 죽은 사람에게 생명을 주...
TAG Tamarix aphylla, Tamarix Chinensis, 성경, 식물분류, 에셀나무, 위성류, Bible, Classical Database, Plant Classification, Tamarisk
4차 산업혁명의 실태와 조경학 분야 적용방안 연구
이종성 ( Lee Jong-s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1호, 68~75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한 조경학 분야의 적용방안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조경학 분야에의 적용방안을 모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은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혁신적 변화를 의미하며 지능정보기술 기반 가치창출을 추구하고 있으며, 기술혁신을 통한 지속적 성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조경학 분야에서도 많은 양의 정보를 취합하고 이를 창의적으로 재가공할 수 있는 전문성이 요구되며, 시대적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하겠다. 둘째, 조경학 분야에서의 4차 산업혁명 대응 기술적용 현황을 살펴본 결과, 드론을 활용한 측량 기술이나 글로벌 맵핑 등의 정밀 분석결과 구축, 3차원 설계 시뮬레이션, VR 등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전통조경 분야에서는 조경공간 구성...
TAG 가상공간, 공공서비스, 관리효율화, 설계 시뮬레이션, 정밀실측, Management Efficiency, Planning Simulation, Public Service, Precisely Measure, Virtual Space
쑤저우 정원의 세계유산 OUV와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박희성 ( Park Hee-s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9] 제37권 제1호, 76~84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쑤저우 정원의 세계유산 가치와 정원유산 보호관리의 운영방식 고찰을 목적으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세계유산으로서 쑤저우 정원은 중국 역사의 독보적 계층인 문인의 취향과 생활상이 양쯔강 동쪽 하구 지역의 자연환경과 얼마나 훌륭하게 교융하고 있는지 보여줌으로써 OUV를 증명하였다. 더하여 고유한 중국의 정원술과 정원을 매개로 한 국제문화의 교류 현상을 보여주었다. 둘째, 정원의 진정성 있는 복원은 가까운 과거에 남긴 기록물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동시대의 언어로 서술하고 사진이나 드로잉 등의 매체를 이용한 이미지를 통해 유산의 묘사한 20세기 기록물은 정원 복원에 결정적 역할을 하였다. 셋째, 1950년대부터 시작된 쑤저우 정원의 보호관리는 건물 등의 구성요소 복원, 식물소재 및 식재술의 복원, 수목의 기록조사를 통한 ...
TAG 보전, 세계유산, 완전성, 정비, 중국 역사정원, 진정성, Authenticity, Chinese Historic Garden, Conservation, Integrity, Maintenance, World Heritage
북한산 조계동 송계별업(松溪別業) 정원 복원을 위한 경관해석
노재현 ( Rho Jae-hyun ) , 송석호 ( Song Suk-ho ) , 조장빈 ( Jo Jang-bin ) , 심우경 ( Sim Woo-ky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1~17페이지(총17페이지)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17C 중반 북한산 조계동(曹溪洞)에 조영된 송계별업의 장소성과 별업의 정원상 및 경관상을 추적하여 송계별업 원림의 복원을 전제로 한 경관해석을 시도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송계별업은 인조의 3남이자 효종의 아우인 인평대군 이요가 인조 24년에 조성한 왕가별업이다. 본제는 직선거리로 약 7km 떨어진 건덕방 타락산 아래의 궁집 석양루로서, 대군이라는 조영주체의 신분적 특수성 때문에 송계별업 또한 단청 및 건물의 제도가 매우 화려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곳의 장소정체성이자 핵심경관은 구천은폭으로 중국 여산폭포에 비견되는 다층의 폭포를 갖는 관폭과 청음의 공간이었으며, 별업 멸실 이후에는 왕릉 부석장으로 역할과 부석금표처의 장소이미지가 더해졌다. 조계동천을 중심으로 한 송계별업 내원은 구천은폭을 비롯하여 한담과 창...
TAG 구천은폭, 九天銀瀑, 별서정원, 別墅庭苑, 비홍교, 飛虹橋, 석양루, 夕陽樓, 송계별업, 松溪別業, 인평대군, 麟坪大君, Bihong-bridge, Byeol-Seo Wonrim, Chogyebyulup, Gucheoneunpog, Inpyeong Daegun, Seokyang-lu
이화원 황가원림의 경관연출기법 연구
안승홍 ( An Seung-hong ) , 윤성융 ( Yoon Sung-yung ) , 염성진 ( Yeom Sung-jin ) , 윤상준 ( Yoon Sang-jun ) , 이원호 ( Lee Won-ho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18~27페이지(총10페이지)
본 연구는 황가원림이 중국 고전원림을 집대성한 산물임을 상정하고 황가원림에 연출된 경관 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이화원에는 아름다운 경관을 감상하고자 한 황제의 욕망을 위해 다양한 경관연출기법이 적용되었는데 이에 따른 경관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이화원은 차경, 주경, 배경, 대경, 협경, 분경, 광경, 누경, 첨경 등 다양한 조망처리기법을 통해 다양한 원림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둘째, 남북의 중축선을 기준으로 한 건축물을 대칭구도 및 장랑구조, 시각생리를 고려한 경점의 배치를 통해 경관 감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중국 각지의 명승지 경관을 이화원의 고유한 지형적 특성에 맞게 도입하는 명경이식기법을 활용하였다. 이화원에는 항주와 기창원, 소주의 산당가의 경관이 재현·이식되어 공통적으로 강남지역의 경관이 이식되어 있음을...
