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115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증강현실 기반 건축문화유산 공간경험 활성화 방안 연구 - 해외 디지털 복원사례를 중심으로 -
천준호 ( Chen Jun 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8호, 223~236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국내 문화유산 분야는 다른 산업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디지털화가 늦게 진행되었으며, 통합관리 시스템의 부재로 ‘2차 정보생산’, ‘정보공유’ 등의 제도적 장치가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해외 건축문화유산의 디지털 복원의 대표 사례 연구를 통해 건축문화유산 관련 증강현실 기반 실감콘테츠를 이용한 공간경험 활성화와 디지털 복원 및 디지털 DB구축의 표준화에 대한 기초연구자료를 만드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증강현실 기술의 발전 동향을 파악하고, 디지털 유산의 정의 및 건축유산의 디지털 복원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본다. 둘째,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건축유산의 디지털 원형복원을 위해 필요한 3차원 모델링 기술의 표준화 방법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공간경험의 특성에 대해 탐구한다. 셋째, 지역 건축문화유산의 지...
TAG Augmented Reality, Architectural Heritage, Spatial Experience, Digital Modeling, Digital Restoration, 증강현실, 건축문화유산, 공간경험, 디지털 모델링, 디지털 복원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나타난 오브제 표현특성 분석 연구
김정아 ( Kim Jeongah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8호, 237~247페이지(총11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소비자의 기호와 감성이 다양화되면서 소비환경에서도 매장 공간환경 및 서비스 경험 등이 제품선택에 중요한 부분이 되고 있다.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서는 차별화된 공간이미지 창출을 위해 오브제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을 유도하며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고 있다. 이는 사용자의 적극적 참여가 가능하고 작품 감상과 쇼핑을 동시에 충족할 수 있어 쇼핑 체류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는 유행에 민감하고 일탈의 분위기를 발휘하는 공간이므로 작가들의 실험적 시도가 비교적 자유롭다. 이에 본 연구는 오브제가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에 어떻게 표현되는지 그 특성을 사례 분석하고 도출된 결과를 중심으로 향후 경쟁력 있는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 수립을 위한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기존 문헌과 선행연구...
TAG Fashion Flagship Store, Object, Symbol, Function, Expression Characteristics, 패션플래그쉽스토어, 오브제, 상징, 기능, 표현특성
소재의 적정가공을 통한 인테리어 텍스타일디자인 개발
허지혜 ( Huh Jihy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8호, 249~258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섬유 소재는 그 시대의 사회적 배경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최근 소비자가 원하는 것이 개성화· 다양화됨에 따라 인간의 감성을 부추기는 상품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른 섬유의 성능 및 기능 이외의 성질을 지닌 아이디어 소재 등을 개발해 점, 선, 면의 요소와 가공적인 표현방법으로 독특한 외관과 표면연출을 통한 인테리어용 텍스타일디자인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점, 선, 면의 모티브는 시각전달의 강력한 소통 능력을 가지고 있어 그래픽적인 구성원리와 결합하여 소재의 특성을 응용한 적정가공을 적용하여 각각의 구성과 형태, 배열을 통해서 소재 표면의 재질을 변형시켜 표현해냈다. 소재 가공실험을 통해 재질감을 강조한 인테리어용 텍스타일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도형인 점,...
TAG Dot· Line· Plane Motif, Appropriate Processing, Surface Material Quality Transformation, Material Development, Textile for Interior, 점·선·면 모티브, 적정가공, 표면 재질 변형, 소재 개발, 인테리어용 텍스타일
중국 북경과 상해의 공공공간 요인분석에 관한 연구
우커스 ( Wu Kesi ) , 이경화 ( Lee Kyunghwa ) ,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8호, 259~273페이지(총15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시의 높아진 인구밀도, 도시의 공공공간 용지 부족, 공공공간의 역할 및 장소적 가치의 혼재, 공공공간 개발에 있어 장소성의 의미 부여 필요“ 와 같은 중국 도시 공공공간에서 대두되는 여러 가지 문제 및 현황을 파악하여 공공공간 개발에 앞서, 근본적인 장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장소성의 역할적 가치를 발견하고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여, 공공공간의 장소성 구축에 필요한 요인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북경(北京)과 상해(上海)의 공공공간을 대표적인 장소로 설정하여, 공공공간에 나타난 장소성의 역할적 가치와 공간적 특성을 도출하고, 나아가 장소성을 기반으로 지속가능한 공공공간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공공공간의 개념을 이해하고 공공공간의 유형 범주를 도출...
TAG Placeness, Public Space, Factor Analysis, Regional, China, 장소성, 공공공간, 요인분석, 지역성, 중국
표면특성으로서 투명성이 물체색 선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황영지 ( Hwang Yeong Ji ) , 조택연 ( Cho Taigyo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8호, 275~284페이지(총10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표색계가 개발된 이후 특정 색에 대한 선호는 다양한 연구 결과를 통해 확인해왔다. 그러나 단일 색에서 나타나는 선호 경향이 물체에 적용된 색에서는 나타나지 않는데, 기존 연구는 이에 대해 물체의 기능이나 의미적인 맥락이 선호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디자인 과정에서 선호 요인으로서 물체의 맥락에 적합한 색도 중요하지만, 미적 선호가 있는 색을 찾아내는 것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물체의 맥락을 제외하고도 물체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에서는 두 가지 가설을 확인하는데 첫째, 기능이 없는 물체에서도 특정 색 선호경향이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둘째, 광학적 관점에서 색과 투명성을 동시에 드러나는 표면특성으로 봄으로써 물체의 투명성이 색 선호에 영향을 주는지...
