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시민교육연구101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민주적 학급풍토가 청소년의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치효능감의 매개효과-
김동진 ( Kim¸ Dongjin ) , 김재우 ( Kim¸ Jaew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1] 제53권 제1호, 1~25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치적 태도 및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민주적 학급풍토에 주목하였다. 청소년의 정치참여 능력 함양을 위해서는 내용적 측면의 교육도 중요하나 청소년이 경험하는 학교 환경 그 자체를 민주적으로 변화시키는 것 또한 중요하다. 청소년이 주로 생활하는 학교 공간 안에서 자연스럽게 민주적인 정치 과정을 경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청소년의 민주적 시민의식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주적 학급풍토가 청소년의 정치참여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정치효능감이 어떤 매개효과를 갖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역량지수 측정 및 국제비교 연구Ⅲ 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중·고등학교 학생 6,692명의 자료를 경로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민주적 학...
TAG 청소년의 정치참여, 민주적 학급풍토, 정치참여 의도, 정치효능감, 경로분석, adolescents, political participation, democratic classroomclimate, political participation intention, political efficacy, path analysis
민주적 학교공동체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박윤경 ( Park¸ Yun-kyoung ) , 이혁규 ( Lee¸ Hyugkyu ) , 박새롬 ( Park¸ Sae-rom ) , 심소현 ( Sim¸ So-hyun ) , 박경수 ( Park¸ Kyung-s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1] 제53권 제1호, 27~56페이지(총30페이지)
이 연구는 민주적 학교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해 개발된 연수 프로그램의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진이 연수의 전문가위원 및 운영진으로 연수의 개발, 실행 및 평가의 전 과정에 참여하여 그 과정을 기록하고 연수 과정에서 산출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연수프로그램의 개발 과정, 내용, 방법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의 측면에서, 대학 및 현장 학교의 전문가들이 개발 주체로 참여하여 협력적인 전문적학습공동체 활동을 바탕으로 연수의 방향과 내용을 설정함으로써 연수의 민주성과 현장성의 원리를 구현하였다. 또한 실행 연구의 방식으로 프로그램의 개발-실행-평가-재실행의 나선형적인 순환 과정을 거쳐 연수의 지속적인 개선 및 질 관리를 담보하였다. 다음으로 ...
TAG 민주적 학교공동체, 교사 연수, 교사 역량, 전문적 학습공동체, 민주시민교육, democratic school community, teacher training program, teacher competency,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절차적 효용을 반영한 학급자치활동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박현석 ( Park¸ Hyunseok ) , 신우진 ( Shin¸ Wooji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1] 제53권 제1호, 57~91페이지(총35페이지)
본 연구는 학생들 개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요인으로 절차적 효용에 주목하였고, 이를 참여형 학급자치활동의 개발 및 적용을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은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여, 차이 분석(t검증)을 통해 학급자치활동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절차적 효용을 경험할 수 있는 학급자치활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학생들이 통제집단의 학생들보다 행복감에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개인특성 변인에서는 자아존중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학교특성 변인은 교사관계, 친구관계, 소외감 및 위협관련 친구스트레스 등 모든 변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통계 검증을 보완하기 위해 반구조화된 질문을 통해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절차적 효용을 담보하는 학급회의방식...
TAG 학급자치활동, 행복감, 절차적 효용, 민주시민교육, student self-governing activity, happiness, procedural utility,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학교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이소연 ( Lee¸ So Yeon ) , 박은아 ( Park¸ Eun Ah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1] 제53권 제1호, 93~117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는 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탐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학교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민주시민교육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교의 민주적 환경, 수업에서의 학생 참여, 창의적 체험활동에서의 민주시민교육, 학생의 민주적 태도 실천 수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이 매우 긍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내용의 중요성과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방법 유용함에 대해서도 동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학급 자치나 학교 의사결정 과정에 학생 참여가 제도적으로 보장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학생 주도성이 높은 수업 참여 방식일수록 학생의 참여 정도가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창의적 체험활동 중 교내 의사결정이나 지역 사화의 참여를 활성화하는 것과 관련한 항목에서는 부정적 응답 비율이 상대...
TAG 학교 민주시민교육,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학 생의 인식,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 percep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tudent percep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revitalization of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사회교육과 학생의 졸업 후 진로 결정 요인 분석
장경호 ( Jang¸ Kyungh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1] 제53권 제1호, 119~136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성별, 입학 전형, 학업 성취도가 사회교육과 학생의 졸업 후 진로 선택 및 취업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진로 분야에 따라 각 요인의 영향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우선, 교직 분야에서 성별과 입학 전형은 진로 선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취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여성에 비해 남성이, 학생부 전형보다는 정시 전형, 논술전형, 기타 전형으로 입학한 학생이 취업할 확률이 더 높았다는 것이다. 학업 성취도 중에서는 다른 전공 영역과는 달리 교과교육 영역 평점이 높을수록 교직으로 진로를 선택하거나 취업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계 분야에서는 교직의 경우와 유사했으나 성별의 영향이 유의하지 않다는 차이가 있었다. 셋째, 공공 기관 분야에서는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성별의 경우 여성에...
