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639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의 관점에서 초등 지리의 기후교육 방향 논의
김다원 ( Dawon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21] 제29권 제2호, 1~1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그간 기후교육의 핵심교과로 역할하고 있는 지리교육에서 오늘날 지구촌의 주요 환경이슈이자 해결과제로 나타난 기후변화에 대해 지리교육은 어떻게 대응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에 대해 지리교육은 어떤 역할을 해야 할 것인지를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 캐나다 온타리오주, 호주의 초등 지리교육과정의 기후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보면, 세 교육과정에서는 모두 ‘인간과 기후환경 간의 관계 탐색’, ‘지속가능성 연계 기후환경 탐색’, ‘글로벌 시민성 연계 기후환경 탐색’을 중심으로 기후환경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온타리오주 및 호주 교육과정에는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의 과정에 대한 학습과 지속가능성, 세계시민성과의 연계 면에서 저학년에서부터 더 적극적으로 관련 내용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한국의 지리교육과정에서는 소극적인 내용 구성을 ...
TAG 기후교육, 기후변화, 초등 지리교육과정, 지속가능성, 세계시민성, 온타리오주 교육과정, 호주 교육과정, climate education, climate change, primary geography curriculum, sustainability, global citizenship, Ontario curriculum, Australian curriculum
포용적 민주 사회를 향한 학교 지리교육의 의미 탐색
김갑철 ( Gapcheol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21] 제29권 제2호, 19~32페이지(총14페이지)
최근 한국 정부는 보다 포용적인 한국 사회로의 이행을 위해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국정 과제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민주 시민성을 지지할 수 있는 포용적 학교 지리교육의 의미를 이론적으로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민주주의의 핵심 가치로서 평등의 실질적 실현 여부에 주목한다. 평등의 전제, 대상 및 방향이라는 측면에서 정치철학, 시민교육 및 지리교육 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기존의 학교지리가 ‘나’ 중심의 구심성을 전제로 한 동화적 포용을 통해 포스트 민주주의 질서를 강화할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 대신 필자는 정치성, 혁신성의 공간으로서 포용적 지리교육으로의 전환을 주장한다. 끝으로, 본 연구는 새로운 지리교육을 위해 교육과정 개정 시 고려할 몇 가지 요소들을 제안한다.
TAG 포용, 민주시민교육, 포스트 민주주의, 학교 지리교육, 랑시에르, 코로나 19, Inclusi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st-democracy, school geography education, Ranciere, COVID-19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의 동남아 홀대 현상과 원인 분석 -국가주도 사회과 교육과정의 서구중심주의에 대한 비판적 성찰-
김이재 ( Eje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21] 제29권 제2호, 33~52페이지(총20페이지)
아세안은 중국에 이어 한국에게 가장 중요한 경제 파트너로 부상했고 한국과 동남아 간 인적·문화적 교류도 급증했다. 문재인 정부가 추진한 신남방정책으로 한국 외교에서 동남아의 위상이 주변 4강국 수준으로 제고되었지만, 한국 사회에서 동남아에 대한 무시와 홀대 현상은 여전하다. 해방 직후 교수요목기에서 2015개정 국가 교육과정까지 한국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를 양적·질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는 동남아 관련 내용 비중과 변화 추이를 고찰하고, 동남아 홀대 현상의 원인을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역사 속에서 비판적으로 성찰하였다. 연구 결과 교수 요목기에서 1차 교육과정기 사이 출판된 한국 중학교 교과서가 한국 교육사상 동남아 내용 비중이 가장 높았는데, 사회과 교육이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전인 교수요목기 교과서에서는 동남아의 인문·자연지리적 요소를 균형있게 다루며 개...
