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작문학회41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2015 개정 국어 교육과정에 따른 과정 중심 작문 평가 방안 - 프로토콜을 중심으로
박혜림 ( Park Hyerim )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021] 제48권 7~33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과정 중심 작문 평가의 구체적인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과정 중심 평가의 취지를 잘 드러내면서도 국어과의 성격에 부합하는 평가 방법으로 프로토콜에 주목하였다. 프로토콜은 쓰기 과정의 사고를 기록하거나 해석한 자료로 쓰기 결과물인 텍스트와 더불어 평가의 자원으로 기능한다. 프로토콜을 활용함으로써 텍스트와 그에 대한 필자의 사고를 연계하여 평가할 수 있다. 개별 필자의 쓰기 수행 특성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교사와 학생의 평가 담화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쓰기 학습 요소가 필자의 쓰기 과정에 어떻게 드러나는지 평가함으로써 교수·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프로토콜을 활용한 과정 중심 평가는 프로토콜의 생성과 분석으로 이루어 진다. 프로토콜의 생성 주체와 성격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프로토콜 생성이 가능하다. 일차적 해석 자...
TAG 2015 국어 교육과정, 쓰기 평가, 과정 중심 평가, 프로토콜, 평가 담화,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writing assessment, process-oriented assessment, protocol, assessment discourse
작문 평가를 위한 잠재의미분석 방법론 탐색
신선희 ( Shin Seon-hi )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021] 제48권 35~59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마이닝과 정보검색 분야에서 그 기량을 인정받고 있는 인공지능-기반 잠재의미분석 방법인 LDA와 CTM을 한글로 쓰여진 문서들에 적용해 보고 그 기능을 임상적으로 검증해 보았다. 연구 결과, Gibbs sampling 추정 방식을 사용하는 LDA는 높은 정확도로 한글 말뭉치의 심층적인 의미구조를 찾아 유사한 의미구조를 가진 문서들을 동일한 주제군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한편 본 연구는 확률적 잠재의미분석 방법들이 어떻게 국작문 평가를 위한 효과적인 분석 툴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AG 확률적 잠재의미분석, LDA, CTM, 기계학습, 자연어처리, Probabilistic latent semantic analysis, machine learning, NLP
Python GUI 기반 학생 글 채점 연습 프로그램의 구성과 활용
박영민 ( Park Youngmin )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021] 제48권 61~91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교사의 작문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서 Python의 GUI를 기반으로 학생 글 채점 연습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데 있다. 이 연습 프로그램은 ⑴ 데이터 세트 불러오기, ⑵ 학생 글 주제 선택, ⑶ 학생 글 제시, ⑷ 채점 점수 입력, ⑸ 입력 점수와 데이터의 비교, ⑹ 입력 점수의 적절성 판단 결과 출력, ⑺ 학생 글 채점 종료, ⑻ 연습 과정 종료, ⑼ 연습 결과 출력의 단계적 알고리즘을 따르도록 구성되었다. 단계 ⑺에서는 ⑶으로 되돌아갈 수 있고(반복 ①), 단계 ⑻에서는 단계 ⑵로 되돌아갈 수 있다(반복 ②). 이 채점 연습 프로그램의 화면은 ‘안내 설명’, ‘예비 연습’, ‘환경 설정’, ‘총점 채점’, ‘부분 채점’, ‘연습 결과’의 요소로 구성되었다. 이 화면 구성 요소 중 앞의 알고리즘을 따르는...
