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교육과정학회1152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국가교육과정 개정과 교육과정 연구자: 책무와 역할
성열관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1] 제39권 제1호, 1~4페이지(총4페이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 밖 학습경험의 학점 인정에 관한 쟁점 논의
이광우 ( Kwangwoo Lee ) , 임유나 ( Yoona L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1] 제39권 제1호, 5~34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일반계 고교 학교 밖 학습경험의 학점 인정에 관한 쟁점을 검토하고 방안을 논의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학교 밖 학습경험의 학점 인정 관련 시·도 교육청 지침, 유사 제도 및 운영 사례를 통해 쟁점 논의의 준거를 여섯 가지로 설정하고 논의하여 단기, 중장기 방안을 제안하였다. 첫째, 학교 밖 학습경험은 단기적으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보완적 차원에서 국가 교육과정에 제시된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개설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학교 교육과정을 대체하는 차원에서 학생의 요구, 진로가 고려된 다양한 과목 개설이 필요하다. 둘째, 과목 개설 인정 시 단기적으로 사전 승인을 통해, 중장기적으로는 공모를 통한 승인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이수 학점은 10±2학점까지 제한적으로 허용하고, 중장기적으로는 20±2학점까지 확대할 ...
TAG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Right to Choose Subject, Out-of-School Learning Experience, Out-of-School Education Activity, Community Learning Center, 고교학점제, 과목 선택권, 학교 밖 학습경험, 학교 밖 교육활동, 지역사회 학습장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과목 개발을 위한 미국 미네소타 주 고등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 관한 사례연구
김샛별 ( Saetbyeol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1] 제39권 제1호, 35~64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미네소타 주 고등학교 가정과 선택 교육과정 사례를 분석해 우리나라 가정과 교육의 고교학점제를 준비를 위한 선택과목 개발에 관한 시사점을 탐색한 것이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3가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생들의 학습 선택권 보장과 진로 탐색을 위해 가정과 교육의 5개 영역별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현재, ‘의복과 패션’, ‘주거와 환경’, ‘가정 자원과 소비자’ 영역의 진로 선택과목이 부재하므로 이에 관한 선택과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인간 발달과 가족’ 영역은 ‘관계’, ‘돌봄’과 같은 사회적 이슈 및 직업윤리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의복과 패션’, ‘주거와 환경’ 영역은 ‘디자인’ 주제를 중심으로 산업 현장에서 활용하는 기계와 프로그램을 적용해 선택 교육과정을 개발할 것을 제안한...
TAG high school credit system, Minnesota state’s FCS curriculum, career development electives, 고교학점제, 미네소타 주 가정과 교육과정, 진로 선택과목
초ㆍ중 통합운영학교의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실행 모형 탐색
정미경 ( Mikyung Chung ) , 이상은 ( Sangeun Lee ) , 박상완 ( Sangwan Park ) , 민윤경 ( Yunkyung Min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1] 제39권 제1호, 65~91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는 초·중 통합운영학교에서 실행할 수 있는 미래지향적 교육과정 실행 모형을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네 가지 연구 문제를 탐색하였다. 첫째,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육과정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육과정 실행과정에서 나타나는 긍정적 효과와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육과정의 미래지향적 변화 방향은 무엇인가? 넷째,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육과정의 실행 모형은 무엇인가? 주된 연구 방법으로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초·중 통합운영학교중 대도시 대규모 학교와 농촌 소규모 학교 한 곳씩을 사례로 선정하고, 교사, 장학사, 학부모 등 총 1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현 제도 하에서 가능한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육과정 실행모형으로는, 교과 교육과정...
TAG icombined school, linkage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curriculum implementation model, curriculum design, future-oriented curriculum, 통합운영학교, 초·중 교육과정 연계, 교육과정 실행 모형, 교육과정 설계, 미래형 교육과정
빅 아이디어 중심 교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의 연계 방식 탐구: 캐나다 BC 주와 온타리오 주 사회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백남진 ( Namjin Paik ) , 온정덕 ( Jungduk Ohn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1] 제39권 제1호, 93~122페이지(총30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캐나다 BC 주와 온타리오 주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검토하여 빅 아이디어 중심으로 교과 교육과정을 설계할 때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의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개선 방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빅 아이디어의 의미와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BC 주와 온타리오주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내용과 기준의 제시와 특징을 살펴보고, 셋째, 이러한 외국의 사례들을 통해 빅 아이디어 중심 교과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의 연계를 위한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핵심 개념을 여러 주제와 소재를 아우를 수 있는 소수로 선정하고, 각성취기준이 어떠한 핵심 개념과 연계되는지를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일반화를 학년(군)별로 선정하고,...