TAG 건축배치기법, 경관연출기법, 명승이식기법, 조망처리기법, 황가원림, Architectural Layout Technique, Landscape Formation Techniques, Landscape Transfer Technique, Palace Garden, View Processing Technique
고보리 엔슈(小堀遠州)의 작정기법
홍광표 ( Hong Kwang-pyo ) , 최미영 ( Choi Mi-you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28~38페이지(총11페이지)
본 연구는 고보리 엔슈(小堀遠州)의 정원이 그때까지 조성되어 온 기존의 일본 정원양식과는 다르다는 것을 분석하여 그의 독특한 작법(作法)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 고보리 엔슈는 기존의 가레산스이 정원이 돌과 모래를 재료로 조성되는 양식적 틀에서 벗어난 새로운 가레산스이 양식을 창안하였다. 그는 사쯔키철쭉을 강전정하여 돌과 조화를 이루도록 연출하였는데, 이러한 엔슈의 작법은 키레이사비(綺麗)라는 미적원리에서 비롯되었다. 그러한 까닭에 엔슈의 정원은 일견 화려하면서도 단순한 정원미를 보이는데, 이것 역시 그가 창안한 독창적인 정원기법이다. 고보리 엔슈가 창안한 특유의 정원양식은 새로운 것은 추구하던 에도(江戶)시대의 사람들의 문화의식과 공가(公家) 문화가 확산되는 문화적 바탕이 작용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연유 때문인지...
TAG 돌의 사용, 식물의 사용, 정원의 구성, 정원의 도입요소, 정원의 배경, Background of Garden, Composition of Garden, Elements of Garden, Use of Stone, Use of Plants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을 통해 본 왕의 위락활동 유형과 변천
강현민 ( Kang Hyun-min ) , 신상섭 ( Shin Sang-sup ) , 김현욱 ( Kim Hyun-wuk ) , 마일초 ( Ma Yi-chu ) , 한서정 ( Han Rui-ti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39~49페이지(총11페이지)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분석한 조선시대 제왕들의 위락활동과 변천에 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궁중 안팎 외부공간에서 행해진 왕의 위락활동은 연회형, 강무형, 유희형으로 분류할 수 있는데, 연회형은 회례연, 진연(進宴), 풍정(豊呈), 진찬(進饌), 양로연, 사신연, 수연(壽宴), 곡연(曲宴) 등이었고, 강무형은 활쏘기, 격구, 사냥 등이며, 유희형은 나례(가면놀이), 처용무, 풍두희(豊頭戱), 그리고 화산붕(불꽃놀이), 꽃놀이(賞花), 투호, 수박희(手搏戱), 낚시, 뱃놀이, 각투(角鬪), 상희(象戱), 잡희 등이었다. 위락 활동은 고려시대 답습기[1기, 태조~세조(예종)], 확립기[2기, 군사문화가 성리학 문화로 전환되었고 연회의 규례가 제도화, 성종~중종]. 단절기[3기, 임진왜란 등 불안한 정세 속에서 침체, 단절 초래, 성종~현종...
TAG 사냥, 왕의 정원(苑), 왕의 위락활동, 원유, 苑囿, 조선왕조실록,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Hunting, National Hunting Garden, King's Amusement Activities, King's Garden
정비 사업을 통해 본 경주 양동마을 전통조경 재료의 변화양상 - 1970년대 이후 마을 내 건축물 지붕 소재를 중심으로 -
김동현 ( Kim Dong-hyun ) , 이종성 ( Lee Jong-sung ) , 최종희 ( Choi Jong-hee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50~57페이지(총8페이지)
본 연구는 경주 양동마을을 대상으로 경주 양동마을 건축물의 외관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그간 수행되었던 조사사업 및 정비계획을 토대로 1970년대 이후 지붕재료의 변화과정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1970년대 양기와를 사용한 가옥의 비중이 와가와 유사하게 나타나며, 슬레이트 지붕이나 슬라브집 등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미 근대화·도시화에 의한 근대적 재료의 사용으로 마을 경관이 변화한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1977년 민속자료 보호구역 지정, 1984년 중요민속자료 지정에 따른 초기단계 정비 사업이 진행되었으나 보수정비 예산부족, 무분별한 보수 공사로 그 실효성은 높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 결과, 이전시기 초가의 감소, 양기와·슬레이트 등의 재료 사용 증가 추세가 지속되고 있었다. 셋째,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문...
TAG 근대경관, 문화재 정비, 세계유산, 전통마을, Cultural Heritage Maintenance, Modern landscape, Traditional Village, World Heritage
발굴유적 외부공간의 유형별 경관계획 및 조경시공 원칙 연구
신현실 ( Shin Hyun-sil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018] 제36권 제4호, 58~69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는 다양한 유적지 공간에서의 경관계획 및 시공기준에 대해 조경 분야에 적용 가능한 구체적 경관계획과 시공기준을 살펴보았으며, 이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적지의 유형은 보존상태 및 처리기법에 따라 분류되는데 보존 상태에 따른 분류는 건조물이나 구조물 등 지상에 노출된 유적과 매장문화재와 같이 지하에 매장된 유적, 유적에 대한 기록이나 명성이 전해져 오고 있으나 장소만 남은 유적 등으로 구분된다. 전시 처리기법에 따른 분류는 유적 주변을 격리하는 폐쇄와 유적 지상에서 관람할 수 있는 관통, 별도의 보호시설을 유적 위에 설치하는 중첩 등의 기법들로 분류되었다. 둘째, 유적지 관람 전시를 위한 조경계획의 원칙을 수립해보면, 유적을 구성하는 항목으로 영역의 구분, 유적의 표면처리, 수목식재, 시설물 설치 등으로 구분된다. 유적은 원형의 공간...
TAG 원형보존, 조경계획 및 시공, 폐허의 장소, 흔적의 보호, Landscape planning and construction, Preservation of original form, Protection of trace, The site of the ruin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