TAG 사회과 국가 교육과정, 서구중심주의, 동남아, 중학교 교과서, 메타 지리 체계,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Euro-centrism, Southeast Asia, Middle School Textbooks, Meta-geographical framework
지리공간서비스를 활용한 학생 중심 융복합 프로젝트 수업의 교육적 효과
이호욱 ( Howook Lee ) , 김민성 ( Minsung K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21] 제29권 제2호, 53~69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 주도의 융복합 연구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융복합 프로젝트는 지리공간서비스를 주된 분석과 시각화의 도구로 활용하였고, 지리적 관점을 기본으로 다른 교과의 개념과 시각을 통합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프로젝트 학습의 효과 검증을 위해 수업 태도와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태도 검사는 활동 전후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전체 영역, 진로선택 영역, 소통 영역, 흥미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동 후 이루어진 만족도 검사에서는 수업만족도, 흥미도, 참여도, 후속 참여 의향에서 높은 점수를 보여 연구참여자들이 전반적으로 활동에 만족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지리공간서비스를 활용한 학생 연구 중심 융복합 프로젝트 학습의 교육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TAG 지리공간서비스, 융복합 프로젝트 수업, 학생 연구 활동, 태도, 만족도, geospatial service, convergence project class, student-centered research activity, attitude, satisfaction
초등 사회과 지역화 교과서 위상 변화 시기의 지역화 교육 실행 사례 연구
윤옥경 ( Okkyong Yoon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21] 제29권 제1호, 1~13페이지(총13페이지)
이 연구는 지역화 교육의 구현물인 사회과 보조교과서 ‘사회과 탐구(지역화 교과서)’의 위상이 변하는 시기에 현장 교사들이 지역화교육을 어떻게 실행하는 지를 조사했다. 이를 위해 지역화 교과서 대신 ‘교수·학습 자료집’을 제작했거나 동학년 교사들과 사회과 4학년 수업을 재구성하여 운영한 사례를 탐구하며 참여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지역화 교육을 보다 내실있게 실행하기 위하여, 체계적으로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문해력을 향상시키며, 실행에 기반한 실천적 지식을 추구하고, 동료교사들과의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운영하였다. 교사들은 지역을 이해하기 위하여 현장체험 답사와 우리 지역 지도 작성 등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한편, 교사들은 학습대상지역을 학생들의 일상생활경험의 범위와 일치하지 않는 행정구역 단위로 설정하는 것과 지역화 ...
TAG 지역화 교육, 지역화 교과서, 초등 사회과 교육, 지리 교육, 전문적학습공동체, PLC, localized education, local textbook, elementary social studies, geography educatio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초등학생의 세계인지의 종단적 발달 특성 및 그 지리교육적 함의
임미연 ( Mi Yeon Lim ) , 이간용 ( Khan Yong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21] 제29권 제1호, 15~35페이지(총21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세계인지의 종단적 발달 특성과 변화상을 분석하고, 그 지리교육적 함의를 고찰하려는 것이다. 초등학생의 세계인지는 학년이 올라감에 따라 전반적으로 양적 및 질적 증가가 이루어지나 그 폭과 정도는 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1차 양적 팽창은 3학년에서, 2차는 6학년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양적 팽창의 시기가 4학년에서(2006년) 3학년으로 1개 학년 하향화한 것이 주목된다. 대륙별 세계 인지 특성의 분석 결과, 인지도가 가장 높은 대륙이 유럽(2006년)으로부터 아시아로 변화되었고, 동아시아와 러시아에 대한 인지쏠림이 매우 높았다. 그리고 초등학생의 세계인지 오류는 학년 변수보다는 개인 변수에 더 영향을 받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환경확대법의 재검토를 비롯하여 세계지리 학습을 위한 지역 선정 등 초등 지리 영역의 내용 선...
TAG 초등학생의 세계인지 발달, 세계인지의 질적 및 양적 팽창, 대륙별 세계인지, 세계인지 오류, elementary world cognition development,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xpansion of world cognition, world cognition by continent, world cognition errors
현대 초기 지리교과서에 반영된 일본의 이미지
심정보 ( Jeongbo Sh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21] 제29권 제1호, 37~54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이 일본의 식민지로부터 독립한 이후에 간행된 초·중등학교 지리교과서에 표현된 일본의 인식 및 이미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근·현대 한국에서 간행된 초·중등학교 세계지리 교과서에 기술된 일본은 정치적 상황에 따라 긍정적, 부정적 이미지를 모두 가지고 있다. 연구 결과 이 시기에 한국의 지리교과서에는 일본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가 가장 많았던 것으로 드러났다. 그것은 편협한 섬나라 근성, 미개했던 문화와 호전성, 영역의 확대와 침략 전쟁, 그리고 독도를 둘러싼 평화선의 침범 등이다. 또한 일본의 침략성을 비판함과 동시에 그들을 경계해야 할 대상으로 묘사했다. 이와 같이 일본에 대한 부정적 내용의 기술은 독립 직후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대한 한국인의 분노가 반영된 것이다. 게다가 한국과 일본 사이에 독도영유권을 둘러싼 정치적 갈등이 지...
