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문학교육학회82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부모화된 청소년의 탈부모화를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 설계 - <바리데기> 설화를 바탕으로 -
김효현 ( Kim Hyeo-hyoun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21] 제70권 9~38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바리데기> 설화를 바탕으로 부모화된 청소년이 과하게 부과된 부모화 역할에서 벗어나 자아 분화를 이룰 수 있도록 돕는 문학치료적진단과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바리데기> 설화는 부모화된 청소년이 스스로 자기서사를 탐색하여 진정한 자아를 찾고 건강한 자기서사로 변화하게 만드는 문학치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설화이다. 본 문학치료 프로그램은 <바리데기> 설화를 바탕으로 바리데기가 부모와의 관계를 어떻게 형성하고 위기를 극복하며 회복하고 있는지서사의 진행 과정을 따라가면서 참여자의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을 전망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에 <바리데기> 작품서사를 따라가면서 참여자의 내면에있는 자기서사가 서로 감응하여 진정한 자아를 찾을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참여자들은 <바리데기> 설화를 통해 연민과 공감의 문학적 치유과정을 겪으면서 자신을 객...
TAG 부모화 경험, 탈부모화, 문학치료, <바리데기>, 문학치료 프로그램, 자아 분화, 작품서사, 자기서사, parentification, deparentification, literature therapy, Baridaegi, therapeutic literature program, self-differentiation, the epic of self, the epic of literary work
문학 교육과정의 보완 방향에 대한 이론적 접근 연구 - 루만의 ‘관찰’ 개념이 가지는 의의를 중심으로 -
민재원 ( Min Jae-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21] 제70권 41~69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현행 문학 교육과정이 학습자들의 실제 문학 활동을 견인하는 데에 더욱 적극적인 방법을 취할 수 있는 보완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루만의 ‘관찰’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하여 예술로서의 문학을 향유하는 것이 가지는 의의를 살피고자 하였다. 그 결과 개별 작품에 대한 관찰로부터 시작하는 문학 활동은 그 관찰이 필연적으로 수반하는 맹점에 대한후속 커뮤니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생산함으로써 유지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현행 문학 교육과정의 핵심 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을 검토한 결과 현행 문학 교육과정은 문학을 규정하고 이를 전달하고자 하는 데에 적합한 방식을 취하고 있어 학습자들 사이에 후속 커뮤니케이션을 발생시키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점을 보일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보완 방향으로 본 연구는 핵심 개념의 ...
TAG 문학 교육과정, 문학 활동, 관찰, 후속 커뮤니케이션, 규정, 規定, 추진, 推進, curriculum of literature education, literature-activity, observation, consequent communication, regulation standpoint, promotive standpoint
대학생의 연인관계 증진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엄희수 ( Om Hee-soo ) , 박현주 ( Park Hyun-ju ) , 석미경 ( Sok Mi-kyong ) , 조은상 ( Cho Eun-sang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21] 제70권 71~110페이지(총40페이지)
이 연구는 대학생 연인관계 증진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이다. 특히 성인초기의 발달과업인 친밀감에 주목하여, 대학생들이 연인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을 도울 수 있는 설화를 선정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알아보고 구성 요소를 추출하기 위해 대학 상담 전문가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대학생들이 허구서사를 통해 이러한 어려움들을 경험해보고, 상상하고, 삶과 통합해 볼 수 있도록 문학치료 프로그램의 구성 원리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인관계의 어려움을 다룰 수 있는 작품으로 <상사뱀> 설화를 선정하여, 각편들을 모아 크게 세 장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앞부분에는 친밀한 관계 맺기를 두려워하는 내용이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이후 인물의 행동에 따라 관계 맺기에 실패하고 좌절하거나 두려움을 극복...
TAG 성인초기, 대학생, 문학치료, 집단 프로그램, 상사뱀 설화, 연인관계, early adulthood, university students, literary therapy, group program, sangsa-snake tales, romantic relationship
문학교육의 성격에 대한 일고 - 공학적 설계와 생태학적 실현 사이 -
류수열 ( Ryu Su-yeol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21] 제70권 113~139페이지(총27페이지)
이 글은 문학교육의 성격상 그 설계는 공학적이고 그 실현은 생태학적이라는 점을 밝히는 데 목적을 둔 소묘적인 에세이에 해당된다. 학습자의 성장이라는 뚜렷한 목적을 염두에 두고 교육과정, 교재 및 교수ㆍ학습이 효율성을 추구하면서 전략적 기획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문학교육은 문학공학적 성격을 지닌다. 그런가 하면 학습자들에게 제공되는 문학작품들이 갈래, 시기, 성향 등등의 측면에서 기우뚱한 균형을 취하면서 공존한다는 점에서 문학교육은 문학생태학적인 성격을 지니기도 한다. 이를 통해 우리는 문학교육이 학습자의 성장을 중심에 둔 실천이 긴요하다는 점, 그리고 문학 작품의 교수ㆍ학습이 작품 전체의 이해와 감상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점을 시사 받을 수 있었다.
