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새국어교육1904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서사적 이미지의 작용 방식 이해를 위한 서사교육의 내용 연구
선주원 ( Seon Ju Wo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7~38페이지(총32페이지)
목적:이 글은 서사물에서 언어적 서술이나 그림을 통해 구현된 서사적 이미지의 작용 방식을 살펴보는 것이 이미지의 다중적 의미 구현을 타당하게 해석하는 방도가 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방법:언어적 서술이나 그림을 통해 구현된 서사적 이미지에 초점을 두어 그 작용방식을 살펴보았다. 결과:소설에 나타난 언어적 이미지화에 의해 작중인물의 무의식과 억압의 변형 표현, 서술자가 특정하게 보는 방식 구현, 숨겨진 것의 가치 구현 등이 이루어짐을 살펴보았다. 결과:그림책에 나타난 도상적 이미지화에 의해 시선을 통한 주체적인 의미 생산이 이루어짐을 살펴보았다. 결론:서사적 이미지의 작용 방식을 학생들이 이해하고 해석하여 그것을 실제 삶과 연계하는 ‘수용과 생산’을 위한 서사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TAG 서사적 이미지, , 의미 구현, 작용 방식, 서사교육 내용, 자아 성장, Narrative Image, Imagination, Meaning Implementation, Way of Action, Narrative Teaching content, Self-Growth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구체화 방안
이수진 ( Lee Soo Ji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40~67페이지(총28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개념과 필요성을 밝히고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구체화 방향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방법:이를 위해 매체 문식성, 디지털 리터러시, 국어과 영상 교육에 관련된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구성요소와 필요성을 설정하고,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반영된 관련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본질적, 도구적 성취기준으로 범주화하였다. 결과:교육과정 분석과 이론 연구를 통해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내용 선정 기준으로 목적, 장르 특성, 능력 구성 요소를, 활동 스펙트럼으로 준비, 제작, 소통 및 성찰 활동을 제안하였다. 결론:성취기준 성격과 학교급별 특성에 따라 영상서사 표현교육의 내용과 활동을 차별화할 수 있다. 낮은 학년군, 도구적 목표의 영상서사 표현교육에서는 창의적이고 쉬운 영상물 제작 경험이나 준비 활동을 통해 윤...
TAG 영상서사 표현, 본질적 성취기준, 도구적 성취기준, 영상서사 표현교육 내용, 영상서사 표현교육 활동, visual narrative expression, essential achievement, instrumental achievements, visual narrative expression education’s contents and activities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화법교육 방향-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김윤옥 ( Kim Yun Ok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67~90페이지(총24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화법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인 의사소통 관점에서 자기표현의 의미를 탐색하고, 화법에서 자기표현 능력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재 분석을 통하여 자기표현의 교육 현황을 고찰하고 초등학교 저학년 담임 교사 4명을 대상으로 학생들의 의사소통 실태와 지도 방법에 대해 설문 조사하고 면담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그 결과 현행 교육과정에서도 자기표현을 교육하고 있었으나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에서는 바르고 고운 말 사용에 대한 교육 내용이 많았다. 교사들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의사소통에서 자기표현이 중요함을 알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생각과 감정 표현의 방법으로 ‘나-전달법’을 지도하고 있었다. 결론:자기표현 능력 향상을 위한 화...
TAG 화법 교육, 의사소통, 자기표현, 감정 표현, 나 전달법, Speaking-Listening Education, Communication, Self-Expression, Emotions-expression, I- message
기초학력으로서 문식성의 범주와 수준 탐색
이경남 ( Lee Gyeong Nam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91~113페이지(총23페이지)
목적:본 연구는 기초학력의 내용으로서 문식성의 필요성을 범주와 수준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기초학력과 관련된 교육 정책과 논의를 분석했다. 이를 바탕으로 문식성의 범주와 수준을 제안하였다. 기초학력으로 읽기와 쓰기는 문식성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단순히 글자를 알고 쓰는 능력 만으로는 교과 학습과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데 한계가 있으므로 문식성 수준을 기초학력의 내용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결과:연구 결과로 초등학교, 중학교에 필요한 기초학력으로서 문식성의 수준은 서사, 설명체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 이해와 표현 능력을 제안했다. 이해는 글의 내용을 명시적, 추론적으로 이해하고 매체 이해 능력까지 고려했고 표현은 짧은 글쓰기, 생각을 글로 표현하는 능력을 제안했다. 결론:기초학력에 대한 논의는 사회적으로 점차 확장될 것이다. 기초학력의 내용과 수준에 대한 ...
