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AND 간행물명 : 문화재 과학기술2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립중앙과학관 소장 은입사화로의 과학적 보존처리를 통한 입사 기법 고찰
이재성 ( Jaesung Lee ) , 윤혜성 ( Hye Seong Youn ) , 김미현 ( Mi Hyun Kim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문화재 과학기술 [2020] 제15권 제1호, 1~12페이지(총12페이지)
우리나라의 전통 과학기술을 연구하고 전시하는 국립중앙과학관에는 표면의 문양을 은실로 아름답게 꾸민 은입사화로가 있다. 화로의 사용이 널리 보편화되면서 백동에 은입사를 하여 문양을 넣거나 전체를 은으로 만든 고급 화로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하였다. 이처럼 표면에 수(壽)·복(福)과 같은 문자나 여러 가지 문양을 새기는 은입사는 비교적 단순한 형태의 화로에 장식적 효과를 주었다. 국립중앙과학관 소장은입사화로는 육각형 형태의 외함, 내함(1), 내함(2)로 구성된 3단 구조의 화로이다. 화로는 철로 형태를 만들고 표면에 은입사를 했기 때문에 표면에는 철 부식화합물이 생성되고, 입사한 은의 일부에는 황화은(AgS)이 만들어져 흑회색으로 변색되었다. 따라서 적갈색으로 산화되어 가는 철부식을 억제시키고, 흑회색으로 퇴색되어 가는 은입사 부위를 본래 색상으로 안전하게 되돌...
TAG 은입사화로, 보존처리, X선 투과조사, 쪼음입사기법, Silver inlaid iron brazier, Conservation, X-ray Radiography, Cross-hatch inlaying technique
논산 노성산성의 보존상태와 관리시스템 적용성 연구
이찬희 ( Chan Hee Lee ) , 박석태 ( Seok Tae Park ) , 박준형 ( Jun Hyoung Park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문화재 과학기술 [2020] 제15권 제1호, 13~24페이지(총12페이지)
논산 노성산성은 백제시대를 대표하는 테뫼식 산성이나 고려 및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통시 대적으로 사용되었다. 1995년부터 6차례 이상의 보수정비가 수행되었지만, 현재 성벽의 곳곳에서 개별 부재의 손상과 구조적 변형이 나타난다. 보존상태를 중심으로 성벽의 손상상태등급을 설정한 결과, 보수한 부분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성벽에서 구조적 변형이 발생하였다. 이를 토대로 보존관리등급을 검토하여 총 4개소에 해당하는 긴급보수 구간을 제시하였다. 또한 노성산성의 관리시스템 수립을 위해 다른 성곽문화유산의 적용사례를 고찰하여 충분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각각의 성곽문화유산은 보존상태와 특성에 적합한 관리시스템이 적용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밀진단 및 안전성 평가를 통해 획득한 자료를 근거로 노성산성의 현황에 맞는 관리방안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TAG 노성산성, 구조적 변형, 손상상태등급, 보존관리등급, 관리시스템, Noseongsanseong fortress, Structural deformation, Damage status grade, Conservation maintenance grade, Maintenance system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 출토 이식(耳飾)의 성분 조성과 제작기법
정다연 ( Dayeon Jung ) , 조현경 ( Hyunkyung Cho ) , 박수경 ( Sukyoung Park ) , 배채린 ( Chaerin Bae ) , 조남철 ( Namchul Ch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문화재 과학기술 [2020] 제15권 제1호, 25~32페이지(총8페이지)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에서 출토된 이식 6점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제작기법 및 성분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타 지역 출토 백제지역 이식과 재료학적 특징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식의 제작기법을 알아보기 위해 실체현미경으로 세부 모습을 관찰하였으며, 성분 분석은 비파괴성분분석기인 휴대용 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에서 출토된 이식모두 구리를 주성분으로 하는 심재를 먼저 제작한 후 금판을 감싸고 가열압접한 후 둥그렇게 형태를 만드는 과정을 동일하게 적용한 것으로 보인다. 보령 웅천 구룡리 출토 금제이식의 4점은 매장상태에서 금장이 탈락되어 심재만 남은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2점은 금 75∼85%, 은 15∼25%, 구리 10% 미만이다. 보령 웅천 구룡리 외에 부여 합정리 문냉이골 분묘, 서산 부장리 출토 백제이식을 ...
