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사진지리학회 AND 간행물명 : 한국사진지리학회지833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스페인 톨레도의 역사문화경관 특성과 활용
공윤경 ( Kong¸ Yoon Kyung )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1] 제31권 제1호, 1~14페이지(총14페이지)
이베리아반도 중앙에 위치한 톨레도는 과거 로마 제국의 군사도시, 서고트왕국의 수도, 이슬람 세력의 북부전진기지 그리고 카스티야왕국의 수도였던 곳이다. 본 연구는 스페인 톨레도를 사례로 역사문화경관의 특성과 활용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기독교, 이슬람교, 유대교가 공존함으로써 문화·예술의 혼종을 유도하였다. 콘비벤시아는 각종 건축물에 모사라베 양식과 무데하르 양식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회당, 왕궁, 병원, 성(城) 등을 문화시설이나 숙박시설로 활용하였다. 이는 도시정체성 유지뿐만 아니라 도시의 가치 향상, 도시 재활성화에 기여하였다. 셋째, 역사문화경관의 관리, 주민 편의와 복리 증진을 위해 통합적 보호계획을 수립하고 기구를 설립하였다. 이와 같이 톨레도는 서로 다른 종교와의 공존을 통해 이루어낸 다양한 역사문화경관을 복원...
TAG 역사문화경관, 콘비벤시아, 톨레도, 무데하르, 도시 재활성화,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s, Convivencia, Toledo, Mudejar, Urban Revitalization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관광지 속성에 관한 중요도-성취도 분석
정재원 ( Jae-won Jeong ) , 한주형 ( Ju Hyoung Han )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1] 제31권 제1호, 15~27페이지(총13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역사문화자원을 활용한 도시재생 관광지의 주요 속성을 중요도-성취도 분석을 활용하여 평가하는데 있다. 정주형 한옥밀접지역이자 도시재생과 도시관광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는 우리나라 대표지역인 서울북촌 한옥마을과 전북 전주 한옥마을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2020년 10월 26일부터 11월 9일 까지 온라인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해당 지역을 방문한 내국인 관광객의 인식을 바탕으로 평가하였다. 관광지 주요 속성에 대하여 관광객이 평가하는 중요도와 성취도 수준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우선순위 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 및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관광객들은 관광지 대부분의 속성에 대하여 중요도 보다 성취도를 낮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IPA 매트릭스에서, ‘유지 강화 영역’에 속하는 항목은...
TAG 역사문화자원, 도시재생, 도시관광, 관광지 속성, 중요도-성취도 분석,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Urban regeneration, Urban tourism, Destination attributes,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덕천서원의 풍수와 남명사상의 해석
박정해 ( Park¸ Jeonghae )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1] 제31권 제1호, 28~43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덕천서원의 입지와 관련하여 풍수와 학문세계가 건축물의 공간구성 속에 어떤 형태로 녹아들었는지 밝혀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풍수를 반영해서 입지를 선정했다고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주산과 명당수를 밝히고 있다는 점은 의미있는 입지선정이 이루어졌다는 반증이다. 남명이 이곳 지리산 자락 덕산에 자리하게 된 배경에는, 이곳이야말로 자신의 학문을 완성할 수 있는 최적의 장소라 여겼기 때문이다. 아기자기한 분위기가 아니라 강인한 느낌으로 무장한 듯한 분위기를 연출하고 있고, 장대한 지리산의 기상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으며, 지리산 천왕봉이 한눈에 바라다보이는 곳에 있어 그 기상이 최고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리산의 기상이 곧 호연지기를 담는 그릇이라 인식한 것인데, 하징은 서원입지로서는 최고라 할 만하다고 표현하고 있다. 지리산을 태조산으로 하고 사당을...
TAG 덕천서원, 남명, 호연지기, 지리산, 풍수, Deokcheon Seowon, Nammyeong, Hoyeonjiki, 浩然之氣, Jiri Mountain, Fengshui
인도 델리의 역사문화경관에 관한 연구
성명희 ( Seong¸ Myeong Hee ) , 이혁진 ( Lee¸ Hyuk Jin )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1] 제31권 제1호, 44~55페이지(총12페이지)
델리는 인도북부도시이자 수도이며 뉴델리와 올드델리로 나뉜다. 델리는 과거 델리술탄과 무굴제국시기를 겪으며 이슬람왕국의 중심에 있었고, 오늘날 힌두교가 지배적인 인도 안에서 뚜렷한 이슬람문명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델리의 세계유산을 포함한 역사문화경관의 특징을 기술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델리는 옛 이슬람제국 영향이 강하며, 올드델리는 무굴제국 샤자한이 건설한 샤자하나바드로 인도-이슬람문화를 구현한 인도의 최고도시이다. 델리 세계유산은 델리술탄 쿠트브 미나르 유적지, 무굴제국 후마윤묘와 붉은 요새 복합단지가 있다. 델리는 여러 종교가 발생한 인도의 문화지리적 특징을 반영한 종교경관이 분포한다.