TAG 기초학력, 문식성, 읽기 교육, 쓰기 교육, 학습 부진, Basic academic, Literacy, Reading instruction, Writing instruction, Struggling learner
고등학생 읽기부진 진단을 위한 추론적 이해 검사 도구 개발 연구
서지영 ( Seo Ji Young ) , 박영민 ( Park Young Min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115~144페이지(총30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고등학생 읽기부진 학습자 진단 도구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추론적 이해 능력을 구성하는 6개의 하위 구인들을 설정하고 낮은 능력 수준의 학습자에게 적합한 검사 문항 32개를 개발하였다. SPSS ver. 26과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Angoff 방식을 활용하여 기준점수를 설정하였다. 결과:고등학교 1학년 30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1)신뢰도 .858, 2)난도 -1.922(.717), 3)변별도 1.434(.544)로 나타났다. 검사 정보곡선에서는 능력 수준이 -2일 때 검사 정보가 가장 높고 능력 수준 1 이상에서는 정보의 양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결론:이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 도구가 읽기부진 학습자의 읽기 이해 능력 측정이라는 검사 목적에 부합함을 알 수 있다. 이를 토대로 읽기부진 학습자에...
TAG 읽기 능력, 추론적 이해 능력, 읽기 이해 능력 검사, 읽기부진, 읽기부진 진단, reading ability, inferential comprehension ability, reading comprehension test, poor reading, diagnosis of poor reading
독자 현존재의 텍스트 이해 특성 고찰
김도남 ( Kim Do Nam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145~180페이지(총36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하이데거의 현존재 논의를 토대로 독자의 텍스트 이해를 탐구한다. 방법:하이데거는 <존재와 시간>에서 존재자, 존재, 현존재의 관계를 논의한다. 존재자는 사람을 둘러싸고 있는 대상이고, 존재는 존재자의 본질 속성이다. 현존재는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 아는 사람이다. 이때 현존재는 존재자와 존재를 공속한다. 이는 현존재가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 아는 것은 자기 존재를 드러내 아는 것임의 함의한다. 이는 현존재가 존재자의 존재를 밝혀 안다면 자신을 알게 된다는 뜻이다. 독자의 텍스트 읽기는 현존재가 존재자와 존재를 공속하는 것과 유사하다. 결과:텍스트는 존재자고, 텍스트의 본질 의미는 존재이며, 독자는 현존재이다. 즉, 독자가 텍스트를 이해하고 자신을 아는 것은 함께 이루어진다. 텍스트에 대한 독자의 이해는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이다. 독자의 텍스트 이해는 ...
TAG 읽기, 독자, 독자 현존재, 현존재, 자기 이해, Reading, Reader, Dasein, Reader Dasein, Self-understanding
반응의 차이 공유를 통한 시 감상 소통 수행 양상-누빔점(Quilting Point)을 통한 의미 생성을 중심으로-
박용우 ( Park Yong Woo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181~214페이지(총34페이지)
목적:학습독자가 시를 감상하고 가지게 되는 누빔점과 학습독자 간의 반응의 차이 공유를 통한 소통 수행의 가능성을 논의하는 데 있다. 방법:누빔점의 개념과 시 감상 소통과의 접점, 클라우드 문서 도구를 활용한 소통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후, 소통 중심의 교수ㆍ학습 방법을 구안 및 적용하였다. 결과:교수ㆍ학습 현장에서 시 텍스트를 만나는 독자의 누빔점을 파악함으로써, 그리고 누빔점이 학습독자의 감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학습독자의 감상 방식 혹은 학습독자에게 적절한 교수적 접근을 판단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누빔점은 시를 통해 다른 학습독자와 소통할 수 있는 ‘차이’의 지점을 제공한다. 결론:라캉의 누빔점 논의를 활용하여 시를 감상할 때 느껴지는 첫인상은 학습독자의 주체적인 감상을 위한 감상의 재료이자 소통의 재료로 쓰일 수 있다. 또한, 반응의 차이...
