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62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사회적 삼위일체론(social trinitarianism)에 대한 신학적 비판과 보완 ― 토마스 토렌스(Thomas Torrance)의 그리스도 중심적 삼위일체 이해를 중심으로
김학봉 ( Kim Hakbong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21] 제62권 7~46페이지(총40페이지)
본 논문은 토마스 토렌스의 그리스도 중심적 삼위일체 이해와 이것이 지닌 실천성에 대해 연구한다. 토렌스는 교부들의 용어인 호모우시온과 페리코레시스 안에서 삼위일체 하나님의 인격적이며 관계적 존재와 삶을 발견한다. 삼위일체 하나님의 인격성과 관계성은 구원 경륜 안에서 우리에게 알려졌고 참여 가능한 상태가 되었기 때문에 토렌스에게 그리스도는 하나님에 대한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축이며 삼위일체의 친교에 참여할 수 있는 존재론적 핵심으로 인식된다. 토렌스에게 삼위일체 신학이 함의하는 실천성은 그리스도와의 연합에 기초한다. 아버지와 성령과 동일본질이며 상호 내주적 관계들 안에 있는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과 화해되고, 존재론적 변혁, 즉 인격화를 경험한다. 토렌스에게 성육신은 그리스도 안에서 우리의 죄악 되며 왜곡된 인간성이 하나님과의 화해를 통해 정결하...
TAG 사회적 삼위일체론, 토마스 토렌스, 그리스도와의 연합, 몰트만, 지지울라스, social trinitarianism, Thomas Torrance, union with Christ, Moltmann, Zizioulas
과정신학과 하이데거의 진리 이해 비교 연구
설왕은 ( Serl Wangeun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21] 제62권 42~67페이지(총26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과정신학의 진리 개념의 핵심적 요소를 파악하고, 과정신학과 하이데거의 진리 이해를 비교 연구하여 진리의 속성을 밝히는 데 있다. 과정신학은 과정(process)의 요소를 중요하게 여기는데, 이런 관점에서 캐서린 켈러(Catherine Keller)는 진리 대신 “진리-과정” (truth-process)이라는 단어로 과정신학의 진리 개념을 표현한다. 과정신학에 따르면, 현실적 존재(actual entity)가 시간 속에서 조화를 이루어내는 사건을 “진리-과정”이라고 말할 수 있으며 “진리-과정”의 사건은 현실적 존재가 자유를 행사할 때 발생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하이데거는 진리를 드러남(aletheia)으로서 이해하고 진리의 본질은 자유라고 역설하는데, 달리 말하면 인간의 자유가 드러나는 것이 인간의 본...
TAG 과정신학, 하이데거, 진리, 자유, process theology, Heidegger, truth, freedom
문화신학의 해석학적 과제에 대한 고찰 ― 폴 틸리히의 “문화신학”과 김광식의 “토착화신학”의 비교 연구
신용식 ( Shin Yongshi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21] 제62권 73~115페이지(총43페이지)
본 연구는 우리 교회의 현재적 과제를 문화신학과 관련하여 상술하기 위해서 필자는 문화적 현실에 대한 서양적 관점과 동양적 관점을 신학적으로 종합하고자 했다. 하나님에 관한 신학적 진술을 위해서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이야기를 문화적 특수성에 가두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하나님을 각 인간적 현실을 포괄하는 존재로서 진술하는 것이다. 그래서 여기에서는 서양적 사유방식과 동양적 사유방식을 종합적 지평에서 개관할 수 있는 포괄적 관점을 추구하고자 했다. 이러한 지평을 위해서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은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면서도 그것을 완성으로 이끄는 지점을 명확히 하는 것이다. 바로 이 지점을 우리는 신율로 이해할 수 있다. 이 신율을 주제화하기 위해서 필자는 두 가지의 문화신학적 작업을 분석하고 비교하였으며 그리고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그것은 폴 틸리히의 문화신...
