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44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포스트코로나와 공동체 윤리 -타자의 윤리와 배려의 윤리를 중심으로
김광연 ( Kim¸ Gwang-yeon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2021] 제49권 9~38페이지(총30페이지)
포스트 코로나(past corona)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그 어느 때보다 공동체의 의무를 중요시 하게 되었다. 코로나로 인한 집단감염으로 인해, 우리 사회는 개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노력해야 했다. 다행히 우리 사회는 시민들의 협조와 공동체 의식으로 인해 코로나19 바이러스를 대응하는 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대다수의 국민들이 방역을 위해 노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자기의 이익만을 고려하는 이기주의로 인해 집단 감염이 속출하고 있다. 이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우리는 의무감이나 당위에 따른 행위 보다는 타자에 대한 배려의 윤리가 필요하다. 타자의 삶을 이해하고 그들을 배려하는 마음은 코로나19 시대에 무엇보다 중요하게 되었다. 또한 우리는 바이러스의 공포로부터 이겨내기 위해 공공선을 위한 자세가 필요하다. 그 중에서도 가장 중...
TAG COVID-19, Corona19, Post Corona, Egoism, Common good, Community Ethic, Ethic of Care, 코로나 19, 포스트코로나, 이기주의, 공동선, 공동체 윤리, 배려의 윤리
시민사회의 적, 극우 개신교의 레드-포비아 현상에 대한 비판적 일고
박종균 ( Park¸ Jong-kyunn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2021] 제49권 39~72페이지(총34페이지)
본 연구는 시민사회의 걸림돌이자 적, 극우 개신교의 종교적·정치적 파시즘의 폭력성과 이면의 레드 혐오주의를 논구하고, 아렌트의 “세계사랑”(amor mundi)과 루소의 “시민종교”(civil religion)의 개념에서 극우 개신교의 레드-포비아, 레드 혐오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 시민사회의 정치적 행위를 숙고하고자 한다. 시민사회는 국가 영역과 사적 영역 사이에 존재하는 ‘중간 층위의 영역’이라 할 수 있으며, 기본적으로 정당한 그리고 정통성 있는 국가의 권위를 존중하며 법을 인정하고 존중한다. 동시에 시민사회는 정당하지 않은 자의적이고 독재적인 국가권력에 대한 저항을 조직하는 최후의 보루이며, 정의롭지 못한 법의 지배를 거부하는 주체이기도 하다. 또한 시민사회는 정당한 권력에 대해서 법의 지배에 기초한 국가권력을 정당화해주는 민주...
TAG Korea Far-right Protestantism, Civil Society, Red-phobia, Amor Mundi, Civil Religion, Anti-communism, 한국 극우 개신교, 시민사회, 레드-포비아, 세계사랑, 시민종교, 반공주의
코로나 19시대 종교현상학의 이슈와 기독교사회윤리학의 테제들
이상철 ( Lee¸ Sang Cheol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2021] 제49권 73~103페이지(총31페이지)
코로나 19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 영역에서 일어나는 있는 충격과 파장의 근원이 되었다. 종교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본 논문은 “코로나 19시대 종교현상학의 이슈와 기독교사회윤리의 테제들”이라는 제목아래, 전반부에서는 코로나 19에 대한 종교현상학적인 접근, 후반부는 기독교사회윤리의 이슈들을 파헤친다. 종교현상학적인 접근은 코로나 19 시대 한국 개신교인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한다. 개신교인의 신앙패턴이 코로나 19를 계기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피면서 나는 코로나 19 이후 종교현상학의 특징을 1) 비종교사회의 도래, 2) 종교적 아우라의 파괴, 3) 예배의 재구성이라 요약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한 예배의 중단과 파행은 한국사회가 비종교사회 문턱으로 진입한 사건으로 읽힌다. 본회퍼의 “하느님 없이, 하느님 앞에서, 하느님과 더불어” (Be...
TAG COVID-19, religionless Christianity, decay of the aura, Christian Social Ethics, the Other, hospitality, 코로나 19, 기독교의 비종교화, 아우라의 파괴, 기독교사회윤리, 타자, 환대
혐오에서 공감과 환대에로 -코로나19 시대의 공감과 환대
이종원 ( Lee¸ Jong-won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2021] 제49권 105~138페이지(총34페이지)
본 소고에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와 더불어 발생한 차별과 배제, 혐오 등으로 퍼져나가는 문제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바이러스 팬데믹 시대를 살아가는 데 있어서 우리가 어떤 가치와 정신을 갖고 우리가 당면한 문제들을 극복해나가야 하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바이러스 팬데믹은 우리 안에 내재된 편견과 혐오를 거침없이 표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는 그동안 바이러스로 인한 원한과 분노, 적개심을 특정 집단에로 돌리려는 강력한 사회심리적 충동을 경험하였다. 중국인 공포증인 ‘시노포비아’는 극에 달했으며, 부머 리무버, 신천지 교회를 ‘병신천지’라고 부르며 조롱하였고, 수퍼전파자가 된 사람을 ‘민폐끝판왕’이라고 비난하고 코로나멍청이라는 뜻의 ‘코비디어트’도 널리 회자되었다. 이러한 혐오 바이러스는 차별받는 이들의 삶을 더욱 황폐화시키는 심리적 기제로 작동한...
