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    
발행기관
간행물  
발행연도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1155 개 논문이 검색 되었습니다.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교과내용, 교수학습 지식에 관한 구조모형
최성규 ( Choi Sung-kyu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21] 제64권 제2호, 1~27페이지(총27페이지)
연구목적: 이 연구는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교과내용, 교수학습 지식의 구조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설문지는 교육과정 지식 12문항, 교과내용 지식 10문항, 교수학습 지식 12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전국의 지체장애학교 교사 29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지식은 교수내용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였다.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지식이 교과내용 지식으로 매개할 때 교수학습 지식에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지식은 교수학습 지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구조는 아니었다.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지식이 교수학습 지식으로 연동될 때는 간접효과로 통계적 설명력을 확보하고 있었다. 결론: 지체장애학교 교사의 교과내...
TAG teachers in schools with physical disabilities, curriculum, subject contents, teaching-learning, structural model, 지체장애학교 교사, 교육과정, 교과내용, 교수학습, 구조모형
시청각중복장애인의 일상 속 재난에 대한 인지와 경험 연구
원영미 ( Won Young-mi ) , 전지혜 ( Jeon Jihye ) , 오충원 ( Oh Chungweon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21] 제64권 제2호, 29~59페이지(총31페이지)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시청각중복장애인이 어떤 상황을 재난으로 인식하고 있는지, 재난 상황에 어떠한 대처와 준비를 하고 있는지, 사회적 차원에서의 시청각중복장애인을 위한 재난 안전 예방을 위한 욕구는 어떠한지 당사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일상 속 재난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첫째, 시각 또는 청각 장애를 주장애로 가지고 있으며 시각, 청각장애를 중복하여 가진 등록 장애인, 둘째, 문자통역, 수어통역, 촉수어 등을 통해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 셋째, 자신이 인지하고 경험한 일상 속 재난안전에 대한 설명을 할 수 있는 사람이다. 참여 의사를 밝힌 8명을 중심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고, Creswell(2013/2015)의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결과 시청각중복장애인의 일상 속 재난에 대한 인지와 ...
TAG deaf-blind, a daily disaster,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daily disasters, 시청각중복장애인, 일상 속 재난, 일상 속 재난에 대한 인지와 경험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이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 모든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수렴하지 않는 접근 허용을 고려하기
강은영 ( Kang Eun Young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21] 제64권 제2호, 61~94페이지(총34페이지)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교과교육이란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 현장 교사들의 인식과 이해 정도, 원하는 방향성 등을 분석하여 도출해 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이를 위해 총 15명의 초등 및 중등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3팀의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터뷰 분석 결과, 2개의 대분류와 대분류별 4개씩 주제가 도출되었고, 대분류 기준으로 각각 15개, 10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주요한 연구결과로는 수렴하지 않는 특수교육 교과교육의 방향성을 국가 차원에서 제시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육 교과교육이 지금 현재 일반교육의 교과라는 틀에 갇히는 것이 보편성이 아니므로 지금의 교과로부터 새로운 교과 개념을 수립하고, 다양한 교과교육의 방향이 존재할 수 있도록 체제를 마련하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
TAG subject educatio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basic curriculum, functional education, 교과교육, 특수교육 교육과정, 기본 교육과정, 기능적 교육과정
초임 지체장애 초등특수교사의 교직 적응 경험
정수진 ( Jung Soo-jin ) , 이미숙 ( Lee Misuk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21] 제64권 제2호, 95~111페이지(총17페이지)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를 가진 초임 초등특수교사가 교직에 어떻게 적응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초등특수교사로 임용되어 배치된 장애인 교사 중, 경력이 5년 이하인 초임 지체장애인 교사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초임 지체장애 초등특수교사와의 면담을 통하여 질적인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초임 지체장애 초등특수교사는 장애로 인해 교직 적응에서 힘들고 어려운 과정을 감내해야 하는 부분도 있었지만, 자신의 장점을 적극 활용하고 인정받는 과정에서 교사로서의 만족감과 성취감을 느끼며 교직에 적응하고 있었다. 논의 및 결론: 초임 지체장애 초등특수교사가 교직 생활에 보다 긍정적인 적응을 할 수 있도록 행·재정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AG physical disability, special education teacher, teaching profession, adaptation, 지체장애, 특수교사, 교직, 적응
학교장면에서의 중도중복장애학생 건강관리 지원 방안 탐색
박찬우 ( Park Chanwoo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21] 제64권 제2호, 113~142페이지(총30페이지)
연구목적: 학교장면에서의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건강관리 지원 과정을 살펴보고, 지원 형태를 유형화함으로써 효율적인 건강관리 지원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근거이론 분석을 통해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건강관리 지원 과정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는 특수교사 5명, 보건교사 2명, 학부모 1명, 의사 1명, 간호사 1명, 의료행정가 2명을 목적 표집 하였고, 1:1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면담자료를 분석한 결과 98개의 개념과 22개의 하위범주, 8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건강관리 지원 과정의 중심현상은 법적·정책적 근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특수교사, 보건교사, 학부모가 각자도생하고 있었으며, 그 과정에서 십시일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 형태는 보건교사와 특수교사는 대상학생...