TAG 인도, 델리, 세계유산, 역사문화경관, 무굴제국, India, Delhi, World heritage, Historical and cultural landscape, Mughal empire
탐구적, 다감각적 지리답사 전략 -부산시 영도를 사례로-
김민성 ( Kim¸ Minsung ) , 김종근 ( Kim¸ Jong-geun )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1] 제31권 제1호, 56~74페이지(총1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시 영도를 사례로 지리 개념 이해를 위한 탐구적 지리답사,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고려하는 다감각적 지리답사 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탐구적 지리답사의 주제로 도시재생의 명과 암, 동삼혁신지구 해양 클러스터 사례를 제안하였다. 다감각적 경험을 활용하는 지리답사를 위해 소리 경관, 후각 경관과 관련된 사례, 낯설게 보는 경관 탐색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다양한 지역에서 탐구적, 감각적 답사를 기획하고 실천하는 데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 논의의 연장선에서 모바일 테크놀로지, 가상현실을 답사에 적용하는 전략에 주목하고, 능동적 지리답사를 실행할 수 있는 지리답사 교수내용지식 함양에 관심을 가질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처럼 다양한 관점에서 구체적 지리답사 실행의 기반을 마련하는 연구를 통해 지리답사의 외...
TAG 탐구적 답사, 다감각적 답사, 모바일 테크놀로지, 가상현실, 지리답사 교수내용지식, Inquiry-based fieldwork, Multi-sensory fieldwork, Mobile technology, Virtual reality, Fieldwork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농업유산을 통한 지속가능한 농촌관광 개발 전략 -강진군 병영면을 중심으로-
임근욱 ( Lim¸ Keun Uk )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1] 제31권 제1호, 75~89페이지(총15페이지)
본 연구는 강진군 병영면의 농업유산을 탐색하고, 농업유산을 기반으로 하는 관광자원의 개발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병영면의 대표적인 농업유산은 17세기 전라병영성 해자를 위한 군사용 수자원 확보를 위한 수리체계가 구축되었다. 평야 구릉상에 위치하는 5개 방조제가 서로 연계되어 가뭄과 같은 수자원의 부족시에는 하고제로 이동하여 병영성의 군사용 수자원으로 공급될 수 있는 수순환체계로 구축되어 있다.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존재하지 않는 병영면만의 독특한 수리구조이다. 이러한 농업유산을 통한 관광자원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 강진군이 그동안 대중관광목적지로 각광받지 못하여 관광객에게 인지도가 상대적으로 낮았던 약점을 기회로 변환시켜 강점으로 발전시켜나가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강진군의 브랜드를 높일 수 있는 국가중요농업유산이나 국가중요어업유산을 개...
TAG 농업 유산, 관광자원 개발, 지속가능한 관광, 수순환체계, Agricultural heritage, Tourism resources, Sustainable tourism, Water cycle system
여행지리 정착을 위한 세 가지 질문과 도전
김기남 ( Kinam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1] 제31권 제1호, 90~107페이지(총18페이지)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진로선택과목 여행지리의 정착을 위한 조건을 세 가지 질문과 그에 대한 답으로 제시하였다. 첫 번째 질문은 여행지리의 목적이자 존재 이유인 ‘왜?’이다. 여행지리는 다가올 미래 사회를 대비하여,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학습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심리적으로도 진로를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유용한 목표 성취를 가능하게 해준다. 두 번째 질문은 여행지리 과목 콘텐츠에 대한 ‘무엇을?’이다. 지리교과 내용은 여행을 체계적으로 잘 조직할 수 있는 학문적 특성을 토대로 하고 있다. 따라서 지리를 통해 더욱 유의미한 여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세 번째 질문은 수업의 방법에 대한 ‘어떻게?’이다. 여행지리는 지리교과 내용을 현실 공간에 적용하여 이해하는 성격의 과목이다. 다양한 자료와 색다른 방식의 수업을 ...