TAG 문학교육의 성격, 문학공학, 문학생태학, 학습자의 성장, 문학 생태계의 건강, the nature of literary education, literature engineering, literature ecology, the growth of learners, health of the literature ecosystem
실제 독자 독서토론의 가능성과 문제점, 그리고 대응 방안 - ‘한 학기 한 권 읽기’ 수업을 중심으로 -
김영란 ( Kim Young-ran ) , 정재림 ( Jeong Jai-rim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20] 제69권 9~49페이지(총41페이지)
본 연구는 ‘한 학기 한 권 읽기’가 촉발하는 여러 과제 중 학생들이 문학텍스트를 읽고 생각을 나누는 과정에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작품을 읽고 토론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대응이 필요한 지점들을 살펴 대응전략을 탐색하며, 이런 대응전략을 갖추려면 예비교사 교육에서 무엇이 더 필요한지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김애란 장편소설 <두근두근 내 인생>에 대한 독서토론을 중심으로 하여, 실제 독자의 반응과 해석에서 긍정적 측면과 가능성, 문제점과 한계를 살펴보고 이를 해결할 교사의 대처 방안을 탐색하였다. 실제 독자에게 확인되는 가능성으로 ‘텍스트에 기반하여 반응과 해석의 근거를 찾는다’, ‘독자의 신념, 경험, 상황에 비추어 반응과 해석을 내놓는다’, ‘토론에서 동료의 반응과 해석을 접하며 텍스트 이해가 심화·확장되었다’, 문제점으로 ‘독자...
TAG ‘한 학기 한 권 읽기’, 김애란 <두근두근 내 인생>, 실제 독자, 독서토론, 수업혁신, ‘Reading One Book in A Semester’, Kim Aeran My Brilliant Life, actual reader, book discussion, innovative instruction
성장의 관점에서 본 질문 중심 문학교육의 의미 탐색
김남희 ( Kim Nam-hee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20] 제69권 53~84페이지(총32페이지)
교육은 본질적으로 성장을 중핵으로 하는 행위이지만, 그 중에서도 특히 문학교육은 학습자 개인의 성장에 가장 적극적으로 관여할 수 있는 영역이다. 성장이란 학습자가 삶의 맥락과의 관계 맺기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고 그 의미를 지속적으로 증폭해 가는 과정이기 때문이다. 이때 성장에 작용하는 의미란 자기 자신, 그리고 세계의 양항에 걸쳐 있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성장의 관점에서 볼 때, 문학교육은 문학 텍스트를 매개로 세계의 타자성을 경험하게 하는 의미 구성 과정에 주목하여야 하는데, 질문, 특히 학습자 스스로 생성하는 질문이야말로 이 의미 구성 과정을 추동하는 중요한 매개가 될 수 있다. 사실 문학교육의 현장에서도 질문의 중요성이 부각된 지는 오래다. 2015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학습자가 작품에 대한 질문을 만들고, 함께 답을 찾아가는 대화...
TAG 문학교육, 학습자, 성장, 경험, 질문, literature education, learner, growth, experience, question
‘도야(Bildung)’ 개념의 역사적 전변과 미적도야
문장원 ( Moon Jang-won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20] 제69권 85~116페이지(총32페이지)
본고에서는 교육에서 자주 운위되지만 포괄적이면서 모호한 의미역을 갖는 ‘교양’ 개념의 기원과 역사적 전변을 살펴보았다. 이 개념의 기원인 ‘Bildung’은 13세기 독일 신비주의에서 태동한다. Bildung은 개별 인간에 내재된 신의 형상을 완성하기 위한 체험, 태도 등을 강조하는 신학적 개념으로 공통소양, 혹은 지식을 지시하는 교양보다 ‘도야’라는 개념에 더 가깝다. 도야의 신학적인 이상을 인간적 도야의 개념으로 정초한 이는 칸트이다. 그는 계몽을 ‘인간의 자기도야’로 정식화했지만 동시에 개별성/사회성의 조화를 ‘법(국가)에의 순응’으로 대치시킨다. 한편 실러의 경우 ‘국가’를 ‘예술’로 대체하며 칸트의 도야론을 ‘미적도야’의 기획으로 발전시켰으나 예술의 자율성에 대한 소박한 낙관, 이상적인 예술과 독자 사이의 간극 등의 한계를 보였다. 훔...
