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457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사범대학 학부 지형학 강의의 내용 구성 모색
변종민 ( Jongmin Byu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8] 제62권 9~27페이지(총19페이지)
사범대학 학부 지형학 강의는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설계 및 운영되기보다 방대한 지형학 이론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이론 강의 위주로 운영된다. 이로 인해 예비교사인 학생들의 지형학 지식은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지 않고 실재 생활공간과 연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는 학생들의 지형 인지와 지식 구성에 더욱 효과적인 지형학 강의 내용 구성을 제안하였다. 새롭게 구성된 강의 내용은 학생들이 지형경관을 보다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범주화하는 데 효과적이어서 지형학 지식을 스스로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TAG 지형학 교육, 유역, 지형경관 분류, 지리교육, 사범대학, Geomorphology education, Drainage basin, Landscape classification, Geography education, College of education
Walter Firey의 Land Use in Central Boston에 제기된 비판에 대한 종합 및 고찰
하승우 ( Seungwoo Ha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8] 제62권 29~39페이지(총11페이지)
Walter Firey는 시카고학파를 비판하면서 등장한 신고전생태학의 주요 학자 중 한 명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는 Firey의 주요 저작인 Land Use in Central Boston에 대해 당시 제기되었던 비판을 종합하고, 이 과정을 통해 Land Use in Central Boston에서 전개된 주장의 타당성을 고찰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당시 학자의 주장을 종합하면 Firey의 주장과 달리 고전생태학에서도 문화의 중요성을 이미 인지하고 있었으며, Firey가 제시한 Boston의 토지이용 사례를 감성과 상징의 효과만으로 해석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주장은 Firey의 주장이 가질 수 있는 한계점을 분명하게 지적하고 있어 현재도 그 시사점이 크다고 할 수 있다
TAG 도시지리, 생태적 접근, 파이어리, Urban geography, Ecological approach, Firey
교외화에 의한 도시공간 변화와 교외지역 쇠퇴에 대한 이론적 고찰
신정엽 ( Jungyeop Shin ) , 홍유진 ( You Jin Hong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8] 제62권 41~60페이지(총20페이지)
20세기 대표적인 도시 현상인 교외화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지만, 그동안 이 현상에 대해 보다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지리의 관점에서 교외화의 특성과 교외지역 변화 및 쇠퇴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먼저 교외화의 정의와 특성을 도시공간구조 측면에서 살펴보았으며, 교외화의 유형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교외화에는 기술, 사회문화, 경제, 인구 측면에서 여러 요인이 영향을 주었으며, 또한 대도시 공간을 형성하는 중심도시와 교외지역 간의 상호작용 속에서 교외화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교외화에 대한 이론적 접근으로 생태적 접근, 층화적 접근, 사회경제적 접근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교외지역의 변화와 관련하여 교외지역의 다양성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최근 발생하고 있는 교외지역의 쇠퇴를 빈곤, 인구,...
TAG 교외화, 교외지역 쇠퇴, 도시구조, 도시지리, 교외지역, Suburbanization, Suburban decline, Urban structure, Urban geography, Suburbs
시카고 학파의 형성과 도시공간 연구: Park, Burgess, McKenzie, Wirth를 중심으로
신정엽 ( Jung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7] 제61권 1~1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고전적 도시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한 시카고 학파의 형성과 연구 경향을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세기 초반 형성된 시카고 학파는 도시연구와 관련한 생태적 접근을 정립, 발전시켰으며, 이를 토대로 다양한 주제의 도시연구를 수행하였다. Park, Burgess, McKenzie 등을 중심으로 한 시카고 학파는 기존의 파편적, 비과학적인 도시연구 방법론을 대체하였으며, 도시에 대한 경험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체계적인 도시이론의 정립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시공간구조 연구에 큰 기여를 하였으며, 특히 현대 도시구조를 설명하는데 여전히 중요한 개념, 원리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매우 가치있다.
