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75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한국 대학의 동남아시아 관련 교육과정: 현황과 대안
전제성 ( Seong Jeon ) , 박사명 ( Sa-myung Park ) , 김현경 ( Hyun Kyoung Kim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2021] 제80권 1~32페이지(총32페이지)
정부의 신남방정책 추진으로 동남아시아 관련 교육은 한국 역사상 최대 호기를 맞이하였지만 여전히 저발전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관련 전공과 과목 개설의 측면에서 희소하고 일부 지역의 대학에 국한되어 있다. 동남아 관련 교육의 심화와 확산을 통한 사회적 인식의 전환이 없다면, 신남방정책은 그 실효를 거두기 어렵다. 지역적 파급 효과를 갖는 국립대부터 동남아학 관련 학과나 전공의 창설, 교과목의 신설, 동남아 언어교육의 혁신에 나서야 한다. 입학정원의 유연성이 적기 때문에 학부 연계전공과 대학원 협동과정의 창설이라는 우회로를 거치는 게 더 순조로운 방법일 것이다. 동남아 전문 교원이 각 대학에 산재된 상황을 감안하면 대학원 협동과정은 초대학적 온라인 연계 방식으로 창설하는 방안이 실험될 필요가 있다. 동남아언어교육은 강사와 수강생이 충분하지 않은 한국 상...
TAG 동남아시아학, 고등교육, 대학원, 국립대, 협동과정, 연계전공, 언어캠프, 신남방정책, Southeast Asian studies, higher education, interdisciplinary graduate course, interdisciplinary undergraduate major, national university, curriculum, language school, New Southern Policy
지역연구로서의 ‘아세안 연구’: 학술적 함의와 현실적 필요성
김동엽 ( Dong-yeob Kim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2021] 제80권 33~75페이지(총43페이지)
“한국인은 동남아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서 동남아 사람들이 한국을 좋아하고 신뢰하고 있다고 믿고 있다. 그리고 동남아 사람들은 한국을 별로 신뢰하지 않으면서 대중적인 인기는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동상이몽 같은 상황은 한국인과 동남아인 간의 상호 이해 부족과 오해 그리고 편견이 낳은 결과로 볼 수 있다. 이는 동남아를 미래 동반자로 상정하는 ‘신남방정책’이 바로 잡아야 할 최우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동남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로막고 동남아 연구의 제도적 확장에 장애가 되는 동남아라는 용어에 담긴 편견을 바로잡으려는 방안으로써 아세안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학술적 차원에서 아세안은 주로 지역 기구로서 제도적 연구에 국한되어 왔다. 그러나 아세안 10개국을 포괄하는 지리적 경계와 2015년 아세안공동체 출범 이후 단순히 ...
TAG 아세안, 동남아, 아세안공동체, 신남방정책, 지역연구, 아세안 연구, ASEAN, Southeast Asia, ASEAN Community, New Southern Policy, Area Studies, ASEAN Studies
한국의 아세안 연구(2001-2020) - 리뷰와 제안
배기현 ( Ki-hyun Bae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2021] 제80권 77~99페이지(총23페이지)
이 글은 지난 20년간 국내의 아세안 및 아세안이 주도하는 동아시아 지역다자협력체 연구 경향과 특징 및 개선 방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특히 한국의 대아세안 외교 및 아세안 지역통합 구상 관련한 정책적 모멘텀에 따라 연구 동향이 어떻게 발전해왔는지 살펴보고, 지난 20년 동안 한국의 아세안 연구 경향에서 발견되는 경향성을 정치외교, 경제, 사회문화 등 이슈별로 나누어 살펴본다. 이를 통해 20년간의 아세안 연구가 얻은 것과 과제를 파악하고 연구자들이 향후 주목할 만한 연구과제 및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TAG 아세안,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다자협력, 문헌 리뷰, ASEAN, East Asia, Southeast Asia, Multilateralism, Literature Review
인도네시아 보로부두르의 밀교적 성격 재고
강희정 ( Kang Heejung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2021] 제80권 101~133페이지(총33페이지)
보로부두르는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에 이르는 불교의 우주관을 집대성한 조형물이다. 보로부두르에 온 순례자들은 보로부두르 각 층을 오른쪽으로 돌면서 진리를 찾는 선재동자의 여행을 스스로 재현하고 체험하게 된다. 8-9세기 인도네시아의 건축 기술과 이를 뒷받침하는 수학, 공학, 건설 기술, 예술적 능력을 어떻게 집대성했는가를 잘 보여주는 보로부두르를 건설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은 짧은 기간에 습득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러므로 기존에 알려진 대로 샤일렌드라 왕조의 힘만이 아니라 산자야 계통의 후원과 협력으로 건축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탑도 아니고 사원도 아닌 구조이므로 밀교의 만다라로 기획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보로부두르 어디에서도 금강승 불교의 특색이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만다라라기보다 샤일렌드라와 산자야 왕조의 권위를...
