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드라마학회666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일상의 퍼포먼스, 투어리즘과 다크 투어리즘-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4.16편, 서울망각투어버스>(2019)-
김기란 ( Kim Kiran )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 연구 (DR) [2021] 제63권 5~30페이지(총26페이지)
이 글에서는 ‘행위를 이행한다(to perform)’는 퍼포먼스의 미학을 수행적 실천으로 연결한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4.16편, 서울망각투어버스>(2019)를 분석했다. 이때의 수행적 실천이란 타자의 고통에 대해 증언하는 목격자이자 공연의 수행자로서의 책무를 성찰하는 태도와 닿아 있다. 극단신세계의 <망각댄스-4.16편, 서울망각투어버스>는 단체 관광의 일상을 다크 투어리즘의 퍼포먼스로 구성한 작품이다. 이 공연에서는 문화적 퍼포먼스와 퍼포먼스의 경계를 넘나들며 범주화된 퍼포먼스의 개념을 성찰하는 한편, 일상화된 문화적 퍼포먼스에 내재된 위임된 수동성을 환기하여 우리 사회의 재난, 위험, 고통에 방관적 침묵자로 남거나 그것을 망각하려는 태도를 문제시했다. 특히 공연생산주체를 포함, 퍼포먼스에 참여하는 관객들에게 일상에서 익숙해진 포렌...
TAG 일상의퍼포먼스, 문화적 퍼포먼스, 다크 투어리즘, 극단 신세계의 <망각댄스-4, 16편, 서울망각투어버스>, 목격과 증언, 포렌식 정보, 사건과 사건-공간, 수행적 실천, performance of daily life, cultural performance, Dark Tourism, < notremembering Dance, 4, 16, Seoul Oblivion-Tour Bus > of the theatre company Shinsegae, Witnesses and testimony, forensic information, Event, What-Happened, and Event-Space, performance practice
물질적 기호로서 몸의 지각과 상상-로베르 르빠주의 일인극 <887>(2015)을 중심으로-
고내현 ( Ko Na-hyun )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 연구 (DR) [2021] 제63권 31~54페이지(총24페이지)
동시대 연극은 공연자의 행위와 사건성을 기반으로 연극의 매체적 조건을 다양한 형식으로 활용한다. 연극예술은 몸을 매체로 하는 대표적인 예술 양식으로써 공동 현존을 전제하며 물질성의 지각을 통해 시공간적 리얼리티를 새롭게 구조화한다. 때문에 연극기호학적 측면에서 몸의 확장가치는 생성과 해체의 순환성을 토대로 개별 매체의 보편적이고 단일한 사유체계에 의문을 제기한다는 점에 있다. 이는 미학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의 연관 속에서 자아와 타자 그리고 주변 세계에 대한 상호주관적 인식을 반영하는 것이기도 하다. 본 연구의 사례로 제시된 르빠주의 자전적 연극 <887>(2015)은 기억에 관한 연극으로, 몸과 언어 그리고 기술매체의 통합을 통해 실재하는 대상을 ‘지각’하게 하는 동시에 부재하는 대상을 ‘상상’하게 한다. 그리하여 몸적 주체인 르빠주의 행위에서 발생하는 지...
TAG , 물질성, 지각, 상상, 로베르 르빠주, <887>, 2015, Body, Materiality, Perception, Imagination, Robert Lepage
한국 TV 멜로드라마의 ‘감정’의 수행 방식 연구-<태양의 후예>, <시그널>, <슬프고 찬란하신(神), 도깨비>의 ‘배우 연기’를 중심으로-
김소은 ( Kim So Eun )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 연구 (DR) [2021] 제63권 55~117페이지(총63페이지)
본고는 한국 TV 멜로드라마에서 ‘감정’이 어떤 방식으로 형성되어 수행되는 지를 배우의 몸과 연기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감정이 교섭하는 지점이자 감정의 수행자로서 배우(의 연기)를 살펴보는 일은 시대의 문화적 정체성을 탐색하는 데에 중요한 요인이다. 시청-수용자는 이 배우의 표정, 몸짓 하나하나를 통해 감정을 전달받으며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TV 드라마 <태양의 후예>(2016), <시그널>(2016), <슬프고, 찬란하神, 도깨비>(2017)를 텍스트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우의 연기를 비언어적인 표현과 언어적인 표현으로 나누어 감정 형성의 맥락과 구조를 살펴보았다. 우선 비언어적 표현의 대상 요소로서 배우들의 손짓, 고개짓 등의 몸짓을 몸짓주, 몸짓상, 몸짓 유형으로 세분화해서 분장, 의상과 함...