TAG 학생 글 채점, 채점 연습 프로그램, Python GUI 기반, 국어교사 전문성, Assessment of students’ writing, Program for practicing writing assessment, Python GUI, Specialization of Korean Language teachers
쓰기에서 자기평가 교육 내용 연구
양경희 ( Yang Kyounghee )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021] 제48권 93~116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자기평가의 교육적 가치를 바탕으로 쓰기를 위한 자기평가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쓰기 교육에서 자기평가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쓰기에서의 자기평가를 ‘학습자가 쓰기 전(全) 과정에서 쓰기 수행을 진단하고 문제를 파악하여 쓰기 수행의 긍정적 변화를 위해 필요한 정보를 수집한 후 이를 피드백을 위한 정보로 정련하는 일련의 성찰적 행위’로 규정하고 자기평가의 과정을 준거의 적용, 반성적 성찰, 결과의 정보화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자기평가 이해하기’, ‘자기평가하기’라는 교육 단계와 지식(아는 것)과 기능(하는 것)을 범주로 하는 교육 내용 체계를 마련하고 교육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쓰기에서 학습자의 자기평가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줌과 동시에 구체적인 교육의 방향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TAG 자기평가, 쓰기 자기평가 준거, 반성적 성찰 준거, 쓰기에서 자기평가 과정, self-assessment, self-assessment standard in writing, reflective standard, process of self-assessment in writing
비교하며 읽기와 제안서·비평문 작성을 활용한 독서토론 수업 모형 연구
박소영 ( Park Soyoung )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021] 제48권 117~160페이지(총44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독서토론의 이전과 이후 단계에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다양한 관점을 획득할 수 있도록 돕는 새로운 보완 활동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효과성 분석을 하는 데 있다. 이에 본고는 COVID-19 상황에 대응하는 동시에 ‘소통’, ‘토론’, ‘공동체’, ‘디지털’과 같은 제3차 독서문화진흥 중점과제의 추진전략을 반영한 독서토론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수업 모형은 1단계 ‘비교하며 읽기’, 2단계 ‘제안서 작성’, 3단계 ‘온라인 독서토론’, 4단계 ‘비평문 작성’으로 구성된다. 1단계에서는 두 도서의 일치되거나 대립되는 의견을 검증하고 평가하면서 학습자의 가치관이 정립될 수 있도록 돕는다. 2단계는 사적인 문제 상황과 공적인 문제 상황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인식하고, 논쟁거리에 대한 입장과 근거를 ...
TAG 독서토론, 비교하며 읽기, 제안서, 비평문, 온라인, 공동체, 소통, 디지털, reading discussion, comparative reading, proposal, critique, online, community, communication, digital
산수유기(山水遊記)의 전통에서 본 기행문 쓰기교육
주재우 ( Joo Jaewoo )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020] 제46권 7~33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는 학교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기행문 쓰기 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근대 초기 작문 이론서에서 다루고 있는 기행문 쓰기의 교육 내용과 중세의 기행문이었던 산수유기의 전통을 살펴보았다. 근대 초기 작문이론서에서는 현재 기행문 쓰기에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여정·견문·감상이라는 내용 요소에 대한 단순한 지적보다는 기행문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나타나 있음을 확인했다. 중세의 산수유기의 전통은 자신 또는 친구를 대상으로 하는 사적인 글쓰기이면서 여행 중 보고 들은 바를 인멸되지 않도록 기록한다는 기록 정신의 산물임을 확인했다. 여행 중 체험한 미적 체험뿐 아니라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사실을 기록으로 남기고자 했다. 여행 중 얻은 깨달음은 산수에서 일상으로 유사성 찾기, 대상을 통한 자기 이해로서의 성찰, 독서 경험과의 ...
TAG 산수유기, 기행문, 쓰기교육, 읽고 쓰기, 매체 표현 교육, Travel Essay, Essay on Landscapes, 山水遊記, Writing Education, Reading and Writing, Expression Education using media
저자의 고유성 강화를 위한 글쓰기 교육의 의의와 방향
이재기 ( Lee Jae-ki )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020] 제46권 35~70페이지(총36페이지)
글쓰기 교육은 수사적 맥락을 구성하는 요인 중에서 저자, 특히 저자의 고유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새로운 글쓰기는 저자의 고유성을 강조할 때 가능해진다고 보고, 저자고유성의개념, 저자의 고유성을 지향하는 글쓰기교육의 의의와 접근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고유성은 ‘절대적으로 다른 것’으로서, 공간적으로 삶의 모든 층위에 존재하며, 시간적으로 전 생애에 걸쳐서 발현된다. 저자의 고유성을 강조할 때, 글쓰기 교육 중심에 전략이나 기능이 아닌 저자를 세우게 될 것이며, 이때 글쓰기 교육은 학생 저자의 자아실현과 자아 창조를 돕는 활동으로 재인식될 것이다. 저자의 고유성을 강조하는 글쓰기 교육에서 중요한 활동은, 1)고유성의 가치를 인식하고 내면화하도록 돕는 일, 2)고유성을 발견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표명하도록 격려하는 일, 3)...