TAG 문화신학, 토착화신학, 칭의, , 프로테스탄트주의, 문화해석학 Kulturtheologie, Indigenisierungstheologie, Rechtfertigung, -slehre, Protestantismus, Kulturhermeneutik
츠빙글리와 재세례파의 교회와 국가에 대한 이해와 그 현대적 적용
정미현 ( Chung Meehyun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21] 제62권 117~161페이지(총45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16세기 훌드리히 츠빙글리의 종교개혁과 재세례파의 교회와 국가에 대한 관계성을 당시 이들의 입장과 상황성에 비추어 고찰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내용과 방법적으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되는데 첫째로 츠빙글리와 재세례파에 대한 이해이며 둘째로 개혁전통의 현대적 재적용이다. 첫 부분은 세 가지 방향에서 정리될 수 있겠는데 첫째로 츠빙글리 종교개혁과 재세례파 태동의 역사적 정황을 살펴보며, 둘째로 유아세례 논쟁을 둘러싼 교회와 시민공동체의 의미를 성찰하고, 셋째로 교회와 국가의 관계성에 대한 주류 츠빙글리파와 비주류 재세례파의 입장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이 주제에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츠빙글리와 재세례파의 대표적 글들을 찾아볼 것이다. 이러한 개혁주의 전통의 근거 위에서 교회와 국가의 건강한 관계 유지를 지향하며 칼 바르트의 바르멘 선언을 ...
TAG 관용, 바르멘 선언, 재세례, 관료제 종교개혁, 평화, tolerance, Barmen confession, anabaptism, the magisterial reformation, peace
르네 지라르의 ‘모방적 욕망론’에서 본 폭력과 순교(殉敎)
최인식 ( Choi Insi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21] 제62권 163~202페이지(총4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신앙과 양심의 자유를 무참히 짓밟아 죽음에 이르게 하는, 즉 ‘순교’가 일어나도록 하는 ‘폭력’의 문제를 인류학적 관점에서 조명하여, 세상 정권의 ‘폭력’과 ‘신자의 순교’와 ‘복음’ 간의 내적 인과관계의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는 폭력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먼저 르네 지라르의 ‘모방적 욕망론’을 고찰하고, 전체주의적 폭력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하여 독일의 나치즘, 북한의 코뮤니즘, 일본의 콜로니얼리즘 하에서 희생된 파울 슈나이더, 박봉진, 문준경을 실례로 선택하여 그들의 순교를 르네 지라르의 ‘모방적 주체-매개자-대상’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모방적 욕망으로 이르는 종착지는 결국 권력에 의한 폭력인데, 그것이 우리가 사례로 제출했던 독일의 국가사회주의가 되었든, 일제의 천황주의가 되었든, 북한의 공산주의가 되었든 그 ...
TAG 르네 지라르, 모방적 욕망, 폭력, 순교, 전체주의, René Girard, mimetic desire, violence, martyrdom, totalitarianism
이레니우스의 구원론적 은총의 창조신학 : 생태학적 위기 시대에 이레니우스 신학을 읽다
김정숙 ( Kim¸ Jeongsoo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20] 제61권 7~46페이지(총40페이지)
이 논문은 2세기 리용의 감독이자 교부신학자인 이레니우스의 구원론적 은총의 창조신학을 연구한 글이다. 전 우주적 차원으로 발생하고 있는 생태적 문제에 대해 책임적인 신학적 대안으로 창조신학을 선택한 이유는, 창조신학이 그 특성상 하나님과 세계의 관계에 대한 우주론적 틀에서 모든 존재들의 관계를 포괄적이고 심층적으로 다루는 우주관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특별히 이레니우스의 창조신학은 그 특성이 창조세계의 전 영역을 삼위일체 하나님께서 계속적으로 창조 활동을 하는 창조의 영역이자 은총으로 구원 경륜을 이루어가는 구원의 장으로 이해하기 때문이다. 이레니우스는 당시 영육의 이원론으로 기독교 복음의 진리를 위협하던 이단 영지주의의 도전에 대해 창조세계의 선함을 주장하며 성육신과 성만찬을 통한 구원론적이며 동시에 성례전적 은총의 세계이해를 가진 창조신학을 정립하는 데 공...
TAG 리용의 이레니우스, 이단논박, 무로부터의 창조, 창조신학, 영지주의, Irenaeus of Lyon, Against Heresies, creation ex nihilo, theology of creation, gnosticism
본회퍼의 교회론 중심의 죄론 ― 『성도의 교제』와 관련하여
김현주 ( Kim¸ Hyun Joo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20] 제61권 47~79페이지(총33페이지)
루터교 신학자인 디트리히 본회퍼는 20세기 세계에 죄와 악이라는 문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본회퍼가 그의 거의 모든 저작들을 통해 파헤친 죄와 악에 대한 깊은 신학적 통찰에도 불구하고 그의 죄론은 제대로 진지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본회퍼가 그의 전체 죄론의 신학적 기초를 놓고 있는 『성도의 교제』에 나타난 그의 초기 죄론을 고찰한다. 본 연구는 본회퍼가 『성도의 교제』에서 죄론의 출발점을 고전적 신론으로부터 교회론으로 전환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의 루터교적 신학적 자원을 바탕으로 사회적이고 윤리적인 관점으로 죄론에 접근함으로써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을 재구성하고 있음을 논증한다. 우선 본회퍼는 아우구스티누스의 원죄론의 신학적 불충분성을 지적한다. 특히 원죄론이 그리스도를 통해 화해된 전인이자 그리스도의 현존인 교회공동체의 ...
