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경제교육학회 AND 간행물명 : 경제교육연구39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캐나다 금융교육의 현황 및 사례
김재근 ( Jaegeun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2021] 제28권 제1호, 1~2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캐나다의 금융교육 현황과 사례를 주요 주별로 분석하고, 나아가 연방 정부에서 추진 중인 금융교육 국가전략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금융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캐나다는 철저한 교육 자치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금융교육의 양상도 주별로 차이가 크다. 앨버타 주에서는 고등학교 필수과목으로 지정되어 있는 ‘진로 및 생활관리’에서, 브리티시컬럼비아 주에서는 ‘수학’ 교육과정의 K-12 전 학년에서 금융이해력을 다루고 있다. 온타리오 주에서는 중등의 ‘진로탐구’와 초등의 ‘수학’에서, 퀘벡 주는 ‘경제’ 과목을 통해 금융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캐나다 연방 정부 차원에서의 금융교육으로는 금융소비자청(FCAC)의 설립, ‘금융교육 국가전략’의 추진, 국가 수준의 ‘금융역량조사’ 실시 등이 있다. 캐나다의 금융교육의 특징으로 첫째, 교육...
TAG 캐나다, 경제교육, 금융교육, 금융이해력, 금융교육 국가전략, Canada, Economic education, Financial education, Financial literacy, National strategy for financial education
일본의 [경제학 참조기준] 논쟁 연구 (II)
김경모 ( Kyung Mo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2021] 제28권 제1호, 27~48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는 ‘일본의 [경제학 참조기준] 논쟁 연구(I)’의 후속 연구이다. 앞서의 연구에서는 [경제학 참조기준]의 제정 과정, 최종안의 내용 그리고 그 과정에서 드러났던 논쟁들을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인 본 연구에서는 [경제학 참조기준]의 제정을 전후로 이루어진 관련 사안을 일본 경제교육의 개혁이라는 맥락에서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검토하였다. 우선 [경제학 참조기준]의 국제적 배경으로서 OECD-AHELO와 블로냐 협약에 의한 튜닝(Tuning Approach), 그리고 영국의 고등 교육의 질 관리기구인 QAA의 경제학 [과목 기준]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어 2015년 이후의 일본의 전면적인 교육개혁과 2017년의 학습지도요령의 개정이 [경제학 참조기준]과 함께 일본이 경제교육 개혁에 어떤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했다. 마지막으로 [경제학 ...
TAG 경제학 참조기준, 전면적 교육개혁, 학습지도 요령 개정, 능동적 학습, 일본의 경제교육 개혁, Benchmark for economics, Educational reform, Change of the course of study, Active learning, Reform of economic education in Japan
사회과 교과 역량 구현을 위한 경제 영역 성취기준 수정 방향 탐색
이바름 ( Bareum Lee )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2021] 제28권 제1호, 49~75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경제역량을 길러주기 위한 체계적인 경제교육은 교육과정 차원에서 접근해야 하며 이를 위해 학교 수업과 평가에서 가장 실질적 지침 역할을 하는 성취기준에 역량이 고루 반영되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역량 구현을 위한 성취기준 수정 방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경제 영역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을 분석한 결과 주로 비판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 정보 활용 능력과 관련이 있었으며 의사소통 및 협업 능력과 관련된 기능은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내용체계에 제시된 기능 중 추론하기, 적용하기, 의사 결정하기는 초등학교와 중학교 성취기준 모두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반면 초등학교와 중학교 성취기준에서 다룬 제시하기, 설명하기 기능은 내용 체계 기능에서는 다루고 있지 않았다. 따라서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 기능에 의사소통 능력 및 협업 능...
