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AND 간행물명 : 교육발전연구240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계급별 문화자본의 보유 실태 및 문화자본 보유 결정요인 분석
백병부 ( Byoung Bu Baek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발전연구 [2011] 제27권 제1호, 5~27페이지(총23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전국 수준에서 대표성있게 수집된 한국교육고용패널 (KEEP) 자료를 사용하여 계급과 문화자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가와 쁘띠부르주아, 자본가와 노동자, 쁘띠부르주아와 중간계급, 중간계급과 노동자 계급 사이에는 문화자본의 보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자본가와 중간계급, 쁘띠부르주아와 노동자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교육수준, 남성보호자의 직업이 문화자본 보유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보호자의 직업과 관련해서는 일반적으로 더 낮은 학력 수준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는 기술직과 서비스직의 경우가 사무직보다 문화자본의 보유에 더 큰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셋째, 자녀의 부모에 대한 관심도가 그 어떤 변수들보다 더 ...
TAG 문화자본, Wright의 계급론, 계급과 문화자본, cultural capital, theory of class, class and cultural capital
초등학교의 "교육적 과제"와 양성교육의 방향 -"초등학교교육학"의 관점-
정혜영 ( Hye Young Chung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발전연구 [2011] 제27권 제1호, 29~57페이지(총29페이지)
이 글에서는 현재 초등학교가 기능화·도구화·비교육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연의 교육적 과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관점의 전환이 요구된다는 전제 아래, 교육적 과제 수행을 위한 방안 모색을 살펴보고, 그러한 맥락에서 초등학교교사 양성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학교에 초점을 맞추어 학교의 본질적인 의미와 과제가 무엇인가를 종합적으로 탐구하는 ``학교교육학``의 부분 영역으로서 ``초등학교교육학``의 필요성과 학문적 성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이러한 초등학교교육학적인 관점에서 초등학교의 교육적 과제 수행을 위한 방안 모색으로서 ``교육적 수업`` 이론을 고찰하였다. 이어서 교육적 방안 수행을 위해서는 교사양성교육이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현행 초등교사양성교육 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마지막으로 교육적 과제 수행을 위해 요...
TAG 초등학교, 초등학교교육학, 교육적 과제, 교육적 수업, 초등교사양성교육, elementary school, school pedagogy, educational instruction, elementary school teacher preparation program
초등학교에서의 학습 및 인성지도 현황
이대식 ( Dae Sik Lee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발전연구 [2011] 제27권 제1호, 59~88페이지(총30페이지)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해야 한다는 목표는 시대적 요청사안이다. 이 논문에서는 질 높은 초등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를 인성교육과 학업지도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논의하고자 했다. 인성교육 측면에서는 시행되고 있는 프로그램의 풍성함에도 불구하고 교육내용, 교육목적, 교육방법 측면에서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기했다. 학업지도 측면에서는 가장 핵심적인 사안인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에 관한 논의와 구체적인 지침이 더 필요함을 주장했다. 전반적으로, 현재 초등학교는 여러 가지 업무와 프로그램으로 매우 바쁘지만 정작 무엇 때문에 어떻게 바빠야 하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이 부족해보인다. 초등교육 현장이 개선 혹은 혁신되어야 한다면 그 핵심은 교실 내에서 교사와 학생 간에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이어야 할 것이다.
TAG 초등교육, 인성교육, 학업지도, elementary education, character-building education, teaching Low-achieving students
지방교육자치제도의 변천과정에 대한 평가와 전망 -미국 교육자치제도의 생성과 변천 과저에 비추어-
김용 ( Yong Kim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발전연구 [2011] 제27권 제1호, 89~110페이지(총22페이지)
이 논문에서는 지방교육자치제의 부활 이후 이십여 년 간 이루어진 변화를 어떻게 평가하고 현행 지방교육자치제의 성격을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라는 문제를 미국의 교육자치제도의 성립과 변천 과정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미국의 교육자치는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하고 교육에 대한 공적 책임을 다하기 위한 목적에서 성립되고 변화하였다. 그 과정에서 민중통제와 전문적 리더십이라는 원리를 확립하고, 최근에는 주민과 보호자는 물론 교육자까지 포함한 공동 의사결정과 전문적 리더십 원리를 실현하고 있다. 한국의 교육자치제는 전문적 통제와 전문적 관리 원리에 터한 분리형 교육자치에서 민중통제와 정치적 관리를 원칙으로 하는 교육 운영으로 변화하여 왔다. 이와 같은 운영 원리는 교육자치의 폐지로 귀결될 가능성이 짙고, 이런 점에서 현행 교육자치제는 교육자치 폐지로 이어지는 과도기적 상황에 ...