TAG 본회퍼, 성도의 교제, 대리적 대표행위, 원죄론, 교회공동체, Bonhoeffer, sanctorum communio, vicarious representative action, doctrine of original sin, church community
창조와 치유
박영식 ( Park¸ Youngsi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20] 제61권 81~110페이지(총30페이지)
본 논문은 창세기 1:1-2:4까지의 제사장 문서의 창조기사를 창조의 시작과 세계의 기원에 대한 시원론적 보고(報告)로 인식하는 관점에서 전환하여 하나님에 의해 창조되고 보존되며 통치되고 완성될 창조세계의 역사에 대한 종말론적 전망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여기서는 창조 이야기의 종말론적 청사진 안에 놓인 창조세계를 향한 하나님의 사랑과 창조세계의 궁극적 목적이 무엇인지를 드러낼 것이다. 그런 다음, 하나님의 종말론적 비전에 상응하지 않는 창조세계의 작금의 현실을 주목하며, 하나님의 창조와 악의 문제를 다루고자 한다. 여기서는 악의 기원과 본질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보다는 창조세계의 역동성과 혼돈의 위협을 라이프니츠가 사용한 개념인 형이상학적 악과 자연악, 도덕악을 통해 조명하며, 자연악과 도덕악의 연관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병들어 신음하는 오늘...
TAG 치유, 무로부터의 창조, 몸으로서의 세계, 라이프니츠, , healing, creatio ex nihilo, world as body, Leibniz, malum
폭력의 해체 사유에 대한 신학적 소고
박형국 ( Park¸ Hyung Gug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20] 제61권 111~143페이지(총33페이지)
이 논문은 폭력 해소에 있어서 경계 해체 사유가 제시하는 첨예한 문제의식과 미묘한 함의를 신학의 입장에서 성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데리다의 폭력 해체 사유에 대한 기존의 해석과 평가는 폭력의 현실적인 불가피성이나 심지어 폭력의 실재를 정당화한다는 인상을 줄 수 있다. 논자는 폭력의 해체 사유를 일종의 폭력의 현실주의로 독해하는 것이 바람직스럽지 않음을 주장하면서, 폭력 해체 사유가 교회공동체들에 주는 교훈을 심도 있게 성찰한다. 논자가 보기에 폭력 해체론은 종교를 포함해서 도덕이나 법과 같은 교환경제에 기초한 제도적 기제를 통한 폭력 해소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교환경제를 초월하는 무조건적 사랑이나 용서나 환대와 같은 복음이 담고 있는 비경제적 선물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위한 여지를 제공해 준다. 따라서 논자는 교회공동체들이 예수 그리스도가 선포한 복음...
TAG 데리다, 폭력 해체 사유, 교환경제, 비경제적 선물, 포용적 선교, J, Derrida, the thought of the deconstruction of violence, exchange economy, uneconomic gift, inclusive mission
존 롤즈 정의론의 생태여성신학적 수용
윤영숙 ( Yoon¸ Youngsook )  한국조직신학회, 한국조직신학논총 [2020] 제61권 145~183페이지(총39페이지)
본고는 모든 사람들이 매일의 일상에서 정의를 이루는 주체가 되기 위한 정의론을 모색하기 위해 존 롤즈(John Rawls)의 정의론을 생태여성 신학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수용한 것이다. 그동안 제시되었던 정의론들은 주로 통치론을 반영한 정치철학에 집중하였고, 시대에 적합한 세계관과 인간관을 전제하지는 않았다. 이 시대 최고의 정의론으로 지목되는 롤즈의 ‘공정으로서의 정의’(justice as fairness)에서도 정의 실현의 일차적 주체는 사회의 기본구조로 제시되어, 개인이 정의의 주체가 될 기회를 제한시킨다. 롤즈는 정의의 역할(role of justice)과 정의의 주제(subject of justice)를 협동체를 구성하는 원칙과 사회 기본구조를 규제하는 것으로 전제한다. 하지만 정의의 역할에는 협동체를 온전하게 유지하는 활동도 포함되...
TAG 존 롤즈, 정의론, 공정으로서의 정의, 생태여성신학, 샐리 맥페이그, 생명중심의 정의, John Rawls, theory of justice, justice as fairness, ecofeminist theology, Sallie McFague, life-centered justic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