TAG 반응, 차이, 공유, 시 감상, 소통, 누빔점, response, difference, sharing, poetry appreciation, communication, quilting point
공간생산론을 활용한 문학교육 방법 연구
이근영 ( Lee Geun Yeong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215~240페이지(총26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활용하여 문학교육의 방법을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방법:이를 위해 공간의 역동성을 강조한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이론적 근거로 삼았다. 공간생산론이란 공간이 가진 잠재적 역동성에 주목한 이론이다. 또한, 사회적 공간을 구성하는 세 가지 계기인 ‘공간적 실천’, ‘공간 재현’, ‘재현 공간’에 각각 ‘지각공간’, ‘인지공간’, ‘체험공간’을 대응시켜 공간의 유형을 구분하고, 이를 활용한 문학교육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결과:이 연구는 문학교육이 학습자들의 체험공간을 기초로 하여, 인지공간과 지각공간의 관계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론적으로 확인하였다. 결론: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론을 활용한 문학교육의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문학교육을 새롭게 사유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학습자들이 교실 공간의 주도권을 가지고 수...
TAG 문학수업, 교실 공간, 앙리 르페브르, 사회적 공간, 공간의 생산, Literature Education, classroom space, Henri Lefebvre, social space, production of space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한 국어과 자기 성찰ㆍ계발 역량 단원 설계
유정오 ( Ryu Jung O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241~274페이지(총34페이지)
목적: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하여 국어과 자기 성찰ㆍ계발 역량 단원을 설계하는 것이다. 방법:먼저 백워드 설계 모형의 개념과 특징을 탐색한다. 이어서 백워드 설계 모형의 3단계 절차(1단계:바라는 결과 확인하기, 2단계: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3단계:학습 경험 계획하기)를 탐색한다. 이를 바탕으로 국어과 교육과정 분석 후, 백워드 설계 모형에 기반한 국어과 자기 성찰ㆍ계발 역량 단원을 설계한다. 마지막으로, 초등교육전문가 11인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단원 설계(안)에 대한 타당도 검증을 위한 설문 조사를 시행한다. 결과:백워드 설계 모형이 추구하는 철학인 학습자의 ‘진정한 이해’에 도달하기 위하여 백워드 설계 모형 이론을 바탕으로 국어과 자기 성찰ㆍ계발 역량 단원을 설계한다. 설계(안)에 대한 타당성 검증 설문 결과 CVR 값이 모든 평가 기준 항목에서 기준치...
TAG 백워드 설계, 국어과 교육과정, 이해중심 교육과정, 단원 설계, 자기 성찰ㆍ계발 역량, Backward design, Korean language education curriculum, Understanding by design, Unit design, Self-reflectionㆍdevelopment competency
광고를 활용한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 방안
진솔 ( Jin Sol )  한국국어교육학회, 새국어교육 [2021] 제126권 275~305페이지(총31페이지)
목적:이 연구는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에서 광고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구안하는 데에 있다. 방법:비주얼 리터러시의 개념과 시각 이미지로서 광고의 특성을 고찰한다. 이를 바탕으로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의 의의를 밝힌 뒤 광고를 활용한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결과: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에서 광고의 활용 방안에는 ‘텍스트 없이 광고 이미지 전략을 보고 상상하기’, ‘이미지와 텍스트의 은유적 표현 해석하기’, ‘친숙한 소재를 활용하여 공익광고 만들기’, ‘동일한 주제의 광고에 대해 소통하며 비교하기’가 있다. 결론:현대사회의 다양한 매체를 통해 받아들이는 시각 이미지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광고가 주는 설득적 이미지를 활용한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은 함축적이고 친숙한 소재를 활용한 은유적 표현 등을 파악하는데 수월하고 상상력을 촉진하는 교육이 될 수 있다.
TAG 비주얼 리터러시 교육, 이미지, 광고, 은유적 표현, 상상력, 소통, Visual Literacy Education, Image, Advertising, Metaphor Expression, Imagination, Communication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