TAG 보로부두르, 샤일렌드라, 산자야, 금강승 불교, 밀교, 화엄경, Borobudur, Śailendra, Sanjaya, Vajra-yana, esoteric Buddhism, Avatamsaka Sutra
이슬람식 근대주의: 인도네시아 무함마디야의 사례
김형준 ( Kim Hyung-ju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2021] 제80권 135~170페이지(총36페이지)
이슬람 사회에서 출현한 종교운동 중 다수는 경전으로의 회귀를 기본이념으로 설정했다. 종교운동의 지지자들은 불만족스러운 현실을 변혁할 방안으로 쿠란(Quran)과 하디스(Hadith)에 담겨 있는 진정한 교리의 재확립을 주장했고, 이를 통해 이상 사회를 구현할 수 있으리라 기대했다. 복고적 성향을 취함으로써 대다수 종교운동에서는 서구와 서구에서 유입한 변화에 대해 부정적인 시각이 나타났다. 이와 다른 관점을 개혁주의(reformism)에서 찾을 수 있다. 개혁주의는 이슬람의 근본으로 돌아감으로써 근대적 변화를 좇아가고 후진적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서구에서 유입한 변화에 대한 호의적인 태도, 그리고 근대적 변화에 기반하여 이슬람 사회의 진보를 추구한다는 이유로 인해 개혁주의는 근대주의(modernism)라고도 불렸다. 이 글의 목적은 ...
TAG 인도네시아, 이슬람, 근대주의, 개혁주의, 무함마디야, 이성, 탁리드, 이즈티하드, Indonesia, Islam, Modernism, Reformism, Muhammadiyah, Reason, Taklid, Ijtihad
인도네시아 서부 술라웨시의 발라니파 왕국의 기원 신화에 나타난 엘리트 세력의 형성 과정과 양두정치 양상
송승원 ( Seung-won Song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2021] 제80권 171~205페이지(총35페이지)
이 논문은 인도네시아 서부 술라웨시주에 수립되었던 발라니파(Balanipa) 왕국의 두 전통 엘리트 세력인 푸앙(puang)과 다잉(daeng)의 기원과 계급 문화에 대해 살피고 있다. 푸앙은 관습 세력(kaum adat)에 속하며, 다잉은 귀족 세력(kaum bangsawan)이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원(原) 문화가 많이 남아 있는 동부 인도네시아에서 관습 세력은 귀족 세력의 권력을 견제하며 양두정치를 이끈 세력이다. 관습 세력과 귀족 세력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문화에서 사회 이데올로기인 ‘도래 우선순위의 원칙’에 따라 수립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관습 세력은 지역에 최초로 도래해 땅을 개간한 조상의 후손 씨족들이 차지한다. 이와 함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문화에서는 왕국이 수립될 때 외지인을 군주로 추대하는 이방...
TAG 발라니파 왕국, 푸앙, 다잉, 양두정치, 이방인 군주제, The Balanipa Kingdom, puang, daeng, diarchy, stranger-kingship
‘대국’ 인도네시아의 중견국 외교: ‘독립적, 적극적’ 외교의 추구
서지원 ( Suh Jiwo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2021] 제80권 207~243페이지(총37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인도네시아 중견국 외교의 특징을 설명하고 이의 배경이 된 국내적 요인에 대해 해설하는 것이다. 인도네시아 중견국 외교는 민족주의와 반식민지 혁명의 역사에서 나온 ‘독립적, 적극적’ 외교원칙을 고수하는 것에서 출발했다. 인도네시아는 지구적 이슈에 대한 관심, 다자주의 선호, 국제분쟁 중재 추구, 규범외교 등 중견국 외교의 특성을 모범적으로 드러내는 외교를 펼쳐 왔다. 틈새 외교가 아니라 거대담론을 논하는 규범외교, 그리고 많은 국가를 초청한 포용적 다자외교를 추구한다는 것이 인도네시아 중견국 외교의 특징이다. 개발도상국의 대표를 자임하며 강대국의 진영 외교를 넘어선 새로운 세계질서를 추구해 온 인도네시아의 대항헤게모니적 중견국 외교는 경제발전과 국력 신장을 배경으로 하여 최근에 나타난 것이 아니라 신생국으로서 외교적 자원이 부족했던 1950...