TAG 교육자치, 교육위원회, 교육감, 교육자치 폐지론, Local Education Administration, Board of Education, Superintendent
학원수강료의 구조 분석 -수익자부담경비를 중심으로-
주현준 ( Hyun Jun Joo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발전연구 [2011] 제27권 제1호, 111~127페이지(총17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학원수강료의 구조를 분석하고 수익자부담경비에 대한 관련 집단의 인식을 파악하여 학원수강료 안정화를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분석과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문헌분석 자료로는 학원의 손익계산서, 선행연구, 관련법령을 활용하였고, 심층면담은 학부모, 학원장, 교육청 담당자, 박사급 연구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원수강료는 기본 수강료와 수익자부담경비로 구분된다. 수익자부담경비의 세부항목은 교습서비스 제공자 측면의 활동기준(강의관련과 운영관련)과 수요자 측면의 활동기준(선택과 필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둘째, 수익자부담경비에 대한 관련 집단의 인식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행정지도 책임이 있는 교육지원청 담당자와 학원경영자의 인식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TAG 학원수강료, 수익자부담경비, 사교육비, supplementary education institutions, user fee, tuition of supplementary education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대학생 자아정체감 비교분석 연구
임호용 ( Ho Yong Lim ) , 황청일 ( Chung Il Hwang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발전연구 [2011] 제27권 제1호, 129~151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관계 및 성별, 학년, 인터넷 활용 시간에 따른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차이,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검증하였다. 현실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측정을 위해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나,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검사지를 제작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고 둘째, 오직 인터넷 활용 시간 정도에 따라서만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셋째, 현실 공간에서의 친밀성, 주도성...
TAG 자아정체감, 가상공간, 현실공간, 대학생, Ego-Identity, Cyber-Space, Real-Space, University Student
학교상담체제의 발전방안
김인규 ( In Gyu Kim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발전연구 [2010] 제26권 제2호, 5~26페이지(총2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관계 및 성별, 학년, 인터넷 활용 시간에 따른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차이,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검증하였다. 현실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측정을 위해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나,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검사지를 제작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고 둘째, 오직 인터넷 활용 시간 정도에 따라서만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셋째, 현실 공간에서의 친밀성, 주도성...
TAG 학교상담, 위기학생, 전문상담교사, 위프로젝트, school counseling, school counselor, Wee project
교육의 본질에 근거한 교육학의 학문적 성격
최종인 ( Zong In Choi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발전연구 [2010] 제26권 제2호, 27~51페이지(총25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관계 및 성별, 학년, 인터넷 활용 시간에 따른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차이,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검증하였다. 현실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측정을 위해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나,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검사지를 제작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고 둘째, 오직 인터넷 활용 시간 정도에 따라서만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셋째, 현실 공간에서의 친밀성, 주도성...
TAG 과학이론, 교육의 개념, 교육적 동물, 인간이해, 교육적 차원, Scientific Theory, Concept of Education, Homo Educandus, Human Understanding, Pedagogical Dimension
다문화교육의 지역화 모형과 추진전략 -제주지역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김민호 ( Min Ho Kim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발전연구 [2010] 제26권 제2호, 53~79페이지(총27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관계 및 성별, 학년, 인터넷 활용 시간에 따른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차이,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검증하였다. 현실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측정을 위해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나,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검사지를 제작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고 둘째, 오직 인터넷 활용 시간 정도에 따라서만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셋째, 현실 공간에서의 친밀성, 주도성...
TAG 다문화 교육, 시민사회, 지역화, multicultural education, civil society, community-based
현 정부의 교육평가 정책의 진단과 전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중심으로-
양길석 ( Kil Seok Yang )  경희대학교 교육발전연구원(구 교육문제연구소), 교육발전연구 [2010] 제26권 제2호, 81~103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관계 및 성별, 학년, 인터넷 활용 시간에 따른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차이, 그리고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설문을 통하여 실증적으로 조사하고 검증하였다. 현실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 측정을 위해 박아청(2003)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나,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검사지를 제작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 이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고 둘째, 오직 인터넷 활용 시간 정도에 따라서만 현실과 가상공간에서의 자아정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셋째, 현실 공간에서의 친밀성, 주도성...
TAG 교육평가 정책,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교원능력개발평가, 평가지표, educational evaluation policy,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teacher assessment, nation-wide accountability test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