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44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고려전기 무산계(武散階)와 향직(鄕職)의 수여 배경과 운용
배재호 ( Bae Jae Ho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국사론 [2020] 제66권 1~46페이지(총46페이지)
본 논문은 고려전기 무산계와 향직의 제도 간 차이점을 밝혀 각 제도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두 제도가 정비된 시대적 맥락을 거란과의 전쟁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거란의 1차 침입을 계기로 기존의 최승로 계열 대신 서희 계열이 정국을 주도하게 되었다. 서희 등은 고려의 전통과 현실을 존중하는 가운데 중국의 선진 문물을 수용하려는 성향을 지니고 있었고, 이들이 주도한 995년의 제도 개편 역시 그러한 방향으로 추진되었다. 이러한 정치적 환경 변화와 맞물려, 영향력 있는 재지세력 곧 호장들에 대한 정책 방향 또한 그동안의 억제 일변도에서 포섭과 관리로 바뀌게 되었다. 무산계 또한 호장들을 예우하고 통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995년에 도입되었다. 나말여초에는 내조하거나 상경한 성주들에게도 중앙 관원과 마찬가지로 초기관계가 주어졌었으나, 문산계 도입 이...
TAG 官階, 武散階, 鄕職, 契丹, 進奉, 褒賞, Rank, Musangye, Hyangjik, Khitan, Jinbong, Reward System
영조대 균역법의 재정사적 의미
서현배 ( Seo Hyeon Bae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국사론 [2020] 제66권 47~78페이지(총32페이지)
균역법 입안자들은 감필로 인한 세수 감소분을 채워준다는 명목으로 급대를 시행했는데 그 대상은 병조와 삼군문을 중심으로 제한되었다. 이는 능동적인 선택의 결과였다. 균역법 제정 전후로 포목 1필의 시가가 공정가보다 낮아 감필로 인한 세수 감소분(포목, 쌀)은 급대 재원에서 큰 비중을 차지했던 錢 수입으로 대부분 충당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조정에서는 균역법 시행 이전부터 군포의 공정가와 시가 사이에 차액이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입안자들은 감필을 통해 포와 쌀 수입을 줄이는 대신, 급대 재원에서 전 수입을 확보해 세수감소분을 충당하면서도 급대 대상은 제한한 것이었다. 균역법 급대의 이면에는 조정이 급대 대상 기관의 재정을 통제하고자 했던 의도가 있었다고 판단된다. 이는 급대 수량을 엄격하게 제한한 사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급대 대상 기관...
TAG 균역법, 영조, 공정가, 시가, 균역청, 선혜청, Gyunyŏkbŏp, 均役法, King Yŏngjo, official price, market price, Gyunyŏkch’ŏng, 均役廳, office, Sŏnhyech’ŏng, 宣惠廳, office
일제 식민지 시기 위생조합 제도의 형성과정 - 경찰 관변기구화를 중심으로 -
김진규 ( Kim Jin Gyu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국사론 [2020] 제66권 79~139페이지(총61페이지)
이 논문은 일제 식민지 시기 위생조합 제도의 형성과정을 살피고, 이를 통해 근대 국가권력이 관변기구를 통해 국민을 장악하는 양상을 검토한 연구이다. 특히 조선총독부가 위생업무를 총괄하지 못함에 따라 위생조합 제도를 다시 도입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본래 자치적인 면모를 가지고 있었던 위생조합이 위생경찰의 관변기구로 변모하였음을 밝혔다. 위생조합은 근대 위생행정이 완비되지 않은 상황에서 주민들을 동원해 위생업무를 대리시키기 위해 만들어진 제도이다. 이 제도는 미국의 ‘Sanitary Association’을 모체로 하며, 지역 내 주민들을 구성원으로 편성해 지역의 위생사무를 일정 부분 주민의 책임으로 돌리는 것이었다. 위생조합은 전염병이 만연하던 일본에 도입되어 효과적으로 사용되었다. 일본의 위생조합은 기존 Sanitary Association이 수행하던 위생선...