TAG 보령 웅천 구룡리 유적, 이식, 성분 조성, 제작기법, Ungcheon Guryong-ri site in Boryeong, Earrings, Chemical composition, Production Techniques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 내부 단청의 상태 진단 및 보존방안
유영경 ( Yeong Gyeong Yu ) , 정선희 ( Sun Hee Jung ) , 이화수 ( Hwa Soo Lee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문화재 과학기술 [2020] 제15권 제1호, 33~42페이지(총10페이지)
보물 제291호 부안 내소사 대웅보전의 내부 단청에 대한 보존방안을 마련하고자 과학적 조사를 통해 대표적인 단청 부재들의 보존상태를 파악하였다. 보존상태 진단 결과, 전반적으로 채색층 열화로 인한 물리적 손상과 먼지 등 이물질로 인한 오염 손상이 심화되고, 목재 균열 등 손상이 발생된 것으로 나타나 보존처리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적외선 촬영에서는 단청 밑그림에 그려진 먹선 등을 확인하여 제작 과정을 파악할 수 있었다. 열화상 조사에서는 채색층 박리 상태 및 정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메움처리 된 보수물질 등 단청 이외의 재질이 검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내소사대웅보전 내부 단청의 효과적인 보존방안 및 처리를 위한 정보로 활용될 뿐만 아니라, 단청 문화재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AG 단청, 진단, 보존방안, 내소사 대웅보전, Dancheong, Diagnosis, Conservation Methodology, Daeungbojeon Hall in Naesosa Temple
부여 쌍북리 56번지 사비 한옥마을 조성사업 부지 내 유적 도가니 특성 분석
이수진 ( Su Jin Lee ) , 이소진 ( So Jin Lee ) , 김규호 ( Gyu Ho Kim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문화재 과학기술 [2020] 제15권 제1호, 43~5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는 부여 쌍북리 사비한옥마을 조성사업 부지 내 유적에서 출토된 도가니 13점에 대한 자연과학적 분석을 통하여 생산유적의 제작기술과 생산도구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X-선 촬영을 통해 도가니의 재질 및 내부 상태를, 실체현미경을 통해 형태적 특징을 조사하였다. 또한 X-선형광분석기를 이용하여 도가니의 바탕과 내, 외면의 용융물질의 표면 조성을 분석하여 도가니의 용도를 검토하였다. 조성분석 결과, 도가니 13점은 구리-주석-납의 삼성분계 청동 도가니 6점, 구리-주석의 이성분계 청동 도가니 1점, 순동 도가니 2점, 납유리 도가니 3점, 용도 미상 도가니 1점으로 확인된다. 용도 미상 도가니 1점은 내, 외부에서 동합금 또는 유리 용융과 관련된 원소가 확인되지 않았다. 정확한 용융물질을 확인하기 위하여 별도 내부물질에 대한 시료 분석이 ...
TAG 도가니, 생산유적, 비파괴 조사, X-선형광분석기, 용융 물질, Crucible, Production ruins, Nondestructive Investigation, X-ray Fluorescence Spectroscope, Molten materials
천연 무즙과 도라지즙의 직물 세척 적용가능성 연구
이누리 ( Nu Ri Lee ) , 홍창용 ( Chang Yong Hong ) , 김성은 ( Seong Eun Kim ) , 정용재 ( Yong Jae Chung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문화재 과학기술 [2020] 제15권 제1호, 53~60페이지(총8페이지)
과거 문헌에서 직물 세척제로 기록된 다양한 천연재료 중 무즙과 도라지즙을 대상으로 세척성과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세척제로 무즙, 도라지즙, SDS, 증류수를 선정하였고, 직물 시편으로 면포, 곰팡이 오염포, 습식인공오염포를 선정하였다. 세척성 평가는 실체현미경 관찰, 색도 측정, 오염제거율 측정을 실시하였고, 안정성 평가는 면포와 오염포를 대상으로 실체현미경 관찰, 색도 측정, 직물pH를 측정하였다. 세척성 평가 결과, 무즙과 도라지즙은 일반 오염보다 곰팡이 오염 세척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무즙이 도라지즙보다 세척성이 높았다. 안정성 평가 결과, 무즙과 도라지즙은 섬유 손상이 확인되지 않았으며, 무즙은 pH 측정 결과 중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무즙이 면직물세척제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AG 직물, 습식세척, 무즙, 도라지즙, 세척성, 안정성, Textile, Wet Cleaning, Radish Juice, Balloon Flower Root Juice, Detergency, Stability
춘천 우두동 출토 토양과 토기의 재료학적 특성 및 상관성 분석
김수경 ( Su Kyoung Kim ) , 한민수 ( Min Su Han ) , 이명성 ( Myeong Seong Lee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문화재 과학기술 [2020] 제15권 제1호, 61~73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는 춘천 우두동 유적지에서 출토된 토양과 토기에 대해서 성분과 구성광물, 소성온도를 분석하여 비교함으로써 토양과 토기의 재료학적 상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주거지에서 수습한 토양은 다양한 색상을 띠고 있었으며, 점성과 가소성을 가지고 있었다. 주요성분 함량 분석결과, 토양에는 Fe2O3의 함량이 높고, 토기는 Al2O3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전체적인성분함량 범위 안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주요 구성광물은 토양과 토기에서 모두 유사했으나, 170호와 188호 주거지에서 수습된 토양에서 다량 포함된 녹니석과 장석류의 영향으로 MgO, K2O, CaO 등 일부 성분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판별분석 결과, 토양과 토기가 서...