TAG 고유성, 낭만주의, 맥락, 쓰기, 저자, author, context, romanticism, uniqueness, writing
상관계수를 활용한 텍스트 응집성 산출 방안 연구
길호현 ( Kil Hohyun )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020] 제46권 71~101페이지(총31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의 응집성을 수량화하기 위해 텍스트에 사용된 명사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대규모 말뭉치에서 구하여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세종 말뭉치 전체를 대상으로 형태소 분석을 실시하고 명사를 추출하여 대규모 명사 DTM을 구축하였다. 이렇게 구축된 자료는 각 단어사이의 상관계수를 산출하는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되었다. 단일 텍스트의 응집성을 지표화하기 위해 각 텍스트에 사용된 개별 명사들 사이의 상관계수를 대규모 명사 DTM에서 구한 후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이렇게 구한 평균 상관계수가 텍스트의 응집성을 드러내는지 판단하기 위해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응집성 관련 수정 사항이 제시된 텍스트 7개를 선정하여 수정 전과 수정후의 명사 간 상관계수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응집성을 개선하기 위해 수정을 한 텍스트의 상관관계 평균값이 통계적...
TAG 응집성, 상관계수, 텍스트, 말뭉치, 작문 교육, 독서 교육, coherence, correlation, text, corpus, composition education, reading education
재맥락화 중심 장르 교육을 위한 시론
유상희 ( Ryu Sanghee )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020] 제46권 103~140페이지(총38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장르 교육에서 교수적 실천(pedagogical practices)의 분석틀을 제안하고, 기존 장르 교육을 보완하기 위해 재맥락화 중심의 장르 교육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Bernstein의 분류화와 프레이밍의 개념을 바탕으로 교수적 실천의 분석틀을 세우고, 선행 장르 교육을 각 장르의 형식적, 표현적 특성을 강조한 강한 분류화와 강한 프레이밍의 교수적 실천과, 학습자의 작문 맥락 분석을 중심으로 장르 인식을 강조한 약한 분류화와 약한 프레이밍의 교수적 실천으로 경향성을 분석했다. 나아가 이 연구는 기존 장르 교육을 연계하고 보완하기 위해 재맥락화 중심 장르 교육 방안을 탐색했다. 재맥락화 중심 장르 교육은 학습자가 작문 맥락을 분석하고 기존에 학습한 작문 지식이나 기능을 필요에 따라...
TAG 장르 교육, 교수적 실천, 분류화, 프레이밍, 재맥락화, 전이, 사고도구어, genre instruction, pedagogical practices, classification, framing, re-contextualization, transfer, academic vocabulary
글쓰기 교육에 정동(affect)이 갖는 함의에 관한 고찰 - 글쓰기 앱 ‘씀’ 사용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강연진 ( Kang¸ Yeonjin )  한국작문학회, 작문연구 [2020] 제45권 7~44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정동’이라는 철학적 개념이 글쓰기 교육에 가져다 줄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운동성, 물질성, 우연성, 비인격성, 관계성을 강조하는 정동은 기호적, 의미적으로 해석된 정서에서 벗어나는 새로운 관점으로 감정의 양태에 대해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교육과 문식성 분야에서는 정동을 통해 주변과 지속적으로 접촉하면서 새로운 존재가 되어가는 학습자와 필자에 관심을 가지는 변화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글쓰기 앱 ‘씀’ 사용자인 현준의 ‘시인-되기’의 경험을 사례로 정동적 선회가 글쓰기와 글쓰기 교육에 줄 수 있는 함의를 제시하였다. 정동은 글쓰기를 필자가 자신을 둘러싼 타자들과의 공-동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함께 ‘무엇-되기’를 해나가는 수행으로 볼 수 있게 한다. ‘되기’의 과정으로 글쓰기를 볼 경우, 글쓰...
TAG 정동, 생성과 되기, 글쓰기 경험, 수행, affect, becoming, writing experience, performan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