TAG 여행지리, 지리교육, 진로선택과목, 수업 방법, 심리적 효과, Tourism geography, Geography education, Career elective subject, Teaching methods, Psychological effects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한 산불 발화지점의 공간분포 및 위험지역 추정 연구
윤혜연 ( Hye-yeon Yoon ) , 장동호 ( Dong-ho Jang )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1] 제31권 제1호, 108~121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산불 발화지점의 공간분포 패턴과 지역 간 연관성 분석을 통해 향후 산불 발생 위험성이 높은 지역을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최근린지수 분석에서는 산불 발화지점과 발화원인2(논·밭두렁소각, 쓰레기소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군집 패턴이 나타났다. 또한 커널밀도 분석에서는 영주시·안동시·봉화군 경계부 등이 공간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핫스팟 분석에서는 봉화군, 영주시, 울진군, 안동시, 문경시, 영양군, 포항시 북구, 경주시 등이 핫스팟 지역으로 나타났다. 전역적 Moran’s I 분석에서는 산불발생건수와 발화원인 3(어린이불장난, 건축물화재, 기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국지적 Moran’s I 분석에서 HH 지역으로 나타난 곳은 영양군, 영주시...
TAG 산불, 공간통계기법, GIS, 최근린지수, 커널밀도, 핫스팟, 공간적 자기상관성, Forest fire, Spatial Statistics Method, Nearest neighbor index, Kernel density, Hot spot, Spatial autocorrelation
영광 불갑천 하구역의 유역환경 특성과 지속가능관리 방안
오정식 ( Oh¸ Jeong-sik ) , 김장수 ( Kim¸ Jang Soo )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1] 제31권 제1호, 122~137페이지(총16페이지)
본 연구는 지형·생태적으로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담당하는 불갑천 하구역의 보전과 지속가능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현장조사를 기반으로 지리공간정보 및 퇴적물 분석을 수행하였다. 불갑천은 1930년대 근대식수리시설이 도입되고 대규모 경지정리가 진행되어 유역환경이 크게 변화하였다. 하지만 불갑천 하구역은 중상류 지역보다 비교적 온전한 자연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다양한 해안지형과 하천지형이 어우러져 지형다양성도 높다. 불갑천은 하구로부터 상류로 약 15.8㎞ 구간이 감조하천이며, 이러한 특징은 퇴적물 입경의 공간분포패턴에서도 확인된다. 퇴적물 입경은 연구지역 내 최하류 구간인 BG1 지점에서 모래가 높은 비율(약 90%)을 보였지만, 중·상류 구간에 해당하는 BG2 및 BG3 지점에서는 실트의 비율(약 80%)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퇴적물의 전기전도도...
TAG 하구역, 불갑천, 퇴적물 분석, 생물서식처, 지속가능관리, Estuary zone, Bulgabcheon, Sediment analysis, Habitats, Sustainable management
한반도 비무장지대의 사라진 마을과 지명에 관한 연구
김창환 ( Kim¸ Chang Hwan ) , 양준혁 ( Yang¸ Jun Hyeok )  한국사진지리학회,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021] 제31권 제1호, 138~149페이지(총12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비무장지대 사라진 마을의 지명 분포와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자료는 군사분계선과 남ㆍ북 경계선이 공식적으로 표기되어 있는 『정전협정문 첨부 지도』와 일제강점기 때 발행된 『근세한국 오만분지일 지형도』를 사용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무장지대 내에는 총 2개 도, 9개 군, 35개 면의 116개 행정리와 401개의 부속마을이 있었다. 둘째, 비무장지대 내 사라진 부속마을 중 194개 마을이 남쪽, 203개 마을이 북쪽 관할로 들어갔으며, 군사분계선 상에 위치한 마을은 13개 마을이었다. 셋째, 비무장지대에 있었던 마을 지명의 전부 지명소는 ‘곡’과 ‘산’ 등 지형적 요소가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비무장지대 전체에 포함된 부속마을 401개의 지명 분류는 자연지명이 180개, 위치지명이 95개, 인문...
TAG 지명, 비무장지대, 사라진 마을, 정전협정문 첨부 지도, 자연지명, Place Names, DMZ, Disappeared Villages, Arimistice Agreement Maps, Physical Names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