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미디어학회37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모션그래픽의 전개와 확장 - 실험성과 융합적 특성을 중심으로-
손국환 ( Son Kuka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6] 제15권 제4호, 11~29페이지(총19페이지)
모션그래픽은 시간적인 레이아웃과 그래픽디자인의 원리를 활용하고 심미적이며 상징적인 이미지 표현과 더불어서 정보전달을 위한 적극적인 커뮤니케이션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광고를 비롯하여 영화, 드라마, 방송, 뮤직비디오, 홍보영상 등 대부분의 영상콘텐츠에서 사용되고 있다. 영화 오프닝 시퀀스(Opening Sequence), 추상적 실험영화, 미디어아트와 같이 다양한 실험과 융합적 가치를 추구하는 모션그래픽과 디지털 매체의 다양화로 인해 나타난 UX 디자인에 이르기까지 모션그래픽은 실험적이며 예술적인 창조적 결과물임과 동시에 정보전달의 효과적인 도구로서 그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모션그래픽은 20세기 초 아방가르드적 성향의 미술 운동과 실험 영화를 통해 그 시원이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20세기를 지나는 동안 창조적인 예술가나 디자이너, 애니메이터 또는 공...
TAG 모션그래픽, 모션그래픽의 역사, 추상애니메이션, 실험영상, 키네틱 영상, 미디어아트, Motion Graphics, History of Motion Graphics, Abstract Animation, Experimental Film, Kinetic Image, Media Art
은유와 모순의 의미작용에 의한 캐릭터 아이러니의 구조 - <쿵푸팬더>, <업>, <겨울왕국>을 중심으로-
양세혁 ( Yang Sehye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6] 제15권 제4호, 133~150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캐릭터 아이러니 구성의 인과관계가 내적 결핍과 사건의 은유 작용에서 비롯된다는 관점에서 그 구조를 분석하기 위하여 시작되었다. 아이러니는 외관과 현실이라는 두 의미차원 간의 불일치를 의미한다. 외관은 캐릭터에 대한 피상적인 인식 수준이며, 현실은 캐릭터의 선택으로 드러나는 실제적 진실을 말한다. 이러한 의미차원 간에 괴리가 발생하면 캐릭터는 딜레마에 빠져 갈등을 겪고 극적 긴장감은 고조된다. 이렇듯 아이러니는 인간 삶의 부조리를 다양하게 함의함으로써 관객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기능을 하기 때문에 캐릭터와 플롯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캐릭터 아이러니를 간단명료하게 표현해내는 미국의 장편애니메이션 중에서 대표적 제작사인 디즈니, 픽사, 드림웍스의 작품을 선택하여 아이러니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TAG 애니메이션, 캐릭터 아이러니 구조, 결핍과 사건, 은유 작용, 모순 작용, <쿵푸팬더>, <업>, <겨울왕국>, Animation, Structure of character irony, Deficiency and event, Metaphorical effect, Contradictory effect, < Kung Fu Panda >, < Up >, < Frozen >
중국 현대미술 작품에서 문화 유물의 재탄생 - 아이웨이웨이와 송동의 작품을 중심으로 -
김도연 ( Kim Doyeon ) , 김홍중 ( Kim Hongjo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6] 제15권 제4호, 105~131페이지(총27페이지)
중국 현대미술은 지난 30년간 급속한 변화와 발전을 겪어 왔다. 새롭게 서양의 현대미술과 사상을 받아들인 작가들은 빠르게 이를 습득하고 자신들만의 방식으로 소화하였다. 1980년대가 중국 현대미술이 서양의 현대미술을 배우고 익히는 시기였다면 1990년대와 2000년대에 이르러 중국 현대미술 작가들은 새로운 관점에서 현대미술을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관점과 해석 중에서도 본고가 주목한 것은 레디메이드 방식의 오브제 작품들이다. 특히 중국 작가들 중 일부는 문화적 유물 그 자체를 이용한 레디메이드 작품을 제작하였는데 본고는 그 대표적인 작가로 아이웨이웨이와 송동의 작품을 선택하여 연구하였다. 이 두 작가의 작품들은 중국의 긴 역사와 방대한 문화 자체를 그대로 드러냄으로 강력한 중국 성을 지닌다. 이 작가들은 왜 이렇게 문화유산을 이용하게 되었으며...