TAG TV 멜로드라마, 감정, 배우, , 연기, 슬픔, 비언어적 표현, 언어적 표현, 몸짓, 표정, 음성, FACS, Praat 프로그램, 수행성, TV melodrama, emotion, actor, body, sadness, nonverbal expression, verbal expression, gesture, expression, voice, Praat program, performance
21세기 새로운 연극의 대안으로서 ‘새로운 사실주의’의 미학적 의미
하형주 ( Ha Hyung Ju )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 연구 (DR) [2021] 제63권 119~151페이지(총33페이지)
최근 필자는 현대 연극에서 가장 중요한 논의인 포스트모던 연극/예술과 이 포스트모던 연극/예술이 가지는 한계에 대하여 언급했었다. 하지만, 여전히 위계적 프레임 안에서 돌아가고 있는 우리의 사회구조적 현실 안에서, 포스트모던 사상이 주장하는 비-위계적, 탈-중심적 인식은 필수불가결하게 요구되어져야 한다. 그래서, 필자의 관심은 포스트모던의 탈-중심적 인식을 간직하면서 한 예술가의 작품이 지니는 독창성, 그 예술가의 영혼의 흐름, 내적 구성을 담보해낼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에 집중될 수밖에 없다. 뿐만 아니라, 오브제의 물성에 머무르는‘전시된’ 연극 혹은 방향성을 상실한‘대안 없는 해체’로 향해가는 연극을 어떻게 대중과 소통가능하게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이 두 가지 고민은 얼핏 보면 아무것도 주장하지 않으면서 동...
TAG ‘새로운’ 사실주의, 사실주의, 자연주의, 미메시스, 조엘 폼므라, <청춘, 간다>, 자크 랑시에르, New Realism, Realism, naturalism, mimesis, Joël Pommerat, < Youth, Gone >, Jacques Ranciere
등장인물의 반체화적 태도(disembodied attitudes) 연구-네 가지 체화주의 개념과 라반 이론을 중심으로-
최정근 ( Choi Jung Geun )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 연구 (DR) [2021] 제63권 153~190페이지(총38페이지)
본 연구는 등장인물의“반체화적 태도(disembodied attitudes)”를 규명하고 관련 연기방법론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최근 들어 ‘체화(embodiment)’와 관련된 연구를 선도하는 여러 학자들은 공연예술가를 비롯한 인문학자들이 학제간 연구를 진행하면서 관련 개념을 혼동해왔다고 비판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는 ‘체화’ 개념을 ‘특정 움직임 속에서 드러나는 정신적인 상태’와 관련하여 사용할 것이다. 우리는 움직이면서 그 움직임과 ‘이질적’이고 ‘배반적’인 마음 상태를 지닐 수 있는데, 연구자는 그러한 몸가짐과 마음가짐 모두를 ‘반체화적 태도(disembodied attitudes)’라고 규정하고자 한다. 등장인물의 반체화적 태도는, 설령 그것이 개인적이든 혹은 사회문화적이든, 관객이 관련 인물을 마음속에 강...
TAG 반체화적 태도, 체화, 인지, 네 가지 체화주의 개념, 라반 이론, 에포트, 정신 에포트, Disembodied Attitudes, Embodiment, Cognition, 4E Cognition, Laban Theory, Efforts, Mental Efforts
<빨갱이 갱생을 위한 연구>에서 나타난 수행 전략 및 아이러니적 양상 연구
이여진 ( Lee Yeojin )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 연구 (DR) [2020] 제62권 5~32페이지(총28페이지)
본고는 윤한솔 연출(그린피그 극단)의 <빨갱이 갱생을 위한 연구>(2013)에서 나타난 수행 전략 및 아이러니적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통해 극이 관객으로 하여금 초이데올로기적 담론을 형성할 수 있도록 추동하고 있음을 밝힌다. 초이데올로기적 담론이란, 아이러니에 의해 단일한 의미 전달이 지양되고, 수신자와 발신자의 맥락에 따라 다양하게 발생되는 담론을 뜻한다. <빨갱이 갱생을 위한 연구>의 수행 전략은, 배우와 관객 사이의 상호작용과 공동 이행을 촉구하는 것이자, 관객의 수행성을 적극적으로 추동하는 전략으로서, 아이러니적 효과와 맞닿아 있다. 따라서 본고는 극의 수행 전략뿐만 아니라 그것이 빚는 아이러니적 효과도 함께 주목함으로써, 작품이 단일한 의미망이나 획일적 이데올로기의 완벽한 형성을 지양하고, 관객 스스로 국가보안법 및 사법...