TAG COVID-19, Empathy, Hospitality, Discrimination, Exclusion Repugnance, Violence, 코로나19, 공감, 환대, 차별, 배제, 혐오, 폭력
생태적 사랑의 모색
이창호 ( Lee¸ Chang-ho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2021] 제49권 139~169페이지(총31페이지)
생명세계의 온전한 질서가 보존되지 못하고 오히려 다양한 형태의 붕괴의 증후들을 선명하게 목격하고 있는 엄연한 생태적 위기의 현실 앞에서, 기독교회와 신자들은 이러한 위기에 대해 응답해야 하는 책무를 가진다는 것은 윤리적으로 볼 때 정언적 명령이라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것이다. 더욱이 하나님이 지으신 세계와 그 세계 안에 있는 모든 존재들의 가치와 위치를 존중하고 그러한 존중을 이타적 행위를 통해 구체적으로 구현하는 것은 자명한 신앙적 신학적 진실이라고 할 수 있다. 이같은 신학적 윤리적 진실과 당위적 명령을 마땅히 받아들여야 할 바로서 인식하면서, 생태적 사랑의 모색이라는 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생태적 위기에 응답하고자 한다. 생태적 사랑의 신학적 정당화의 논지를 아웃카(Gene Outka)와 몰트만(Jürgen Moltmann)을 중심으로 전개할 것이...
TAG Gene Outka, Jürgen Moltmann, James A, Nash, ecological love, Christian ethics, 진 아웃카, 위르겐 몰트만, 제임스 내쉬, 생태적 사랑, 기독교윤리
5.18 광주민주화운동 이후 개신교 인권운동의 역사와 그 특징
김명배 ( Kim Moung-bae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2021] 제49권 173~204페이지(총32페이지)
본 논문은 1980년대 전두환 군부독재 시기 폭압적 통치 구조 속에서 인권을 유린당하고 있던 재야민주인사 및 학생운동세력의 인권보호를 위해 한국 개신교회가 어떠한 활동을 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이유는 지금까지 1980년대 개신교 인권운동에 관한 연구는 거의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우선 1980년대 개신교의 인권운동을 역사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일차적 과제로 삼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제2장에서 개신교의 인권이해와 1970년대 인권운동의 역사를 간략히 다루었다. 그리고 제3장에서 1980년대 전두환 정권의 폭압적 통치하에서의 개신교 인권운동의 역사를 다루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1980년대 개신교 인권의 특징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TAG Chun Doo-hwan Regime, Human Rights, Protestantism, Student Movement, 1980s, 전두환 정권, 인권, 개신교, 학생운동, 1980년대
사회적 영성의 기원과 복원 -선한 사마리아인 제자도를 중심으로
문시영 ( Moon¸ Si Young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2021] 제49권 205~237페이지(총33페이지)
한국기독교를 향하여 공적 책임과 소통, 공감과 환대의 ‘사회적 영성’에 대한 요청이 절실해지고 있다. 문제는 한국기독교가 사회적 영성을 낯선(strange) 것으로 간주하거나 혹은 사회참여적 성향을 지닌 사람들에게나 해당하는 것으로서의 타자인 듯 여기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사회적 영성이 기독교 고유의 자원에 속하며 기독교가 구현해야 할 과제임을 제안한다. 특히, 한국기독교에 익숙한 제자훈련에 착안하여 제자도에 주목함으로써 사회적 영성의 기원과 복원을 다룬다. 사회적 영성의 기원에 관하여, 이 글은 사회적 영성의 기원을 선한 사마리아인 제자도에서 찾는다. 제자도와 영성함양에 관한 덕 윤리의 조망을 바탕으로, 선한 사마리아인 제자도를 사회적 영성의 기원으로 읽어낸다. ‘이웃 되기’와 ‘타자 되기’가 그것이다. 이웃 되기...