TAG 중국 현대미술, 레디메이드, 문화 유물, 아이웨이웨이, 송동, Chinese Contemporary art, ready-made, Cultural Heritage, Ai Weiwei, Song Dong
이미지 합성에 의한 점묘 표현 -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
양성원 ( Yang Seong W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6] 제15권 제4호, 31~50페이지(총20페이지)
현대의 우리는 대중매체를 비롯한 다양한 정보 이미지들에 지배되며 살아간다. 이러한 이미지의 홍수 시대는 새로운 이미지의 발견 및 재창조를 요청한다. 이미지를 생산하는 컴퓨터, TV, 카메라 등의 미디어는 가상세계를 만들어 내며 실제를 대체한다. 예를 들어, 최근 유행하고 있는 `미니 홈페이지`나 `블로그` 문화는 이런 가상세계의 단면을 보여준다. 오늘날 미디어 세대는 가상의 아이템과 인공적으로 생산한 임의의 이미지들을 현실의 이미지로 간주한다. 실상과 가상 사이에 경계를 두지 않고 둘 모두 실재한다고 여긴다. 가상의 공간에서 추출된 간접적 이미지들이 실제 이미지들로 재창조 되는 것이다. 이를 적용한 미술 작품들은 독자들과의 소통을 위해 텍스트처럼 설명된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연구는 일상의 사진 이미지와 수작업으로 타공한 한지의 추상적 이미지를...
TAG 몽타주, 점묘법, 이미지 합성, 한지 타공, 부직포 DTP, Montage, Pointillism, Image Compositing, Hanji Punching, DTP on Felt
비디오 아트에서 시간과 기억 이미지 - 베르그손의 시간 개념을 중심으로 비디오 작품 사례분석 -
김현석 ( Kim Hyunsuk ) , 김효숙 ( Kim Hyosoo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6] 제15권 제4호, 51~74페이지(총24페이지)
비디오 아트는 현재를 지속시키거나 분열된 시점의 현재 그리고 사건 없는 시간자체를 보여줌으로써 영화와 달리 내러티브에 종속되지 않는 순수한 시간 그 자체를 드러내려 시도한다. 시간을 기록하고 변형하는 비디오 아트에서 현재와 시간의 본질에 관한 물음은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비디오 초창기에는 기록과 동시에 투사되는 실시간성을 표현하는데 주력했다면 오늘날 비디오에서는 분열되고 해체되며 끊임없이 나타났다 사라짐을 반복하는 비결정적인 불특정한 시간성을 보여주는 이미지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 특성이 강화된 비디오 아트에서는 시간이 추상적인 리듬을 만들어 내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는 비디오 아트에서 변형되는 시간개념을 베르그손(Henri Bergson)의 지속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베르그손에 의하면 시간은 지속되는 것으로 끊임없이 변화...
TAG 디지털 비디오 아트, 제레미 블레이크, 로버트 카엔, 베르그손, 시간, 기억 이미지, 지속, Henri Bergson, Robert Cahen, Jeremy Blake, time based media, duration, potential image, video art, memory
실기 중심 이러닝 콘텐츠 학습 만족도 분석을 위한 수용자의 주관적 인식유형 연구 -영상제작 실기수업을 중심으로-
현승훈 ( Hyun Seunghoo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6] 제15권 제4호, 151~173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이러닝 콘텐츠의 학습만족도 분석을 위한 학습자의 주관성을 분석해 보는 것이다. 과거 일방향 중심의 이러닝 교육체계에서는 실기에 대한 면대면 교육이 어렵기 때문에 실기가 아닌 주로 이론 위주의 수업을 진행하였고, 실습을 교육과정에 포함하여도 오프라인과 연계된 형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방식의 이러닝 실기 교육의 경우, 학습자에게 실습과목이 아닌 오프라인 교육을 위한 참고자료 정도로 밖에 인식되지 않고 있어 실질적 실습교육의 효과를 얻어 내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형태의 상호작용성이 온라인상에서 이러닝 실기교육 시스템에 구현됨에 따라 다양한 학습 만족도 및 학습자 성향에 따른 요구사항이 점차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계량적연구에서 다루지 못했던 실기 중심 이러닝 영상제작실기...
TAG 이러닝, 영상제작, Q방법론, 주관성, 선호도, e-Learning, Filmmaking, Q-methodology, Subjectivity, Preference
미술에서의 저작권 문제 - 미술 저작권 적용을 중심으로 -
김진엽 ( Kim Jinyub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6] 제15권 제4호, 175~206페이지(총32페이지)
저작권법은 저작물을 창작한 저작자의 권리 및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며,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사업에 이바지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지적소유권으로서 저작권(copyright)은 창작물을 복제(copy) 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리이다. 역사적으로 18세기 초반 서구에서 출판에 대한 보호로 시행된 저작권법은 문화예술 환경의 변화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적용대상이 늘어나면서 복합적인 양상을 만들고 있다. 저작권의 보호 체계는 `저작물, 저작자, 저작권, 보호의 제한과 예외, 저작인접권자, 권리 구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저작권법의 기본 원리는 지식의 성과를 이용하려는 일반 공공의 필요와 저작자에 대한 보호를 통해 창작활동을 자극하려는 것이다. 저작권의 보호는 `독자성, 표현물성, 창작성`의 요건을 ...
