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초등교육학회122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두 원천이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사의 역할 논의에 주는 시사
이승은 ( Lee Seungeun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1] 제34권 제2호, 1~28페이지(총28페이지)
본 연구는 Tyler와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이론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성격과 교사의 역할에 주는 시사를 탐색하였다. 이론 구조 분석을 통하여, 이해중심 교육과정이 '수행 없는 이해'와 '이해 없는 수행'이라는 두 방향의 문제 사태를 해결하고자 한다는 점, 핵심 개념인 이해에 대한 의미의 구성이 요청된다는 점, 이해의 의미를 구성하기 위해, 전이, 영속적 이해, 핵심 질문에 대한 탐색이 요청된다는 점 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두 원천이 되는 Tyler와 Bruner 이론을 재조명함으로써, 백워드 설계의 출발점인 이해에 대한 합리적 설명 가능성, 백워드 설계 속에 지식의 구조 개념을 수용하는 방식, 이해중심 교육과정과 Bruner의 대담한 가설과의 관련 등을 확인하...
TAG 이해중심 교육과정, 백워드 설계, 지식의 구조, 이해, 수행, Understanding by Design, Backward Design, structure of knowledge, understanding, performance
2015 개정 초등 통합교과용 도서의 의도에 대한 교사의 반응 탐색
이한나 ( Lee Hanna ) , 정광순 ( Jeong Kwangsoon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1] 제34권 제2호, 29~55페이지(총27페이지)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통합교과용 도서에 반영한 의도에 대해 교사들이 수업현장에서 통합수업을 실행하면서 어떻게 반응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현행 통합교과용 도서의 가능성과 한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주제 중심 통합 수업을 의도하여 개발한 주제별 교과서는 교사들이 교과의 내용을 주제와 관련한 수업 활동으로 다양하게 풀어내는 가능성을 가진 것이었지만 주어진 주제가 학생의 살아있는 생활 세계를 반영하기 어렵고, 규격화된 단원 구성 체제로 인해 주제를 중심으로 자연스러운 흐름과 호흡으로 교과를 가르치기 어려운 한계를 보였다. 학생 주도 수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의도로 도입된 주제만나기는 교사들이 학생의 의견과 흥미를 반영하여 학생과 함께 수업을 계획하게 한다는 가능성을 보였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수업 계획하기 보다는 활동으로만 다루어지는 한계도 존재했다....
TAG 2015 개정 초등 통합교과용 도서, 통합교과 교육과정, 주제별 교과서, 2015 revised elementary integrated subjects textbook, integrated curriculum, thematic textbook
피드백 환경 척도의 단축형(FESS-14) 개발 및 타당화
김재욱 ( Jaeuk Kim ) , 손원숙 ( Wonsook Sohn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1] 제34권 제2호, 57~82페이지(총26페이지)
피드백 환경 척도(FESS)(김재욱 손원숙, 2020; Steelman et al., 2004)는 피드백 처리 과정의 다차원적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 타당화된 척도로서 5요인 23개 문항으로 구성돼 있다. 기존 FESS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해석 및 활용의 용이성 확보를 위한 단축형 척도 개발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asch 평정척도모형(Andrich, 1978)을 적용하여 단축형 FESS를 구성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검토 및 전문가 의견을 수렴한 뒤, 기존 5요인을 2개 요인으로 축소하여 피드백 수용 환경과 피드백 활용 환경 요인별로 Rasch 평정척도 모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FESS의 교사 신뢰도, 피드백 질, 피드백 전달 하위 요인은 피...