TAG 우두동, 원삼국, 주거지 토양, 토기, 상관성, Udu-dong, Proto-Three Kingdoms period, dwelling soil, pottery, correlation
푸새직물의 효소세척 시 계면활성제 적용 연구
윤다영 ( Da Young Yoon ) , 최지선 ( Ji Sun Choi ) , 김태헌 ( Tae Heon Kim ) , 정용재 ( Yong Jae Chung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문화재 과학기술 [2020] 제15권 제1호, 75~83페이지(총9페이지)
푸새는 직물에 풀을 먹이는 행위로 전통 의류 관리 방법 중 하나이다. 전분으로 이루어진 풀은 푸새직물 문화재에 생물학적 손상을 가속할 수 있어 고착된 풀을 제거하는 과정이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착된 풀 제거 시 세척성 향상을 위해 효소(α-amylase)세척에 세척제의 침투력을 높이는 계면활성제(SDS, Triton X-100)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계면활성제의 적용 평가는 직물 내 잔여 전분 검증, 세척성 및 재질 안정성 평가를 통해 진행하였다. 잔여 전분 검증에서는 효소세척에 계면활성제를 적용했을 때, 푸새하지 않은 원포와 유사한 경향을 띠어 직물 내에 풀이 남아있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세척성 평가에서는 계면활성제 중 SDS로 세척 후 효소 세척을 하였을 때 세척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척성 평가...
TAG 푸새직물, 효소, 계면활성제, 세척성, 재질안정성, Sized fabric, Enzyme, Surfactant, Detergency, Material stability
3D 프린터를 활용한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실물모형 제작
이태종 ( Tae Jong Lee ) , 권병학 ( Byunghak Kwon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문화재 과학기술 [2020] 제15권 제1호, 85~92페이지(총8페이지)
지광국사탑 실물모형 제작은 기존의 모르타르 복원부재 제거 후 결실부분 신석복원 시참고가 될 수 있는 기준 정보, 중요 도상과 문양의 체적을 파악할 수 있는 형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해당 모형의 제작 범위는 부재 1/3이상 파손·결실된 옥개석 이상 상륜부재로 보주, 보개, 보륜, 앙화, 옥개석 총 5개 부재이다. 디지털자료기반 모형제작 과정을 살펴보면 기존의 모형제작 과정과 차이를 보이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 모형제작과정은 대상에 대한 스케치를 수행하고 그 대상에 대한 모형 틀을(석고 및 실리콘) 만들게 된다. 이때 모형틀 제작에서 작업자의 개인차가 발생하는데 숙련도 및 대상문화재 정보, 작업자의 주관적 생각이 모형틀 조각에 반영된다. 지광국사탑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모형이 제...
TAG 지광국사탑, 실물모형, 모형 틀, 디지털 자료, 3D 프린터, stupa of the state preceptor jigwang, full-sized model, model frame, digital data-based, 3d printer
360도 파노라마 이미지 기반 발굴 유적의 가상현실 콘텐츠 구축
안소린 ( So Rin An ) , 조영훈 ( Young Hoon Jo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연구소, 문화재 과학기술 [2020] 제15권 제1호, 93~99페이지(총7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대통사지 추정지 내 공주 반죽동 176번지 유적을 대상으로 360° 파노라마 이미지 기반의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환경을 구축하고, 여기에 발굴 성과와 관련된 아카이브 자료를 연계하여 온라인 콘텐츠를 완성하였다. 전체적인 VR 콘텐츠 제작과정은 8지점 74장의 지상 및 항공사진 촬영, 사진 중첩도 영상분석, 0.34∼5.81 픽셀 범위의 사진 스티칭, 파노라마이미지 제작, 렌더링을 통한 VR 구현, 4종 23건의 아카이브 자료 연계, VR 투어 제작 순으로 진행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파노라마 VR은 발굴 유적의 공간 기록 및 보존 정보를 전달하고 시간적 및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는데 매우 유용한 자료이다. 또한 팬데믹 상황에서 문화유산에 접근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을 제공하여 오프라인 전시...
TAG 발굴 유적, 파노라마, 가상현실, 아카이브, 디지털 콘텐츠, 온라인 플랫폼, Excavated remains, Panorama, Virtual reality, Archiving, Digital content, Online platform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