TAG 시카고 학파, 도시, 도시구조, 생태적 접근, 도시지리, 파크, 버제스, Chicago school, City, Urban structure, Ecological approach, Urban geography, Park, Burgess
William Carlos Williams의 Paterson 연구: 도시 및 인물의 장소 정체성 분석을 중심으로
윤찬희 ( Chan-hee Yu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7] 제61권 19~32페이지(총14페이지)
본 연구는 인간주의 지리학 관점에서 장소 정체성을 중심으로 William Carlos Williams의 Paterson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더욱 정밀한 분석을 위해 도시(장소의 정체성)와 인물(장소에 대한 정체성)로 구분하여 장소 정체성을 도출하였다. 도시 패터슨의 장소 정체성은 페세익 강과 개럿 산을 포함하는 ‘물리적 환경’이 ‘정부 주도의 산업화’로 나타나는 ‘인간의 활동’에 의해 ‘소외와 단절’의 ‘장소의 의미’가 부여되면서 형성되었다. 한편, 인물 패터슨의 장소 정체성은 페세익 강에 도달하는 여정을 통해 실존적 외부성, 행동적 내부성, 감정이입적 내부성, 실존적 내부성을 순차적으로 획득함으로써, 보다 더 강한 유대를 느끼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TAG 패터슨, 장소 정체성, 문학지리학, 윌리엄 카를로스 윌리엄스, 인간주의 지리학, Paterson, Identity of place, Geography of literature, William Carlos Williams, Humanistic Geography
조선 개화기 지리적 옥시덴탈리즘에 대한 재조명
제갈수인 ( Suin Jegal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7] 제61권 33~41페이지(총9페이지)
에드워드 사이드의 오리엔탈리즘은 서양이 동양의 이미지를 야만적이고 미개하며 열등한 것으로 형성함으로써 제국주의에 기반한 침략과 지배를 정당화한 것을 말한다. 이와 반대로 옥시덴탈리즘은 동양이 서양의 이미지를 자의적으로 형성하여 이용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샤오메이 천은 중국의 정치인들이 그들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양이라는 ‘타자’를 설정하여 이용하였음을 주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조선 개화기 정치인의 서양인식을 중심으로 옥시덴탈리즘을 분석하였다. 개항을 거부하고 기존 질서를 유지하고자 하였던 위정척사파와 서양의 기술만 받아들이고 동양의 제도와 문화를 유지하고자 하였던 동도서기파는 ‘서양’을 음기가 가득한 금수의 공간, 바르지 않은 사악한 종교를 믿는 지역 등으로 묘사하며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정당화하고자 하였다.
TAG 옥시덴탈리즘, 샤오메이 천, 조선 개화기, 탈식민주의 지리학, Occidentalism, Xiao-mei Chen, Enlightenment Era of Joseon, Postcolonialism Geography
안축의 시에 담긴 장소 인식 및 장소감 분석과 함의: Relph의 이론을 중심으로
곽병현 ( Byeong Hyeon Gwak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7] 제61권 43~51페이지(총9페이지)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지리학의 관점에서 고려시대 안축의 시가를 분석하여 당대의 현실인식과 장소감 형성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안축의 「관동와주」와 「관동별곡」은 각각 안축이 강릉도 존무사로 부임하여 지켜본 사람들의 생활모습과 강릉도 존무사를 그만두며 개경으로 돌아가는 여정에 대해 쓴 것이다. 본 연구는 「관동와주」와 「관동별곡」에서 안축의 의도가 가장 잘 나타나는 부분을 발췌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하이데거의 현상학에 근거하여 장소감을 정의하고 설명한 렐프의 이론을 기반으로 시가를 분석하여, 결과적으로 안축의 두 시가에 나타난 장소감을 분석하고 안축의 실제 창작 의도를 새롭게 해석하였다.