TAG 사회과 역량, 경제 역량, 사회과 교육과정 경제 영역 성취기준, Social studies competency, Economic competency, Social studies achievement standards in economic area
고등학생의 대학교 경제ㆍ경영 계열 전공 희망과 선택
한경동 ( Kyungdong Hahn )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2021] 제28권 제1호, 77~89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고용패널Ⅱ(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Ⅱ)을 이용하여 고등학생의 4년제 대학교 경제 · 경영 계열 전공 희망과 선택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4년제 대학교 경제 · 경영 계열 전공을 희망했던 학생 중 63.5%는 다른 전공을 선택하며, 경제 · 경영 계열 전공을 선택한 학생 중 51.8%는 다른 전공을 희망했던 학생이었다. 둘째, 경제 · 경영 계열 전공을 희망하고 선택한 집단과 희망하지 않았으나 선택한 집단, 그리고 희망하고 선택한 집단과 희망했으나 선택하지 않은 집단의 비교에서 학생의 성적 등급, 수학 과목선호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고등학생의 성적이 우수할수록 4년제 대학교 경제 · 경영 계열 전공을 희망하거...
TAG 고등학생, 대학 전공 선택, 경제·경영 계열, 경제교육, High school, Students, College major choice, Economics, Economic education
북한 이탈주민의 경제 지식
한진수 ( Jinsoo Hahn )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2021] 제28권 제1호, 91~111페이지(총21페이지)
경제 지식은 개인이 건전한 경제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지녀야 하는 기초 역량이며 현대 사회에서 갈수록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에 정착한 북한 이탈주민의 경제 지식수준 파악에 초점을 두었다. 조사 결과 북한 이탈주민은 전반적으로 경제 지식의 부족이 심각하다. 스스로 한국에서 경제생활을 하는 데 필요한 경제 지식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 못하다고 평가하는 경향이 있어 과신문제는 발견되지 않았다. 이들은 특히 재정 적자, 거래의 이득 원리, 인플레이션의 영향, 국내 총생산, 희소성과 합리적 선택 원리, 시장의 역할, 화폐의 기능 등의 개념과 원리에 대한 이해도가 절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있다. 회귀분석 결과 소득이 높은 사람과 경제교육을 받기를 희망하는 사람의 경제 지식 점수는 그렇지 않은 사람의 점수보다 높으며, 경제 문제에 대한 관심도...
TAG 북한 이탈주민, 경제 지식, 경제교육, North Korean defectors, Economic knowledge, Economic education
소비의 외부성과 비합리적 소비, 어떻게 이해하고 가르칠 것인가?
오영수 ( Youngsoo Oh )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2020] 제27권 제3호, 1~26페이지(총26페이지)
현대 경제학에서 합리적 소비는, 합리적 선호로 무장한 소비자가 주어진 예산제약하에서 재화로부터의 효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조건을 만족시킬 때 달성된다. 이에 비해 우리의 학교경제교육에서는, 이러한 효용극대화 조건이 적용될 수 없는 소비의 외부성이나 투기적 수요는 암묵적으로 비합리적 소비와 가까운 것으로 간주되어온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학교경제교육에서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비합리적 소비의 개념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하여, 다양한 소비의 외부성을 소비의 합리성이라는 관점에서 이론적 및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의 비합리성은 소비의 외부성과 같이 특정 유형의 소비를 기준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과정의 계획성과 일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판단해야 할 문제라는 인식하에, 실제로 청소년들이 소비의 외부성과 비합리적 소비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
TAG 비합리적 소비, 소비의 외부성, 기능적 수요, 밴드왜건, 스놉, 베블렌효과, Irrational consumption, Consumption externality, Functional demand, Bandwagon effect, Snob effect, Veblen effect
학교 경제교육을 위한 경제역량 탐색
박영석 ( Youngserk Park ) , 한경동 ( Kyungdong Hahn ) , 김재근 ( Jaegeun Kim ) , 김경모 ( Kyungmo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2020] 제27권 제3호, 27~50페이지(총24페이지)
경제역량 설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기 위해 경제역량으로 논의되는 주요 역량사례들에 대한 전문가 조사를 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문가들이 선호한 경제역량은 의사결정역량, 문제해결역량, 지식정보처리역량이었다. 이 역량들은 경제학습이 전통적으로 추구한 역량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이 역량들을 별개의 독립적인 역량으로 볼 것인지, 이들을 어떻게 차별화할 것인지는 덕 검토할 필요가 있다. 경제역량으로 부적합게 여겨진 것은 심미적 감성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공동체 역량이었다. 경제과목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다는 것이다. 그러나 공동체 역량에 대한 관심이 낮은 것은 경제 교육에서 시민과 공동체에 대한 인식이 약하다는 점을 의미하기 때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경제역량 설정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총론의 핵심역량이나 사회과 교과 역량 등과 위계설정이 쉽지...