TAG 한국의 지리교과서, 일본의 이미지, 섬나라 근성, 호전성과 침략 전쟁, geography textbooks in Korea, images of Japan, insularism, savage culture and belligerence, war of aggression
남해안의 해안 지형에 대한 지리교육적 접근
기근도 ( Keundoh Kee ) , 양재혁 ( Jaehyuk Yang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21] 제29권 제1호, 55~71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는 우리나라 해안 지형에 대한 교과서의 내용이 동해안과 서해안 비교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어서 소홀하게 다루어 왔던 남해안의 해안 지형에 관련된 내용을 보완하기 위한 작업이다. 이를 위해 제3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부터 현재 교육과정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남해안의 해안 지형에 관련된 내용을 분석하여, 남해안 해안 지형에 대한 주요 탐구주제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탐구주제는 남해는 어디에서부터 어디까지인가, 남해안은 융기 해안인가 침강해안인가, 남해안의 주요 해안 지형은 무엇이며, 어떤 지형형성작용을 거쳐 형성되었는가 등이다. 많은 섬과 만입의 출입이 복잡한 남해안은 물질 수지에 있어서 동해안이나 서해안과는 달리, 다른 해안지역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의 간섭이 적다. 이에 따라 남해안 만입의 물질 수지는 육지로부터 공급되는 물질이 해안퇴적 지형에 뚜렷이 반...
TAG 지구조 운동, 선구조, 해수면 변동, 모래 해빈, 간석지, 자갈 해빈, tectonic movement, lineament, sea level change, sand beach, tidal flat, gravel beach
예비교사들이 경험한 구글어스 활용 지리수업의 특징과 유용성
함경림 ( Kyungrim Har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21] 제29권 제1호, 73~87페이지(총15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경험하는 구글어스 활용 지리수업의 특징과 유용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지리교육에서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은 계속 증가하고 있으며, 교사들의 실천적인 테크놀로지 활용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구글어스 기반의 지리수업 설계 과제와 반성적 경험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으며, 예비교사들의 수행 과정을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TPACK) 개념적 틀을 활용해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업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교사들은 구글어스, 지리 내용, 그리고 교수법을 의미있는 방식으로 통합하였다. 구체적으로 예비교사들은 줌, 매핑, 스트리트뷰 기능을 활용해 지구적 수준의 개념(예, 경로)과 지역적 수준의 현상(예, 종교)을 연결하였으며, 구글어스의 차원과 파노라마 기능을 활용해 눈으로 직접 경...
TAG 예비교사교육, 테크놀로지 교수내용지식, 구글어스, 지리수업, 유용성,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TPACK, Google Earth, geography lesson, usefulness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통합 교수-학습 모형 개발 -Story Maps를 활용한 황색 상황의 지리공간적 재현을 사례로 -
이동민 ( Dong-min Lee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구 지리환경교육) [2021] 제29권 제1호, 89~106페이지(총18페이지)
본 연구는 제2차 세계대전 초반에 일어난 나치 독일의 프랑스 침공(황색 상황)을 Story Maps를 활용한 내러티브-공간적 재현을 사례로, 지리-역사 통합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관한 논의를 제시하는데 목표를 둔다. 프랑스 공방전은 독일의 지정학적·역사지리학적 맥락과 밀접하게 관계되며, 황색 상황의 과정은 지리적 요인과 맥락이 역사적 사건의 전개에 영향을 미치는 양상을 잘 보여 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의 하나인 Story Maps를 활용한, 프랑스 공방전의 지리적·역사적 내용에 토대한 통합 교수-학습 모형 개발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여 프랑스 공방전의 역사적 흐름과 과정을 지리적으로 재현하는 시공간 통합 수업의 구체적인 방법과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따...
TAG 교과 간 통합, 내러티브 기반 공간정보기술, 지리공간적 내러티브, 지리, 역사, 프랑스 공방전, 황색 상황, intersubject integration, narrative-based geospatial technologies, geospatial narrative, geography, history, Battle of France, Fall Gelb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