TAG 수행성, <빨갱이 갱생을 위한 연구>, 국가보안법, 아이러니, 초이데올로기적 담론, Performativity, A Study on the Rehabilitation, National Security Law, Irony, Transideological discourse
개념적 혼성 이론으로 본 연극 관객의 인지 작업 : <하얀 토끼 빨간 토끼>를 중심으로
장영지 ( Jang Youngji )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 연구 (DR) [2020] 제62권 33~60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개념적 혼성 이론을 토대로 연극 관객의 관객(spectating)을 인지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개념적 혼성 이론은 양립 불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것들이 혼성되어 새로운 의미를 창출할 수 있음을 논증하는데, 이러한 시각은 배우와 인물, 허구와 실재 등 연극의 이중성을 수용하는 관객의 인지 과정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다. 특히 혼성 공간이 불안정해지는 순간을 포착하여 혼성 공간 구성을 자극하는 인지적 압력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과 전제를 토대로 본 연구는 이란 작가 술리만푸어의 <하얀 토끼 빨간 토끼>를 분석한다. 다양한 혼성을 끌어내고, 구성된 혼성 공간을 재검토하게 만드는 <하얀 토끼 빨간 토끼>의 이중성을 분석하면서 관객의 인지 작업에 접근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는 연극 관객에 접근할 수 있는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고, ...
TAG 개념적 혼성 이론, 관객, 관객의 인지 작업, 하얀 토끼 빨간 토끼, 혼성, 재혼성
소설 『오베라는 남자』에서 매체 전환된 영화의 내러티브 분석
홍재웅 ( Hong¸ Jai-ung )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 연구 (DR) [2020] 제62권 61~87페이지(총27페이지)
스웨덴의 대중소설들이 최근 주목을 받으면서 국내의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작가와 작품들 가운데 무명 작가였던 프레드릭 바크만(Fredrik Backman)과 그의 데뷔소설 『오베라는 남자(En man som heter Ove)』(2012)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 작품은 감독 한네스 홀름(Hannes Holm)에 의해 영화로의 매체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소설뿐 아니라 영화에서도 크게 성공을 거두었다. 국내에 소설(2015)과 영화(2016)가 비슷한 시기에 소개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오베라는 남자』가 소설에서 영화로 매체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영화의 내러티브의 구조에 어떠한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내러티브의 구조 변화가 영화가 성공할 수 있었던 주요 배경이 되었는지 ...
TAG 프레드릭 바크만, <오베라는 남자>, 영웅여정, 한네스 홀름, 내러티브, 매체 전환, Fredrik Backman, A Man called Ove, Hero’s journey, Hannes Holm, Narrative, Adaption
신문으로 연행 읽기 : 『근대계몽기 신문 텍스트의 연행성 연구: 연행 텍스트와 근대계몽기 신문 공간의 지각구조』(양세라, 소명출판, 2020) 읽기
백두산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 연구 (DR) [2020] 제62권 89~104페이지(총16페이지)
스웨덴의 대중소설들이 최근 주목을 받으면서 국내의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작가와 작품들 가운데 무명 작가였던 프레드릭 바크만(Fredrik Backman)과 그의 데뷔소설 『오베라는 남자(En man som heter Ove)』(2012)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 작품은 감독 한네스 홀름(Hannes Holm)에 의해 영화로의 매체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소설뿐 아니라 영화에서도 크게 성공을 거두었다. 국내에 소설(2015)과 영화(2016)가 비슷한 시기에 소개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오베라는 남자』가 소설에서 영화로 매체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영화의 내러티브의 구조에 어떠한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내러티브의 구조 변화가 영화가 성공할 수 있었던 주요 배경이 되었는지 ...
차범석 전집 미수록 창작 희곡 <진주성> 소개
전성희  한국드라마학회, 드라마 연구 (DR) [2020] 제62권 105~163페이지(총59페이지)
스웨덴의 대중소설들이 최근 주목을 받으면서 국내의 독자들에게 널리 알려지게 된 작가와 작품들 가운데 무명 작가였던 프레드릭 바크만(Fredrik Backman)과 그의 데뷔소설 『오베라는 남자(En man som heter Ove)』(2012)를 대표적으로 꼽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이 작품은 감독 한네스 홀름(Hannes Holm)에 의해 영화로의 매체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소설뿐 아니라 영화에서도 크게 성공을 거두었다. 국내에 소설(2015)과 영화(2016)가 비슷한 시기에 소개되면서 더욱 주목을 받았는데 본 연구에서는 『오베라는 남자』가 소설에서 영화로 매체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영화의 내러티브의 구조에 어떠한 변화가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내러티브의 구조 변화가 영화가 성공할 수 있었던 주요 배경이 되었는지 ...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