TAG 저작권, 저작권법, 미술, 저작권 보호, 응용미술, copyright, copyright law, art, protection of copyright, applied arts
현대 미술과 비-성장
로베르토바르방티 ( Roberto Barbanti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6] 제15권 제3호, 11~31페이지(총21페이지)
저작권법은 저작물을 창작한 저작자의 권리 및 이에 인접하는 권리를 보호하며, 저작물의 공정한 이용을 도모함으로써 문화 및 관련 사업에 이바지한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지적소유권으로서 저작권(copyright)은 창작물을 복제(copy) 할 수 있는 독점적인 권리이다. 역사적으로 18세기 초반 서구에서 출판에 대한 보호로 시행된 저작권법은 문화예술 환경의 변화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그 적용대상이 늘어나면서 복합적인 양상을 만들고 있다. 저작권의 보호 체계는 `저작물, 저작자, 저작권, 보호의 제한과 예외, 저작인접권자, 권리 구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저작권법의 기본 원리는 지식의 성과를 이용하려는 일반 공공의 필요와 저작자에 대한 보호를 통해 창작활동을 자극하려는 것이다. 저작권의 보호는 `독자성, 표현물성, 창작성`의 요건을 ...
TAG Degrowth in art, Contemporary art, Decolonize imagination, Ecology, Ecosophy, Aesth-ethics
공간과 관찰의 변증법 : 설치 미술(Installation Art)의 범주설정과 문제의식
김승호 ( Kim Seung-ho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6] 제15권 제3호, 33~71페이지(총39페이지)
이 논문은 21세기 전시문화의 중심으로 부상한 설치미술에 초점을 맞추었다. 우후죽순처럼 늘어나는 국제전시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장르로서 설치미술에 관한 논쟁과 더불어 비평의 부재는 오늘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시각미술의 오랜 주제였던 공간개념에 관찰개념이 첨가되어 미술작품을 인식하는 기준이 변하는 것이 고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설치 미술을 해석하는 방법론은 차치하더라도 그것의 범주설정에는 침묵만 흐르고 있을 뿐이다. 역사적인 문맥에서 설치미술을 연구한 최근의 논문들은(영어권과 독일어권에서 연구되고 있음) 미학, 미술사, 예술철학, 미술비평을 통섭한다. 변화하는 미술계에적합한 이론적 모델이 확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지각현상의 변화가 설치미술에서 읽혀진다. 최근 서구의 연구서는 방법론적 문제보다는 설치미술이 역사적으로 추진되는 과정과 유형 그리고 카테고리를 들...
TAG 설치미술, 미술전시, 공간, 관찰, 지각의 현상학, 인식론, 파노프스키, 발터 벤야민, 울프강 캠프, 오스카 뵈치만, Installation Art, Art Exhibition, Space, observe, Phenomenology of Perception, epistemology, Walter Benjamin, Erwin Panofsky, Wolfgang Kemp, Oskar Batschmann
패션 연출 공간과 설치 미술 형태 특징에 관한 비교 연구
무윈 ( Mu Yun ) , 김순구 ( Kim Soonku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예술과 미디어 [2016] 제15권 제3호, 73~93페이지(총21페이지)
패션은 유행문화의 메신저로, 패션 연출 공간 역시 일반적으로 모두 강한 시대감을 갖고 있으며 지역의 소비경향을 반영하고 있다. 사람들의 소비수준과 품위유지수준이 높아지면서 상업적 속성을 지닌 패션 연출 공간이 상품 판매에 있어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여주는 공간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의미에서 보면 공공공간으로서 문화, 예술, 미(美)를 전파하는 책임을 갖게 되었다. 오늘날 소비자는 더이상 단순히 쇼핑을 목적으로 쇼핑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여가를 즐기면서 문화, 예술, 미적 감각의 공간 속에서 쇼핑에서 얻는 즐거움을 체험한다. 따라서 패션 연출공간의 디자인은 시대감과 스타일의 특색을 강조해야 할 뿐만 아니라 더욱 강한 예술적 감화력을 갖춰야 한다. 본문에서는 이론 및 사례 연구를 통해 설치 미술 형태의 4가지 중요한 특징을 연구했는데, 그 4가지는; ...
TAG 패션 연출 공간, 설치 미술 형태, 예술관념, 패션 문화 관념, 패션브랜드, Fashion communication space, Installation art form, Art concept, Fashion culture idea, Fashion brand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