TAG ikey concepts, big idea-based subject curriculum development, alignment between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2015 revision subject curriculum, BC, Ontario Canada, 핵심 개념, 빅 아이디어 중심 교과 교육과정 개발,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 체계와 성취기준의 연계성, 캐나다 BC 주, 온타리오 주
교육과정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2011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윤옥한 ( Okhan Y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1] 제39권 제1호, 123~140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정 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과정연구 논문을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330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10년 전(2000-2010) 연구 동향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경우 총 59편(18%), 교육과정 이론은 총 65편(20%), 둘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문헌 또는 이론연구가 총 209편(63%)으로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총 85편(26%), 양적 연구가 총 36편(11%)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과거 10년(2000년~2010년)과 현재 1...
TAG Curriculum, Curriculum Research, Curriculum Research Trend,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Curriculum Research Method, 교육과정, 교육과정연구, 교육과정 연구 동향,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 연구 방법
글로벌 압력의 배경에서 미국의 표준교육 개혁 동향: 교육과정 표준화 징후
오정환 ( Junghwan Oh ) , 임태홍 ( Taehong Lim ) , 정구인 ( Kooin J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1] 제39권 제1호, 141~165페이지(총25페이지)
이 글은 학습성과에 관한 국제비교평가의 요구에서 비롯된 글로벌 압력의 배경에서 미국이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해 나아갔는지를 표준교육법안의 발달과정을 통해 살펴보고, 1980년대 이후 표준교육으로의 전환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과정 표준화 동향을 비판적 시각에서 담론한다. 획일화된 교육과정과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시도하는 여러 국가와 더불어,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의 확립을 통해 국가 수준의 학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도된 정책은 전지구적 추세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동향에서 미국은 그들 특유의 실정과 맥락을 고려하여 넓은 의미로 정의된 학습표준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로컬 수용적인 표준기반교육 방식을 채택한 이유는 사회문화적 다양성, 지역적 특수성, 그리고 다음적 권한 구조 등을 포함하여 그들의 교육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정책 공...
TAG standards-based learning, global educational governance, education policy, politics of knowledge, curriculum standardization, 표준교육, 글로벌 교육 거버넌스, 교육 정책, 지식과 권력, 교육과정 획일화
최신 교육과정학의 세 가지 키워드: 비판, 미래, 교사
성열관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4호, 1~4페이지(총4페이지)
이 글은 학습성과에 관한 국제비교평가의 요구에서 비롯된 글로벌 압력의 배경에서 미국이 어떠한 방식으로 교육개혁을 추진해 나아갔는지를 표준교육법안의 발달과정을 통해 살펴보고, 1980년대 이후 표준교육으로의 전환과정에서 나타난 교육과정 표준화 동향을 비판적 시각에서 담론한다. 획일화된 교육과정과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고자 시도하는 여러 국가와 더불어,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의 확립을 통해 국가 수준의 학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의도된 정책은 전지구적 추세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글로벌 동향에서 미국은 그들 특유의 실정과 맥락을 고려하여 넓은 의미로 정의된 학습표준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로컬 수용적인 표준기반교육 방식을 채택한 이유는 사회문화적 다양성, 지역적 특수성, 그리고 다음적 권한 구조 등을 포함하여 그들의 교육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정책 공...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딜레마
서경혜 ( Kyounghye Seo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4호, 5~31페이지(총27페이지)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의 함양을 기치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개발, 시행된 지 수년이 지난 지금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학교 현장에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데 어려움이 많다는 연구 보고가 잇따르면서 그 문제 진단과 해법을 둘러싸고 논란이 가열되는 양상이다.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유지 개선하자는 입장, 역량기반 교육과정으로 인해 약화된 지식교육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 OECD 주도의 글로벌 교육과정 거버넌스에서 벗어나자는 입장 등 여러 주장들이 제기되고 있다. 개선이든 대안이든 어떠한 입장을 취하기에 앞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둘러싼 논쟁에 대해 보다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논쟁과 관련된 주요 쟁점들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전통적으로 직업교육에서 활용되었던...
TAG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eCo, OECD Education 2030, 2015 Korean National Curriculum, global curriculum governance, 역량기반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OECD 교육 2030, 글로벌 거버넌스
초등학교 저학년 통합교과 교육과정 구성에서 학습자 중심성의 적용방식 분석
김영실 ( Youngsil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교육과정연구 [2020] 제38권 제4호, 33~56페이지(총24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교 통합교과의 교육과정 정체성으로 ‘학습자 중심성’을 발견하고, 이 개념이 실제 교육과정 내용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통합교과는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들의 미분화된 심신 발달 단계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학습자들의 경험을 고려한 내용 구성을 가능하게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결과, 교육내용을 학습자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시키는 데 내용상의 특징이 있다. 학습자 중심성이 교육과 정에서 실제로 어떻게 적용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는 통합교과 관련 연구와 7차 국가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국가교육과정까지 통합교과 교육과정, 2015 개정교육과정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학습자 중심성은 첫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발전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하고 있었다. 둘째, 통합교과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에 대한 사회적 압력의 결과 너무 많은 범...
TAG integrated curriculum, identity for integrated curriculum, learner-centeredness, historical analysis of curriculum, 통합교과 교육과정, 통합교과의 정체성, 학습자 중심성, 교육과정의 역사적 분석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