TAG Economic competencies, Core competencies, Economics curriculum, School economics education, 경제역량, 핵심역량, 경제교육과정, 학교경제교육
사회지식 공동구성 수업에서 교수자의 역할에 대한 이해 - S대학교 대학원 <경제교육연구> 수업을 중심으로 -
조영달 ( Youngdal Cho ) , 이수정 ( Sujeong Lee ) , 심소현 ( Sohyun Sim ) , 김지윤 ( Jiyoon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2020] 제27권 제3호, 51~89페이지(총3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탈현대적 패러다임을 반영하는 사회지식 공동구성 수업모형을 실천하는 ‘교수자’의 역할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안적 경제교육의 개념’을 공동으로 구성하는 대학원 ‘경제교육연구’ 수업을 사례로 선정하여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실시하였으며, 수업을 구상 단계, 실천 및 전개 단계, 산출 및 정리단계로 분석하여 단계별 수업 참여자들의 상호작용 속에서 교수자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지식 공동구성 수업모형에서 교수자의 역할은 ‘탐색자(探索者, explorer)’로서의 모습을 띠었다. 탐색자로서의 교수자는 수업과 참여자들의 상호작용에 대한 맥락적 이해를 기반으로, 매 상황에 맞는 최선의 기여 방법을 즉시적(impromptu)이고 유목적(nomadic)으로 탐구하는 자이다. 타자에 대한 환대(hospit...
TAG 사회지식 공동구성 수업, 교수자의 역할, 실행연구, 탐색자로서의 교수자, Co-construction of Social Knowledge, CSK, Instructor, Action research, Instructor as an explorer
장자의 사상 분석과 경제교육적 시사점
김상규 ( Sang-kyu Kim )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2020] 제27권 제3호, 91~116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경제에 관한 철학과 원리의 유효성이 모두 비판받고 있는 불확실성(uncertainty)의 시대에 대처할 대안으로 장자(莊子)의 사상을 경제적 관점에서 집중·분석하고 경제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왜냐하면 오늘날 불확실성의 경제상황이 장자가 처했던 전국시대(戰國時代)와 매우 닮았으며, 당시 장자의 사상은 충분히 진가(眞價)를 발휘해주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의 인문학적 상상력이 잘 농축되어 있는 장자의 사상을 현대 경제적 관점에서 재조명하고 경제교육적 시사점을 탐색하는 학제 간 연구(interdisciplinary study)는 그 의의가 매우 크다.
TAG 불확실성, 장자의 사상, 경제교육적 시사점, 학제 간 연구, Uncertainty, Thought of Chuang-tzu, Economic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Interdisciplinary research
고등학생의 이타성과 공정성에 따른 잠재집단 분류 및 특성 탐색
박상은 ( Sangeun Park ) , 노현종 ( Hyunjong Noh )  한국경제교육학회, 경제교육연구 [2020] 제27권 제3호, 117~144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경제실험을 활용하지 않고 고등학생을 이타성과 공정성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그 특성을 밝히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활용 하였으며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대체로 이익과 손해에서 균형을 추구하며 전략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높은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연구대상 학생들 중 27%는 보통수준의 이타성과 공정성을 가지는 매처 집단으로, 73%는 타인의 이익을 고려하는 높은 이타성을 가지는 기버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학생들은 경제 뉴스를 많이 접할수록 매처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반면 기본심리욕구가 만족될수록 기버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셋째,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버 집단에 많이 분포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개인적 특성에서 팀과제 참여 여부 보다 매처 집단에 속하는지 기버집단에 ...
TAG 이타성, 공정성, 매처 집단, 기버 집단, 성별, Altruism, Fairness, Matcher group, Giver group, Gender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