TAG 위생조합, 공중위생, 위생경찰, 위생, 관변기구, 방역조직, Sanitary Association, Public Health, Sanitary police, Sanitary, Government Organization, Quarantine Organization
한국 근대 유교 지식인의 ‘유교 종교화론’
이현정 ( Lee Hyun Jung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국사론 [2020] 제66권 141~199페이지(총59페이지)
이 논문은 1910년 전후 및 1920년 전후에 제기된 유교 종교화론의 대표 저작을, 유교 지식인들의 내적 논리를 중심으로 하여 통시적으로 검토했다. 유교 종교화론은 일군의 유교 지식인이 익숙한 가치인 유교를 보전하면서도, 근대라는 시대적 전환기에 적응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제기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다양한 종교가 대중에 대한 영향력을 넓혀가는 상황 속에서 근대적인 ‘종교’ 개념이 유입되자, ‘유교’는 점차 종교성을 지닌 용어로 정착되었다. 1900년대 중후반 신구학 논쟁 이후 유교는 학문의 영역에서 분리되어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종교의 영역에서 이해되었다. 1910년을 전후로 한 대표적인 유교 종교화론 저작인 박은식의 「유교구신론」 (1909)과 이승희의 「공교교과론」·「공교진행론」(1914)은 공통적으로 유교의 보전과...
TAG 유교의 종교화, 유교, 종교화, 근대 유교, 박은식, 이승희, 이병헌, 송기식, Confucianreligionization, Confucianism, Religionization, Modern Confucianism, ParkEun-sik, Lee Seung-hui, Lee Byung-hon, Song Ki-sik
유엔한국재건단(UNKRA)의 조직과 활동
임다은 ( Lim Da Eun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국사론 [2020] 제66권 201~260페이지(총60페이지)
본 연구는 1950년대 한국의 전후 재건과 부흥을 위해 유엔 총회 산하에 설립되어 활동했던 유엔한국재건단(UNKRA: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의 조직과 활동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 원조와 함께 대한원조를 구성하는 한 축이었던 재건단 원조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유엔한국재건단은 한국전쟁에서 유엔군이 승리하여 조속히 전투가 종료되고 통일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한반도 전 지역의 재건을 담당하는 기구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1950년 12월 1일 수립 이후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재건단의 활동범위는 한국정부 관할영역으로 축소되었고, 재건단은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하지 못하고 주로 유엔군사령부의 활동을 보조하는 위치에 머물렀다. 한편 재건단은 전쟁 종료 ...
TAG 유엔한국재건단, 운크라, UNKRA, 유엔, UN, 저개발국, 경제원조, 개발, 재건, 부흥, 공업,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 UNKRA, UN, United Nations, Under-developed Countries, Korea, United States, Economic Aid, Development, Reconstruction, Rehabilitation, Industries
66권 목차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국사론 [2020] 제66권 0(총1페이지)
본 연구는 1950년대 한국의 전후 재건과 부흥을 위해 유엔 총회 산하에 설립되어 활동했던 유엔한국재건단(UNKRA: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의 조직과 활동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 원조와 함께 대한원조를 구성하는 한 축이었던 재건단 원조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유엔한국재건단은 한국전쟁에서 유엔군이 승리하여 조속히 전투가 종료되고 통일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한반도 전 지역의 재건을 담당하는 기구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1950년 12월 1일 수립 이후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재건단의 활동범위는 한국정부 관할영역으로 축소되었고, 재건단은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하지 못하고 주로 유엔군사령부의 활동을 보조하는 위치에 머물렀다. 한편 재건단은 전쟁 종료 ...
66권 학과소식 및 간행규정
서울대학교국사학과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국사론 [2020] 제66권 261~28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1950년대 한국의 전후 재건과 부흥을 위해 유엔 총회 산하에 설립되어 활동했던 유엔한국재건단(UNKRA: United Nations Korean Reconstruction Agency)의 조직과 활동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 원조와 함께 대한원조를 구성하는 한 축이었던 재건단 원조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유엔한국재건단은 한국전쟁에서 유엔군이 승리하여 조속히 전투가 종료되고 통일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전망 속에서, 한반도 전 지역의 재건을 담당하는 기구로 설립되었다. 그러나 1950년 12월 1일 수립 이후 전쟁이 장기화되면서 재건단의 활동범위는 한국정부 관할영역으로 축소되었고, 재건단은 본격적인 사업을 시작하지 못하고 주로 유엔군사령부의 활동을 보조하는 위치에 머물렀다. 한편 재건단은 전쟁 종료 ...