TAG 안축, 장소감, 문학지리학, 장소, 렐프, An-Chuk, Sense of place, Geography of literature, Place, Relph
도시기원 관점에서의 문명, 농업, 국가 기원의 이론적 고찰
신정엽 ( Jungyeop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6] 제60권 1~17페이지(총17페이지)
본 연구는 도시기원과 고대도시 발달의 관점에서 문명의 기원, 농업의 기원, 국가의 기원에 대한 논의를 이론적으로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시기원과 고대도시의 발달은 인류문명의 발달과 함께 이루어졌으며, 또한 농업의 기원과 발달은 도시기원과 경제 기반을 형성하는데 핵심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고대문명에서 도시와 국가는 크게 기능, 형태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국가기원 논의가 도시기원과 고대도시의 특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문명의 발달에 따라 사회는 단계별로 발전하면서 도시와 국가가 기원하였다. 농업기원에 대한 논의도 오아시스이론, 다핵지역이론, 주변부지역이론, 광역스펙트럼혁명이론, 공동진화이론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국가기원의 논의도 생태적 접근, 수문농업 접근, 인구압력 접근, 제약이론 접근, 복합접근을 검토함으로써 도시기원과 고대도시를 ...
TAG 도시의 기원, 문명, 농업, 도시지리, 국가, 고대도시, Urban origin, Civilization, Agriculture, Urban geography, State, Ancient city
다중시기 원격탐사 자료를 이용한 영광군 백수읍ㆍ염산면 일대의 변화 분석
신원정 ( Won-jeong Shin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6] 제60권 19~36페이지(총18페이지)
우리나라의 해안지역은 경제개발과 함께 많은 변화를 겪어왔으며 인간활동의 간섭을 많이 받아왔다. 이 지역은 단기간 토지 이용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이에 따른 지형 변화가 발생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시기별 원격탐사 영상을 이용하여 영광군 백수읍과 염산면 일대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탐지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인 영광군 백수읍과 염산면은 서해안에 위치한 지역으로, 연구 분석에는 1967년, 1989년, 2000년, 2009년의 원격탐사 데이터와 1918년 지형도가 사용되었다. 분석결과 1918~2009년 동안 백수읍, 염산면 일대의 면적은 크게 증가하였으며, 특히 농경지, 양어장, 염전의 면적이 증가하였다. 또한 해안사구, 불갑천 등의 지형도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주로 정부주도의 지역개발사업의 결과로 보이며, 2000년대 이전에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나...
TAG 영광군, 백수읍, 염산면, 원격탐사영상, 변화, Yeonggwang-gun, Baeksu-eup, Yeomsan-myeon, Multi-temporal Remote Sensing, Change
공간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도시 고령친화도 비교 측정 연구
김선중 ( Sun-joong Kim ) , 박계현 ( Gae-hyun Park )  서울대학교 지리교육과, 지리교육논집 [2016] 제60권 37~56페이지(총20페이지)
본 연구는 공간분석을 이용하여 전국 82개 도시를 대상으로 도시 고령친화도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시의 종합적인 고령친화도 측정을 위해, 주거, 복지, 생활환경의 3개 영역, 7개 세부 지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AHP분석을 활용하여 7개 지표별 가중치를 산정하여 종합지수를 도출하였으며, 도시의 종합 고령친화도는 ArcGIS 9.3을 이용하여 지도화되었다. 분석 결과, 고령친화도의 주거 영역에서 수도권의 도시가 고령친화도가 높은 반면, 호남, 경북내륙 도시의 경우는 낮게 나타났다. 복지 영역의 경우 소규모 도시들이 고령친화가 높게 나타난 반면, 제주도의 경우는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생활환경 영역의 경우 소규모 도시가 고령친화도가 높고, 중규모 도시가 낮게 나타났지만, 뚜렷한 경향은 보이지 않았다.
TAG 고령친화도시, 공간분석, 노인, AHP, Aging friendly city, Spatial analysis, Aging people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