TAG 빌둥, 도야, 미적도야, 교양, 칸트, 실러, 훔볼트, 딜타이, bildung, doya, 도야, aesthetic education, liberal arts, Kant, Schiller, Humboldt, Dilthey
문학 텍스트 ‘읽기 전 활동’ 구성에 관한 소론
박수민 ( Park Soo-min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20] 제69권 117~138페이지(총22페이지)
본 논문은 문학 텍스트 ‘읽기 전 활동’을 구성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원리를 논의한다. 최근 문학 교과서를 보면 개별 문학 텍스트에 관한 ‘읽기 전 활동’이 부재하거나 소략하다. 이것은 문학 읽기는 특수하여 독서교육의 ‘읽기 전 활동’ 전략이 효과적이지 않거나 오히려 역효과라는 생각에서 비롯하는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교수·학습 비계 없이 작품과 학생을 독대시키는 것은 문학 읽기 과정을 신비화하는 일일 수 있다. 독서교육의 ‘읽기 전 활동’ 전략 중 아쉬운 점이 있다면, 해당 교수·학습 장치를 문학 교과서에서 배제하기보다 문학 읽기의 특수성을 고려한 ‘읽기 전 활동’을 모색하는 일이 필요하다. 본고는 그 기초작업으로 현대소설, 현대시에서 장르와 제재를 중심으로 한 ‘읽기 전 활동’ 구성원리를 제안한다. 이를 통해 ‘읽기 전 활동’에 관한 문학교육학적 논...
TAG 문학 교과서, 읽기 전 활동, 단원 체계, , 소설, 장르, 텍스트 내적 요소, 시성, 너와 나만의 시간, 모닥불, literature textbook, pre-reading activity, unit system, novel, poetry, genre textual element, poeticity, Time for You and Me, Bonfire
박완서 노년소설의 교육적 활용 연구
박수현 ( Park Soo-hyun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20] 제69권 139~169페이지(총31페이지)
이 논문은 박완서의 노년소설을 통해 노년의 인식 변화와 특유의 심리를 파악하고 그 교육적 가능성을 타진한다. 노년 인물은 젊은 날을 회상하며 물욕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자신의 본색을 초연하게 통찰하고, 물욕을 인간의 생래적 굴레이자 근원적 조건으로 인식한다. 또한 성을 자연 그대로의 것이자 안타깝고 아름다운 것으로 바라보고, 인습적 도덕과 세상의 시선을 사소한 것으로 치부한다. 이는 이상주의와 이분법적 사고에 경도된 청소년, 성에 대한 과도한 죄책감과 피해의식을 느끼는 청소년에게 새로운 시각과 시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박완서의 노년소설은 노년의 공허와 불안을 핍진하게 묘사하는데, 이는 노년 특유의 공허와 불안에 대한 심리학적 교육 가능성을 마련한다. 이로써 청소년은 노인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당면 문제에 관해 확장된 인식 지평에서 새로운...
TAG 박완서, 노년소설, 물욕, , 공허, 불안, 문학교육, Park Wan-seo, old age novel, material greed, sex, emptiness, anxiety, literature education
‘상상된 공감’을 통한 젠더 감수성 함양 - <규원가>와 <꿈꾸는 새>를 중심으로 -
박지영 ( Park Ji-yeong )  한국문학교육학회, 문학교육학 [2020] 제69권 171~196페이지(총26페이지)
한국 사회는 그 어느 때보다 ‘젠더’라는 단어에 민감해져 있다. 일반적으로 젠더란 생물학적 성과는 다른 사회적·문화적으로 내면화된 성별 규범을 일컫는 말이다. 젠더화된 사회는 남성과 여성 사이에 위계질서를 만들고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인간 주체로 살아가기 힘든 가부장적 구조를 더욱 견고히 한다. 젠더 간의 갈등은 억압과 차별 그로 인해 생기는 고통을 인지하지 못하면서 벌어진 간극으로부터 비롯된다. 따라서 젠더 감수성을 함양하는 것은 성별 간의 불평등을 감지하고 인지하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이는 타인의 고통을 인정하고 이해하는 자기반성적 태도를 취하는 것과 같다. 공감은 타인을 이해할 수 있는 감정적 능력이다. 이러한 공감의 감각은 타인이 자신처럼 내면적 감정을 지니고 있다는 상상이 필요하다. 문학작품을 읽어보는 것은 경험하지 못한 이들에게 타인의 삶에...
TAG 젠더 감수성, 가부장제, 상상된 공감, 규원가, 꿈꾸는 새, gender sensitivity, patriarchal system, imagined empathy, < Kyuwonga >, <규원가>, < Kkumkkuneun-sae >, <꿈꾸는 새>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