TAG 피드백 환경, 피드백 수용, 피드백 활용, 단축형 척도, Rasch 평정척도모형, feedback environment, FESS, FESS-14, feedback acceptance, feedback utilization, brief-form scale, Rasch rating scale model
초등학생용 낙인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회성 ( Lee Hwe Seong ) , 유순화 ( Yoo Soon Hwa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1] 제34권 제2호, 83~111페이지(총29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 상황에서의 초등학생용 낙인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 연구 고찰과 개방형 설문조사를 통해 낙인의 개념적 요소를 탐색하였으며, 잠정적으로 결정한 개념적 요소를 바탕으로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용 낙인 척도는 대중적 낙인과 자기 낙인, 두 차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선행요인과 구성요인을 포함한다. 둘째, 초등학교 4, 5학년 567명이 참여한 예비검사 응답 자료로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대중적 낙인 2요인 26문항과 자기 낙인 2요인 26문항으로 결정하고, 하위요인은 배제와 편견으로 명명하였다. 셋째, 확정된 초등학생용 낙인 척도로 본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TAG 낙인, 초등학생, 척도 개발, 타당화, stigma, elementary school students, scale
그릿의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윤수정 ( Su Jung Yoon ) , 임효진 ( Hyo Jin Lim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1] 제34권 제2호, 113~135페이지(총23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그릿의 영역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해 이론에 근거하여 그릿의 영역성 모형을 영역 일반성 모형, 2단계 위계적 영역 일반성 모형, 영역 특수성 모형, 영역 복합성 모형으로 설정하여 비교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초등학생 5, 6학년 354명이며 이들에게 기존의 일반 그릿과 학업, 예술, 운동 영역별 그릿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영역 특수적 그릿과 영역 특수적 자기개념과의 상관분석 및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한 뒤 적합도 지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모형들을 비교하여 최종 모형을 결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모형 중 영역 일반성과 영역 특수성이 공존하는 영역 복합성 모형의 수정모형이 자료에 가장 부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분산분석 결과 역시 그릿의 영역 ...
TAG 그릿, 영역성, 학업 그릿, 예술 그릿, 운동 그릿, grit, domain issues, grit in academic work, grit in art, grit in sport
교육과정 개발 원천으로서 ‘공간’의 의미 탐색
김세영 ( Kim Se-young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1] 제34권 제2호, 137~162페이지(총26페이지)
본 연구는 최근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공간혁신수업을 통해 공간이 교육과정 개발 원천으로서 어떤 의미로 작동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공간혁신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전북 A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교사가 공간 수업을 개발한 사례와 그 운영에 대해 기술하였다. 사례에서 교사는 공간을 중심으로 중핵형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학생에게 교육과정 권한을 이양함으로써 학생으로부터 나오는 공간 탐색활동을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를 통해, 공간은 교육과정 공통요소 중 환경으로 작동하며 조직중심체가 될 수 있다는 것과 교육과정 주체자로서 학생의 역할을 부각시킨다면 학생이 공간에서 발휘하는 삶의 형태가 발현적 교육과정으로 등장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TAG 학교공간혁신사업, 학교 공간, 교육과정 공통요소, school space innovation projects, school space, curriculum commonplace
COVID-19 상황 속 초등교사의 온라인 수업 경험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김경인 ( Kim Kyungin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1] 제34권 제2호, 163~186페이지(총24페이지)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바이러스가 확산됨에 따라 온라인 수업 비중이 급격하게 높아진 상황 속에서 초등학교 교사들이 겪은 경험들을 종합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그들의 경험이 담긴 질적 연구 총 12편을 대상으로 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들은 비상 원격 교육을 하는데 있어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실현, 심리적 소진, 학생 관리 및 지원, 행정적 지원, 법적·윤리적 문제의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이를 완화하는 데에 교사 협력 및 학습 공동체 활동, 교사와 학생과의 협력, 다양한 플랫폼과 기기들의 적극적 활용, 교사 자신의 성장에 대한 만족감 등이 긍정적으로 작용하였다. 결과를 종합하면 시간이 지날수록 학교 현장과 교사들의 실천은 안정화되어 가는 경향을 보이나, 여전히 교사들은 현장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으며, 그들이 직면한 ...