TAG 사회과 교육, 사범대학, 진로 선택, 로짓 모형, social studies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career choice, Logit analysis
사회과에서의 뉴스 리터러시 수업의 방향 모색 : 댓글을 중심으로
전자배 ( Chun¸ Jabae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1] 제53권 제1호, 137~162페이지(총26페이지)
사회문제 해결의 주체인 시민에게 뉴스는 정보습득의 통로이자, 사회참여를 이끄는 밑바탕이 된다.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뉴스 환경이 변화됨에 따라, 대중은 뉴스 정보에 반응하며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는 뉴스 이용자로 그 역할이 확장되었다. 그리고 그 대표적인 수단으로 댓글이 있다. 온라인 뉴스 공간 속에서 댓글이 갖는 여러 공적 가치는 무시할 수 없으나 댓글로 인하여 촉발된 문제 양상 또한 사회 속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건강한 온라인 뉴스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의 내용이 댓글을 포함한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사회과의 뉴스 리터러시 선행연구들은 주로 기사 본문에 주목한 비판적 리터러시 함양을 강조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댓글을 중심으로 논의를 이어가고자 한다. 댓글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살펴보고...
TAG 뉴스 리터러시, 댓글, 온라인 뉴스 참여, 공론장, 사회적 영향이론, 탐구설계모형, news literacy, news comments, online news participation, public sphere, theory of social influence, inquiry design model, IDM
초중고 학생들이 생각하는 북한, 북한 사람 및 통일 : 학교 통일 교육에의 시사점
정영선 ( Jung¸ Young Son ) , 박윤경 ( Park¸ Yun-kyoung ) , 조영달 ( Cho¸ Youngda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1] 제53권 제1호, 163~197페이지(총35페이지)
이 연구는 북한과 통일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생각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 통일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 초중고 학생 53명과 북한, 북한 사람 및 통일에 대한 심층 면접을 수행하고 면접 자료를 감성분석과 질적 분석을 활용한 혼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북한과 관련하여 초중고 학생들은 국가로서의 북한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지만, 북한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기대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북한 사람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북한 주민에 대해서는 연민을 내포한 부정적인 감정을, 북한 이탈 주민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경계하는 양가적 모습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통일과 관련하여, 평화와 발전,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통일에 대한 긍정적으로 기대와 함께 사회 안전 및 경제...
TAG 북한, 북한 사람, 통일 교육, 감성 분석, 혼합 방법, North Korea, North Koreans, unification education, sentimental analysis, mixed method
정책 형성 과정으로서 '민주시민교육 포럼' 운영에 대한 비판적 고찰
길현주 ( Gil¸ Hyunjoo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4호, 1~23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2019년 교육부에서 개최한 '민주시민교육 포럼'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여 정책 형성 과정으로서의 포럼에 대한 특징과 의미를 밝히고,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2019년 ‘민주시민교육 포럼’은 정책연구 결과를 안내하거나 정책을 소개하는 포럼이라기보다 정책의 기반이 되는 민주시민교육 개념과 원칙에 대해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형성하는 자리의 성격을 가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럼 발표자, 토론자 등으로 참여한 37명을 대상으로 반성적 글쓰기를 실시하고 포럼의 의미와 특징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이 포럼에서는 학생을 주체로 세우고, 이론가와 실천가의 만남 또는 학계와 현장의 생생한 만남이 이루어졌다. 또한 포럼 참석자들은 자신의 생각과 의견을 사전조사, 현장 설문조사, 분임토의, 종합토의 등 다양한 형태로 표출...
TAG 민주시민교육, 정책 형성, 의사소통, 성찰, 학습 기회,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rming policies, communication, reflection, opportunity of learning
다문화사회에서의 교육연구 방향 탐색 : “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의 지향을 위하여
박선운 ( Park¸ Sunu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4호, 25~61페이지(총37페이지)
인종, 민족, 언어, 종교, 성적 정체성 등의 문화적 다양성이 계속적으로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집단 공동체 및 개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 또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방법론에 주목하여 다양한 배경을 지닌 집단 및 개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의 질적 향상과 양적인 증가를 도울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0년 후반부터 미국 교육학계에서 대두되어 논의된 ‘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culturally sensitive research, CSR)의 개념과 이의 발달과정, 핵심 내용을 소개한다. 연구의 전과정에서 ‘문화’를 핵심으로 두는 CSR은 문화적으로 적절한 연구방법을 선택하고, 연구참여자와 그의 문화공동체 집단 구성원이 지닌 문화적으로 특수한 지식을 연구의 과정에서 사용하며, 문화공동체 집...
TAG 다문화사회, 교육연구, 문화적으로 민감한 연구, 연구방법론, multicultural society, educational research, culturally sensitive research, research methodology
학교 수업에서 정치사회적 이슈를 다룬다는 것의 의미 이해: 서울 지역 중·고등학생들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박윤경 ( Park¸ Yun-kyoung ) , 조영달 ( Cho¸ Youngdal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시민교육연구 [2020] 제52권 제4호, 63~99페이지(총37페이지)
우리 사회의 정치적 양극화가 심화됨에 따라 교실 수업에서 이슈를 다룬다는 것 자체가 민감한 사회적 쟁점으로 대두하고 있다. 이와 함께, 학교 교육에서 정치사회적 이슈를 다루기 위해 적용할 수 있는 기본 원칙의 필요성과 구체적인 기준 마련을 위한 논의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학생들이 구성하는 학교 수업에서 정치사회적 이슈를 다룬다는 것의 의미를 심층 이해함으로써 이러한 사회적 논의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38명을 대상으로 정치사회적 이슈 수업을 둘러싼 쟁점들에 대한 심층 면접을 수행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생들은 학교 수업에서 정치사회적 이슈를 다루는 것이 필요하고 유용하다고 보았으며, 사회적으로 민감한 이슈를 다루는 것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입장을 제시했다. 학생들은...
TAG 정치사회적 이슈, 이슈 토론 수업, 이슈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 교사의 정치적 중립성, 질적 사례 연구, social and political issues, issue discussion class, teacher, s role in issue class, teacher, s political neutrality, qualitative case study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