TAG 인도네시아, 중견국 외교, 대국의식, 반둥회의, 발리민주주의포럼, Indonesia, Middle Power diplomacy, great-power consciousness, Bandung conference, Bali Democracy Forum
밀양아리랑의 전승에 대한 재인식: 발리 수박(Subak)관념체계 전승 사례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정정훈 ( Jeong Hun Jeong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2021] 제80권 245~275페이지(총31페이지)
본 논문은 아리랑과 밀양아리랑 연구 현황 및 역사적 기원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제시함으로써 연구 성과를 재분석한다. 이를 통해 밀양아리랑의 역사적 기원 찾기에서 벗어나 현재성과 전승성에 대한 강조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다음으로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비교사례로 발리 수박(Subak)관념체계의 전승과 활용 사례에 대해 논의한다. 유네스코 문화유산의 정책의 방향성과 발리 수박관념체계 비교사례는 밀양아리랑 전승방안 마련과 문화콘텐츠 생산 필요성을 제시할 수 있는 근거이다. 문화유산의 특징과 속성에 따른 전승방안 마련과 ‘고유성’을 어떤 방식으로 유지시키느냐가 유네스코 문화유산 정책의 방향성으로 이해된다. 특히 정책 당국의 전승에 대한 확고한 의지와 마을 주민 주도의 관광상품화는 결국 수박관념체계의 고유성과 지역성을 확인하는 과정의 ...
TAG 밀양아리랑,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수박관념체계, 관광상품화, 고유성, Miryang Arirang,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urism Commercialization, Subak, irrigation, Authenticity
라오스의 세계유산 등재 현황과 과제
주경미 ( Kyeongmi Joo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2021] 제80권 277~318페이지(총42페이지)
이 논문은 현재까지 라오스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세계문화유산 등재지구 3개소의 현황을 역사, 문화사적 측면에서 고찰하고, 당면 과제들을 검토하기 위한 시도이다. 현재 라오스에는 1995년 등재된 “루앙프라방 역사도시”, 2001년에 등재된 “왓푸 사원과 참파삭 문화경관”, 2019년 등재된 “항아리 평원 - 씨엥쿠앙의 석조 항아리 유적” 등 3개소의 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이 있다. 이중에서 왓푸와 항아리 평원 유적의 경우에는 유적보존 사업에 한국 정부가 각종 ODA 사업으로 참여하고 있어서, 한국에서도 이들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라오스 역사와 문화사 연구가 다소 부족한 편이다. 이 논문에서는 프랑스의 식민지를 겪고 베트남 전쟁의 상흔을 크게 입었던 라오스의 복잡한 역사적 상황과 한국의 라오스 문화유산 OD...
TAG 라오스, 문화유산 ODA 사업, 한국, 왓푸, 루앙프라방, 항아리 평원, Lao PDR, Cultural Heritage ODA Project, Korea, Vat Phou, Luang Prabang, Plain of Jars
코로나19 대응에 왜 베트남은 성공하고 필리핀은 실패했는가: 규율 메커니즘의 비교분석
양창원 ( Yang Changwon ) , 백용훈 ( Beak Yong-hun )  서강대학교 동아연구소, 동아연구 [2021] 제80권 319~374페이지(총56페이지)
이 연구는 푸코의 통치성과 규율의 개념 그리고 스콧의 지역사회 맥락을 강조하는 연구를 토대로 코로나19 대응의 성패를 논의한다. 연구에서는 인구, 경제, 의료 자원 등이 유사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코로나19 상황이 전개되고 있는 베트남과 필리핀 사례에 주목한다. 분석 방법은 차이법과 맥락의 대조다. 두 국가가 감염병의 확산에 대응하는 과정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나타난 국가의 규율, 규율의 기능적 전환 그리고 이러한 메커니즘이 작동되는 방식을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베트남 정부는 국민들이 단결할 수 있는 메시지(국가의 규율)를 전달했다. 베트남의 지도자와 보건 당국은 코로나19 상황을 엄중하게 받아들였고, 바이러스를 ‘적’으로 규정하는 등 방역에 가장 집중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감염병의 경험과 전쟁에 준하는 위기 상황을...
TAG 코로나19, 규율, 메커니즘, 베트남, 필리핀, 사회적 맥락, COVID-19, discipline, mechanism, Vietnam, the Philippines, social context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