TAG health care support, medical service, grounded theory, nursing service, visiting nursing, school hospital cooperation, 건강관리 지원, 의료적 지원, 근거이론, 간호 서비스, 방문간호, 학교 병원 협력
온라인 수업 설계·운영 시 특수교사의 역할과 고려사항에 대한 요구 분석
박경옥 ( Park Kyoungock ) , 오정숙 ( Oh Jungsook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21] 제64권 제2호, 143~165페이지(총23페이지)
연구목적: 이 연구는 성공적인 특수교육 온라인 수업의 지원을 위해 필요한 특수교사의 역할과 고려사항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조사하고, 요구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초·중등학교 특수교사 15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온라인 수업 시 특수교사 역할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실행도는 그에 비해 낮았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 중요도와 실행도가 높은 영역은 ‘교수설계자’였고, Borich 요구도 분석에서 가장 높은 영역은 ‘교수설계자’와 ‘학습평가자’로서의 역할이었다. Borich 요구 분석과 LF모델 분석 결과를 비교하여 최우선 순위를 도출한 결과, ‘교수설계자’와 ‘교육평가자’ 역할에 대한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 ...
TAG online classes of special education, analysis of needs, information accessibility, COVID-19, 특수교육 온라인 수업, 요구분석, 정보접근, 코로나-19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일-삶 균형의 관계
이세은 ( Lee Se-eun ) , 김자경 ( Kim Ja-kyoung ) , 강혜진 ( Kang Hye-jin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21] 제64권 제2호, 167~186페이지(총20페이지)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일-삶 균형(WLB)'의 수준을 분석하고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일-삶 균형(WLB)'의 관계를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P시의 특수교사 120명을 대상으로 전자설문, 직접방문의 방법을 통해 설문지를 배부하고 100% 회수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PAS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분산분석,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직무 스트레스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의 수준을 비교한 결과 연령과 교직경력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특수교사의 '일-삶 균형(WLB)'은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일-삶 균형(WLB)' 수준을 비교한 결과 ...
TAG special education teacher, job stress, work-life balance, WLB, 특수교사, 직무 스트레스, ‘일-삶 균형
지체장애 학생 대상 또래 기반 중재 연구 고찰
김나경 ( Kim Nakyung ) , 고희선 ( Ko Heeseon ) , 정혜림 ( Jung Healim ) , 박은혜 ( Park Eunhye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21] 제64권 제2호, 187~214페이지(총28페이지)
연구목적: 본 연구는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또래 기반 중재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또래 기반 중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연구방법: 총 18편의 국내외 학술지 논문을 선정하여 연구 참여자, 연구 방법, 중재 환경, 중재 유형, 목표 및 효과의 분석을 통해 연구의 전반적인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 참여자는 경도 지체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1편을 제외한 나머지 연구에서 중도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령은 유아와 초등학생이 대부분이었다. 둘째, 실험연구 중 대부분은 대상자 간 중다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고, 중재 환경은 13편이 통합학급이었다. 셋째, 또래 기반 중재 유형은 또래 매개 중재와 성인 매개 중재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13편의 연구가 또래 매개 중재를 사용했고, 12편의 연구는 성인 매개 중재 전략...
TAG physical disability, peer-based intervention, adult-mediated intervention, literature review, 지체장애, 또래 기반 중재, 성인 매개 중재, 문헌연구
가족 협력 개별화전환계획 수립 프로그램이 중도장애 고등학생 부모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태도 및 가족역량강화에 미치는 영향
박은해 ( Park Eun Hae ) , 김유리 ( Kim Yu-ri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21] 제64권 제2호, 215~240페이지(총26페이지)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장애 고등학생을 위한 가족 협력 개별화전환계획 프로그램이 부모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태도 및 가족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참여자는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장애 고등학생과 부모 18쌍(실험집단 9쌍, 통제집단 9쌍)이었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은 가족 협력 개별화전환계획 프로그램으로 주 1회 총 11회기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는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태도(ATIEP)검사와 가족역량강화(FES) 검사로 측정되었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 협력 개별화전환계획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부모의 개별화교육계획에 대한 태도는 통제집단 부모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가족 협력 개별화전환계획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부모의 가족역량강화...
TAG individualized transition planning, severe disability, family involvement, family empowerment, 개별화전환계획, 중도장애, 가족 협력, 개별화교육계획, 가족역량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의 학습성과 및 학습자 경험 분석
이현주 ( Lee Hyunjoo ) , 이영선 ( Lee Youngsun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구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구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21] 제64권 제2호, 241~269페이지(총29페이지)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특수교육학개론’ 교직소양 과목에 플립드러닝을 적용하여 운영하고, 이에 관한 학습성과와 경험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을 수강한 대학생 총 105명으로, 실험집단 58명, 통제집단 47명이었다. ADDIE 모형에 따라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과목으로 재설계되었다. 학습성과는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자기주도학습 능력, 문제해결 능력을 설문조사를 통해 측정하였고, 공분산분석 방법으로 분석했다. 학습경험은 실험집단의 리플렉션 로그를 내용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플립드러닝을 적용한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은 플립드러닝을 적용하지 않은 동일 과목과 비교했을 때, 학습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 자기주도학습 능력, 문제해결능력의 향상이 나타났다. 질적자료 분석 결과, 통합교육...
TAG instructional design, pre-service general education teachers, teacher education, 교수설계, 예비 일반교사, 교사교육
 1  2  3  4  5  6  7  8  9  10