TAG Social Spirituality, Discipleship,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Empathy, Hospitality, Origin and Rrestoration of Social Spirituality, 사회적 영성, 제자도, 책임, 소통, 공감, 환대, 사회적 영성의 기원과 복원
인공지능 상담의 윤리적 이슈와 대안
송용섭 ( Song¸ Yong Sup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2021] 제49권 239~267페이지(총29페이지)
본 논문은 공감적 인공지능상담가의 등장이 초래할 수 있는 윤리적 이슈들을 분석하고 덕윤리적 입장에서 대안을 제시하려 한다. 첫째, 본 논문은 공감적 인공지능 상담가와 인간 내담자 사이에 전이 또는 역전이가 발생할 경우 심리 및 행동통제의 이슈가 발생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둘째, 인공지능상담가와 인간 내담자의 상담시에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윤리적, 법적 책임 소재의 여부가 논쟁이 될 수 있으므로, 본 논문은 이를 판단하기 위한 선제적 연구와 기준을 마련할 것을 주장한다. 셋째로, 본 논문은 인공지능 상담시에는 내담자의 민감한 사적정보가 기록 및 분석될 수 있으므로, 일반적인 수준보다 높고 철저하게 프라이버시 보호를 강화할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윤리적 이슈들에 대응하는 방법들은 주로 윤리 강령을 제정하는 것이며 국내에서도 ‘사람이 중심이 되...
TAG Artificial Intelligence, AI Counselor, Virtue Ethics, Religious AI, Wendell Wallach, 인공지능, 인공지능 상담가, 덕윤리, 종교적 인공지능, 웬델 월러치
이범진(李汎鎭)의 금전윤리관과 현재적 함의 -그의 “人生의 金錢觀”(1921)을 중심으로
안수강 ( Ahn¸ Su-kang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2021] 제49권 269~304페이지(총36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이범진의 “人生의 金錢觀”(1921)을 통해 그의 금전윤리관과 현재적 함의를 고찰하려는 데 있다. 그는 누가복음 12장 15절을 본문으로 정하여 이 글을 작성했다. 이범진의 금전윤리관에 관한 주요 논점은 그의 희귀본옥고 “人生의 金錢觀”을 통해 살펴볼 수 있으며 이 글은 1921년에 출판된 『百牧講演(第一集)』에 수록되어 있다. 이범진의 글 “人生의 金錢觀”에 나타난 핵심적인 논점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의 금전윤리관과 관련하여 일반인의 금전윤리, 위인의 금전윤리, 기독교인의 금전윤리 등 삼중적 관점을 분석했다. 둘째, 그의 고백을 바탕으로 동기론적 윤리, 효율적인 방편으로서의 금전 선용, 청년층의 청지기정신과 소명의식, 부의 사회환원에 대한 책무 등의 실천적 패러다임을 설정하고 이 사안들에 주안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앞으로...
TAG Beom-Jin Lee, “Human View of Money”, 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 Vol, 1, Ethical View of Money, Christian Ethics, 이범진, “人生의 金錢觀”, 『百牧講演, 第一集, , 금전윤리관, 기독교윤리
포스트휴먼 시대에서의 인간성과 기술의 관계 변화와 기독교 사회윤리적 책임에 관한 논의 -포스트휴머니즘 사상들의 비판과 헤프너의 “하나님의 형상론”을 중심으로
안택윤 ( Ahn¸ Taekyun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기독교사회윤리 [2021] 제49권 305~336페이지(총32페이지)
이 논문의 목적은 포스트휴먼의 시대에 인간과 기술의 관계를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종래의 기술에 대해 부정적인 기독교의 인식의 문제점을 인지하고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포스트휴먼사상들을 기독교의 관점에서 검토한 후에 이를 극복할 신학적 대안을 하나님의 형상론에서 찾는 방식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이성적 기술의 발전을 통해 인간의 한계를 넘어 불멸을 추구하는 트랜스 휴머니즘은 인간중심주의와 유한성 거부의 문제가 드러났고 인간의 유한성은 인정하지만 인간과 기술의 경계를 넘어 사이보그가 된다거나 기술을 포함한 모든 것과의 체현적 주체성을 확립하려는 비판적 휴머니즘은 각각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인간의 주체적 역할의 모호함과 개체와 집단의 조화, 사회 정치적 현실과의 연관에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헤프너의 하나님 형상론을 도입하였고 그 ...
TAG Posthuman, Technology, Transhumanism, Critical Humanism, Imago dei, image of God, Phillip Hefner, 포스트휴먼, 기술, 하나님의 형상, 트랜스휴머니즘, 비판적 휴머니즘, 필립 헤프너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