신라(新羅) 흥덕왕대(興德王代) 금은기(金銀器) 금령(禁令)의 성격
고태진 ( Ko Tae-jin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국사론 [2019] 제65권 1~55페이지(총55페이지)
신라에 율령이 반포된 6세기 초 이래로 사치 금령에 대한 기사는 <애장왕 교서(806)>와 <흥덕왕 교서(834)>가 전부다. 그런데 두 교서는 모두 金銀器에 대한 규제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신라사에 있어 사치 금령의 문제는 금은기의 문제로부터 집중할 필요가 있다. 금은기에 대한 기록은 中代 이후 본격적으로 등장한다. 사료상으로 금은기에 대한 일화가 확인되기 시작한다는 것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하여 금은기에 대한 의미 부여가 보다 심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당시 동아시아의 금은기 유행을 선도하던 唐人들의 금은기 인식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당에서 금은기는 기본적으로 祈福의 매개로 인식되었고, 그러한 인식은 중대 초 신라에 유입되었다. 중·하대 금은기 사용례는 총 10건으로, 그 중 9건에는 신라 ‘王室’이 직·간접적...
TAG 興德王, 興德王 敎書, 金銀器, 禁令, 奢侈品, 器用, 新羅 王室, 眞骨, King Heungdeok, King Heungdeok’s Royal Edict, gold and silverware, prohibition, luxury goods, giyong, royal family of Silla, Jingol
발해(渤海) 정효공주묘(貞孝公主墓) 전탑(塼塔) 출현의 의미
박유정 ( Park Yu Jeong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국사론 [2019] 제65권 57~99페이지(총43페이지)
이 논문은 8세기 말 발해와 당나라의 사회적 배경과 문화적 흐름을 살펴보는 속에서 渤海 貞孝公主墓 塼塔의 출현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발해 文王 넷째 딸의 무덤인 정효공주묘는 墓上建塔 현상이 등장하는 대표적인 고분으로, 계단식 墓道, 羨道, 玄室로 이루어진 塼室墓의 상부에 전탑의 基壇部가 남아 있는 독특한 구조를 보인다. 馬滴達塔 고분, 靈光塔 고분, 龍海區域 M10호묘 등 동일한 구조를 가진 고분이 몇 기 더 존재하나 피장자와 축조연대를 분명히 알 수 있어 고분의 축조 배경을 살펴볼 수 있는 경우는 정효공주묘가 유일하다. 아울러 다른 발해 왕실 고분과 달리 葬制와 墓制에서 당의 영향을 크게 받은 모습을 보이는데 이는 축조 연대의 차이가 크지 않은 발해 貞惠公主墓와 비교했을 때 더욱 뚜렷하게 드러난다. 전탑이 함께 나타나는 정효공주묘의 구조가 당나라의...
TAG 渤海, 貞孝公主墓, 墓上建築, 墓上建塔, 塔葬, 唐 德宗, 文王, Balhae, Princess Jeonghyo Tomb, Construction Installed on the Tomb, Construction Stupa on the Tomb, Tapjang, Tang Dezong, Mun Wang
근대 전환기 한국 지식인의 진보적 시간의식 연구
김명재 ( Kim Myung Jae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한국사론 [2019] 제65권 101~150페이지(총50페이지)
개항 이후 1920년대 전반기에 이르는 시기는 한국사에서 시간의식의 ‘근대적 전환기’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진보적 시간의식과 근대 서구 진보 개념의 수용 여부는 비서구권에서 근대화의 척도로 여겨지는 경향이 있다. 기존의 한국 사상사·제도사 연구에서도 근대 전환기 서구 진보 개념과 진보적 시간의식의 도입은 한국의 근대가 타자에 비해 ‘지체’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주요 지표이자, 그 과정도 비교적 순탄한 것으로 묘사되었다. 그러나 개항 이후 1920년대 전반기에 이르는 시기에 서구의 직선적이고 진보적인 시간의식의 도입과정은 일방적이고 전격적으로 진행된 것이 아니었다. 18세기를 전후로 보편적 역사의 진보를 상정하는 ‘進步’ 개념이 형성된 서구와는 달리, 조선 후기 進步 용어는 주로 ‘개인의 도덕적·학문적 향상’의 의미로 사용되었다. 한편 진보적 시간...
TAG 進步的 時間意識, 進步, 改造論, 社會進化論, 傳統的 時間意識, 近代 歷史學, ‘制限的 停滯期’論, ‘螺旋的 進步, “period of limited stagnation”, “spiral progress”, linear time consciousness, progress, modern historiography, theory of reformation, social Darwinism, traditional time consciousnes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