TAG 초등교사, 비상 원격 수업, 온라인 수업, 질적 메타분석, Elementary School Teacher, Emergency Remote Teaching, Online Teaching, Qualitative Meta-synthesis, COVID-19
초등 예비교사의 비대면 교육실습 경험 분석: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중심으로
최현주 ( Choi Hyeon-ju ) , 하문선 ( Ha Moon-sun ) , 신수범 ( Shin Soobum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1] 제34권 제2호, 187~218페이지(총32페이지)
본 연구에서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초등 예비교사들의 비대면 교육실습 경험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비대면 교육실습 경험은 교직 및 적성의 이해, 수업, 생활지도, 실무라는 4개의 영역과 각 영역에 대한 13개의 범주, 2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첫째, 교직 및 적성 이해 영역은 초등학생과 학교환경에 대한 이해, 초등교사의 역할과 태도에 대한 이해, 교직적성을 확인하는 기회로 범주화 되었다. 둘째, 수업 영역에서는 수업설계 능력 향상, 디지털 도구 활용 능력 향상, 발문능력 향상, 온라인 수업 대처 능력 향상, 수업에 대한 성찰, 동료 및 교사·교수와의 협업 능력 및 대인관계 능력 향상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생활지도 영역에서는 학생들과의 소통 및 상호작용 부재, 생활지도 경험의 ...
TAG 초등 예비교사, 비대면, 교육실습, 경험, 포커스 그룹 인터뷰, elementary school prospective teacher, non-face-to-face, practicum, experience, focus group interview, FGI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해 살펴본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사회성 지도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장미순 ( Jang Mee Soon ) , 김진호 ( Kim Jin Ho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1] 제34권 제2호, 219~247페이지(총29페이지)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사회성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초등학생의 사회성 발달을 이해하고 효과적인 사회성 지도를 위한 교육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11명을 대상으로 3개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적용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를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사회성 개념은 다차원적인 사회성으로 보기보다는 학교나 사회의 체제에 순응하는 수동적인 사회성 개념이었으며, 생활과 실천 중심적인 사회성 지도를 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시기에 지도해야 할 사회성의 중요 영역은 공동생활 규칙, 갈등 해결, 감정조절로 제시되었다. 구체적인 지도 전략은 반성적 대화, 학급 규칙, 또래 활용, 민주적 토론 등의 전략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구조와 가치...
TAG 사회성, 사회성 지도, 교사 인식, 초등학교, 포커스 그룹 인터뷰, sociality, teaching sociality, teacher`s perception, elementary schools, Focus Group Interview
초등학교 교과서 연구의 특성과 과제
홍미화 ( Hong Mi-hwa ) , 변자정 ( Byun Ja-jung ) , 윤요순 ( Yun Yo-sun ) , 차보은 ( Cha Bo-eun )  한국초등교육학회, 초등교육연구 [2021] 제34권 제2호, 249~281페이지(총33페이지)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초등학교 교과서 관련 연구의 경향과 그 특성을 파악하여 초등 교과서 연구의 방향과 과제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 교과서 관련 주요 논문과 보고서, 그리고 실제 교과서로 개발ㆍ적용되는 국어교과서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여 다음의 과제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첫째, 초등 교과서 연구는 교과서 개발자나 교수자 중심의 당위적 활용과 인식 연구에서 벗어나 실수요자인 초등학생의 경험과 활용에 초점을 둔 교과서로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 교과서 연구에서 다수를 차지하는 교과서 내용 연구에서는 교과의 내용 선정과 비중에 대한 분석에서 벗어나 초등 교과서로서의 성격과 가치를 내용과 결합하는 연구, 초등 교과서 간의 내용 통합 가능성 연구 등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초등 교과서 구성 관련 연구에서는 초등교과...
TAG 교과서, 교과서 연구, 초등학교 교과서, 초등 국어교과서, 메타 연구, textbooks, textbook research, elementary textbooks, elementary Korean textbooks, meta-research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