TAG Transparency, Color preference, Color perception, Object color, Design, 투명성, 색 선호, 색 지각, 물체색, 디자인
무인매장 서비스스케이프의 속성이 고객 경험에 미치는 영향
이슬아 ( Lee Seulah ) , 정재희 ( Chung Jae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8호, 285~297페이지(총13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IT 기술의 발전 및 인건비 상승과 더불어 언택트 문화의 확산으로 최근 유통업계에서 무인매장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무인매장은 고객보다는 공급자 중심의 관점에서 조성되어 있다. 현재의 무인 매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고객 경험을 강화하는 서비스스케이프 디자인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무인매장 고객 경험의 핵심속성을 도출하여 각각의 속성이 고객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먼저 문헌연구를 통해 무인매장의 현황, 무인매장에 관한 선행 연구, 서비스스케이프의 구성 요소와 효과를 고찰하였다. 무인매장 서비스스케이프의 핵심가치를 도출하기 위해 무인매장 이용 경험이 있는 고객과 UX/서비스디자인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
TAG Unmanned Store, Servicescape, Immediateness, Openness, Customer Attitude, 무인매장, 서비스스케이프, 즉시성, 개방성, 고객태도
노마디즘 관점의 장소 상실과 생성을 통한 장소되기 잠재성 연구
이승나 ( Lee Seungna ) , 김지은 ( Kim Jieun ) , 김개천 ( Kim Kaich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8호, 299~311페이지(총13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20세기 중 후반 이후 기술정보의 발달과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고정적 체계를 거부하고 무한히 확장한다. 하지만 전통적 장소론의 관점으로부터 현대의 일상적 생활 양식과 장소는 해석의 어려움이 있으며 잠재성이 결핍되고 장소의 상실로 이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장소의 상실에 대한 장소 재해석 필요성을 인지하는 데서 출발하였고, 상실된 장소는 무한한 잠재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한다. 따라서 장소의 상실과 생성은 반대의 개념이 아닌 내재된 잠재성의 반복적 현실화로써 연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새로운 장소 되기의 잠재성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장소를 이해하고 기존 전통적 장소에 대한 적용의 한계를 문제 제기하여 장소의 재해석 필요성을 제시한다. 둘째, 장소 재해석의 출...
TAG Loss of place, Place reinterpretation, Virtuality, Nomadism, Becoming, 장소 상실, 장소 재해석, 잠재성, 노마디즘, 생성
대형병원 외래 진료 서비스스케이프 개선을 위한 서비스 공간 디자인 툴킷 제안 - A 대학병원 정형외과 외래 진료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
신이원 ( Shin Yiwon ) , 정재희 ( Chung Jaeh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8호, 313~324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의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의료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환자 중심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내외 의료계는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도입하여 의료 서비스의 프로세스와 공간 디자인을 개선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무형의 프로세스 개선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을 유형의 공간 디자인에 적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서비스 디자인을 통해 도출된 의료 공간의 핵심 요소와 분석 지표를 공간에 적용할 수 있는 서비스 공간 디자인 툴킷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실증 연구로 구성되었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의료 서비스의 진화와 서비스 디자인 방법론의 도입 추세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서비스스케이프의 구성요소와...
TAG Medical Service, Servicescape, Service Design, Space Design, Service Space Design Toolkit, 의료 서비스, 서비스스케이프, 서비스 디자인, 공간 디자인, 서비스 공간 디자인 툴킷
VR 환경에서 몰입감 향상을 위한 디지털 휴먼 눈 구현의 특성 연구
윤개리 ( Yun Gery ) , 문지은 ( Moon Ji Eun ) , 이경현 ( Lee Kyung Hyun ) , 한정엽 ( Han Jungyeob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8호, 325~336페이지(총12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ICT 기술의 발달로 인해 VR 관련 산업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가상현실(Virtual Reality) 속에서의 상호작용과 감성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용자들은 가상의 아바타인 디지털 휴먼(digital human)을 활용해 가상의 공간에서 대화 상대방과 직접 면대면의 대화와 직접적인 감정 교류 및 의사소통이 가능해졌다. 현재까지 표정을 통한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진행되어왔으나 감정 전달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눈에 관한 연구는 얼굴의 일부로만 다루어져 왔으며, 다른 요소들을 제외한 눈의 특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나 VR 산업에서 가상현실 속 커뮤니케이션 시 체험자 눈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얼굴 표정을 표현하는 기술 개발이 이슈화되는 시점에서...
TAG VR, Virtual Reality, Digital human, Eyes, Immersion, Visual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디지털 휴먼, , 몰입감, 시각적 표현 특성
유진상가에 적용된 원도심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계획특성과 개선방안
최정우 ( Choi Jungwoo ) , 문서현 ( Moon Suhh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0] 제15권 제8호, 337~350페이지(총14페이지)
(연구배경 및 목적) 서대문구에 대표적 원도심인 홍은동에 1970년 지어진 유진상가는 당시 세운상가, 낙원상가와 함께 도시 개발을 대표하는 국내 최초의 고급 주상복합 건물로서 도시의 랜드마크로 역할했지만, 도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거대 구조들은 주변의 스케일과 어울리지 못하고 사실상 시각적 연속성을 파괴하는 도시에 폐허로 남겨지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유진상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18년부터 추진되었던 유진상가 도시재생 프로젝트들의 내용을 고찰하는 한편, 현황에 대한 개선방향을 모색하여 추후 원도심 도시재생에 유진상가가 그 역할을 더욱 공공히 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먼저, 현재까지 실현된 유진상가의 공공주도 도시재생 사업의 경과와 문화중심형 도시재생 프로젝트의 성과를 고찰하고 이를...
TAG YooJin Shopping Center, Urban Regeneration, Public-Led, Cultural-Centered, Hongje Yooyeon, 유진상가, 도시재생, 공공주도형, 문화중심형, 홍제유연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